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6770
성명
한자 李殷瓚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62 훈격 대통령장

관련정보


1999년 06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05년 개동(開東)에서 거의(擧義)하여 10,000(名) 가까운 의병(義兵)지휘(指揮)하다가 이인영(李麟榮)총대장(總隊長)으로 추대(推戴)하고 각지(各地)의병(義兵)양주(楊州)집합(集合)시켜 24(陣)배열(配列)하여 경성(京城)진공(進攻)하려던 획책(劃策)이 모두 그의 지략(智略)이었으며 각 군(各軍) 장령(將領)적재(適材)책임(責任)도 그의 지략(智略)에서 나왔다 동대문(東大門)밖에서 (敗)(後) 단독(單獨)으로 재거(再擧)키로 결정(決定)하고 수인(數人)부하(部下)경성(京城)잠입(潛入)하였다가 체포(逮捕)되었는데 재판정(裁判廷)에서 말하기를 「내가 대소(大小) 40여전(余戰)원수(怨讐) 470여인(余人)을 죽였으니 (速)히 나를 죽여라 나의 의거(義擧)는 홀로 한국(韓國)만을 (爲)한 것이 아니요 동양평화(東洋平和)(爲)함이니 금일(今日)에 와서 어찌 자신(自身)영욕(榮辱)에 언급하랴」하였다.
1909년 6월 16일에 순사(殉死)하다.(향년33세)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강원도 원주군 부흥사면(原州郡 富興寺面)에서 출생하였으며, 본은 전주(全州)이다.

1907년 7월 24일 일제는 비밀각서를 교환하고 이어 27일에는 신문지법(新聞紙法), 29일에는 보안법(保安法) 등, 군대해산에 따라 예상되는 국민의 반발에 대처하는 악법을 공포한 뒤 8월 1일 먼저 시위연대 5개 대대를 해산시키고 이어서 지방의 진위대 8개 대대를 해산시켰다. 해산되기에 앞서 그 내막을 눈치 챈 군인들은 무기를 가지고 항일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로써 군대 해산은 의병 진영의 군사적 조직화에 박차를 가했고 의병의 국민적 봉기의 계기가 되었다.

1907년 8월 1일 군대 해산부터 그해 12월까지의 격전 횟수가 323회였다고 하는 것을 봐도 군대 해산 직후 격렬했던 항전상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병항전이 격렬해지면서 각 의병진영에서는 서울 진격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07년 겨울에 각 진영의 연합 의병이 편성되기에 이르렀다.

연합 의병체로서 13도 창의대가 형성되는데 모태적 역할을 한 인물이 이은찬이었다. 이은찬은 일찍이 1907년 9월(양) 이구재(李九載·求采)와 더불어 기병하여 강원도 원주 일대에서 활약했다. 그의 고향 원주는 진위대 해산 후 있었던 원주진위대 의병운동의 본고장이었다. 이은찬 등의 활동은 그러한 지역적인 영향하에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이들은 일부 해산병을 중심으로 의병 500명을 소모(召募)한 후 경북 문경(聞慶)으로 이인영(李麟榮)을 찾아갔다.

이인영은 을미사변 후 유인석(柳麟錫)·이강년(李康秊)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켰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문경에서 은거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한 이인영을 찾아가 나흘 동안 간곡히 기병할 것을 권유하고 총대장이 되어 줄 것을 청하였다.

드디어 이인영은 원주로 출진하여 관동 창의대장(關東倡義大將)에 오르게 되었다.

곧 비분에 찬 격문(檄文)을 사방에 띄워 많은 호응을 받고 일대에서 위세를 떨쳤다.

이때의 진용과 편성명단은 다음과 같다.

관동창의대장 이인영(李麟榮) 우 선 봉 장 김병화(金炳和)

총독장(總督將) 이구채(李球采) 후 군 장 채상준(蔡相俊)

중 군 장 이은찬(李殷瓚) 운량관(運糧官) 현이보(玄履甫)

좌 군 장 방인관(方仁寬) 재 무 관 신창선(申昌先)

우 군 장 권중희(權重熙)민춘원(閔春元)

유 격 장 김해진(金海鎭) 좌 총 독 장 김현복(金顯福)

좌 선 봉 장 정봉준(鄭鳳俊) 우 총 독 장 이귀성(李貴成)

이즈음 연천(漣川)에서 봉기한 허위(許蔿)의 의병이 당도하여 관동창의군 편제를 발전시켜 13도 창의군으로 개편하여 전국 의병 진영에 다음과 같은 통문을 보내어 서울 진격을 제의하였다.

"용병의 요결은 고독을 피하고 일치 단결하는데 있은 즉, 각 도 의병을 통일하여 궤제지세(潰堤之勢)를 이루어 경기로 들어가면 천하는 우리의 것이 되어 한국 문제 해결에 있어서 유리할 것이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진용이 편성되었다.

13도창의대장 이인영(李麟榮) 황해진동의병대장 권중희(權重熙)

군 사 장 허위(許 蔿) 관서의병대장 방인관(方仁寬)

관동의병대장 민긍호(閔肯鎬) 관북의병대장 정봉준(鄭鳳俊)

교남의병대장 박정빈(朴正斌)

호서의병대장 이강년(李康秊) (처음에는 신돌석이었다)

호남의병대장 문태수(文泰洙)

그러나 정미의병이 대중적 의병운동으로 크게 도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돌석(申乭石)·홍범도(洪範圖)·김수민(金秀民)의 부대 등 서민의병의 진영이 참여하지 못하였다.

특히 신돌석의 경우 연합 의진에 참여하였던 것을 그의 신분이 천민에 가깝다 하여 박정빈(朴正斌)으로 바꾼 것이 의병활동의 한계성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성 때문에 이강년과 민긍호의 부대가 서울 진격전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연합 의진의 대장인 이인영이 부친 사망을 이유로 하여 가장 중요한 시기에 물러나고 허위가 대장이 되어 진격을 감행하였지만 이미 기밀이 누설되어 동대문 밖 격전에서 패퇴할 수밖에 없었다. 그후 허위는 1908년 2월까지 서울 근교에서 유격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은찬은 자신의 의진을 거느리고 포천·양근(楊根) 방면으로 이동하여 임진강 유역에서 활약하던 허위와 손을 잡고 유기적 전략을 전개하는 등 크게 위세를 떨치었으며 때로는 농민출신 의병장 김수민 의진과도 협력하였다.

그러나 1908년 말경 경기 의진의 주요 의병장이 처형되자 이 지역의 항일운동은 보다 격화되었다.

1909년 임진강 유역은 의병활동의 중심지로 되어서 적게는 수십 명, 많은 것은 200명 내외의 의병집단이 운집하였다. 이들은 양주·포천·연천(漣川)·삭녕(朔寧)·금천(金川)·백천(白川)·연안(延安)을 연하는 선내 및 해상 도서 유격전으로 일군을 기습, 공격하여 크게 타격을 주었다.

이은찬은 그들의 총대장이 되어 지휘하였다.

그는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등 지방민에게 환심을 사는 것도 잊지 않았으며 군량(軍糧)·군자금(軍資金)을 마련할 때에는 직접 세궁민(細窮民)들로부터 거두지 않고 각 면장·동장에게 통고하여 거두도록 하고, 구입품에 대한 대금 지불은 기일을 어기지 않고 이행하였다.

또 필요한 때에는 군표(軍票)를 발행하여 물자를 받고 후에 반드시 화폐로 바꾸어 주었다. 따라서 지방민들은 의병을 믿었을 뿐 아니라, 의병을 위하여 보초도 서 주고 관헌의 동정을 살펴서 알려주는 등 그들의 활동을 지지, 옹호하게 되었다.

1909년 1월 온정원(溫井院) 부근의 의병에 대한 일군의 압력이 가중되었다. 1월 17일 해주수비대의 장졸 18명이 토벌대로 파견되자, 미리 연안(延安)·청단(靑丹)역 사이로 빠져 남방 연안 도서로 이동한 이은찬 의진은 1월 19일 야음을 타 2척의 배에 분승하여 연평도(延坪島)의 일군 파견대를 기습 공격하여 이들에게 큰 피해를 입힌 후 증산도(甑山島)로 후퇴하였다. 이때 이근수(李根守) 등 46명이 순국하였다.

2월 27일 이은찬은 윤인순(尹仁淳)·정용대(鄭容大) 등 약 300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양주군 석우리(石隅里) 북방 고지에서 양주와 축산리(杻山里)의 일군 헌병 연합 부대와 대격전을 벌여 큰 타격을 주었으나 또한 의병 부대에도 수십 명의 희생자를 내게 되었다.

그후 이은찬은 국내에서의 의병활동에 한계를 느끼고 만주 간도지방으로 항일 운동의 거점을 옮겨 군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때 서울의 박노천(朴魯天)·신좌균(申左均) 등이 이러한 이은찬의 계획을 탐지하고, 조수연(趙壽淵)을 보내어 유인해 내도록 하였다.

"간도로 들어가서 군사를 훈련시키려면 군자금과 군량 등 그 비용이 적지 않게 필요할 것이요. 그 비용은 얼마가 들든 내가 부담할 터이니 서울로 잠입해 들어와 의논합시다."

사실 의병활동에는 비용이 적지 아니 들었으니 솔깃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은찬은,

"대장(이인영)이 여주에서 패전하고 지금 황간(黃澗)에 은신하고 계시니 가서 뵙고 의논하는 것이 도리이다."

하였으나, 조수연은 한 번 놓치면 안되겠으므로

"박노천과 신좌균을 용산역에서 만나 보는 것이 매우 좋을 듯하다."

고 강권하므로 3월 31일 용산역으로 갔다.

그것은 적의 함정이었으므로 곧 체포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분노한 강기동(姜基東)·남학서(南鶴瑞)·오수영(吳壽永)·임명달(任明達) 등이 격문을 띄워 분발할 것을 촉구하였다.이은찬은 심문하던 검사가 거병한 이유를 묻자 대략 다음과 같이 답변하였다.

"나라를 빼앗겼으므로 보복하고자 거병하였으니 모반한 것이 아니다.그리고 너희는 우리가 예전에 청나라를 섬겼으니 오늘날 일본을 섬기기로 안될 것이 무엇이냐고 하는데, 그러나 청나라는 우리의 국권을 침탈한 적이 없지만 너희는 우리를 식민지로 만들었지 않았느냐?"

재판정에서도 그는 늠름한 태도를 버리지 않았다.

"내가 너희와 싸우기를 대소 40여 차례 하였으며, 너희 병정 470여 명을 참살하였으니 빨리 죽여라.······

나의 거의는 홀로 한국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동양 평화를 위함이니, 오늘에 이르러 어찌 자신의 영욕(榮辱)을 생각하랴."

하고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오얏나무 한 가지로 배를 만들어 창생을 건지고자 해변에 띄웠는데

조그마한 공도 이루지 못하고 먼저 물에 빠지게 되었으니누가 동양의 만년을 기약하리오.

一枝李樹作爲船 欲濟蒼生泊海邊寸功未就身先溺 誰算東洋樂萬年

이은찬은 그 후 1909년 5월 8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교수형을 선고받고 그 해 6월 16일에 순국하였다.

마지막 가는 길에도 미소를 잊지 않아 간수조차 감격해 마지않았다고 한다.

이은찬의 장례날에는 정 동(鄭童)이 와서 원수 갚을 것을 맹세하더니 결국 원수를 만나지 못하여 집에 남은 신좌균의 어린아이들만 죽였다. 민족의 비극이기는 하였지만 사람들은 그의 의기를 칭송하였으나 그 역시 적의 총에 맞아 죽었다.

그의 사후 이인영도 체포되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학보(일지사) 16집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권 504·505·563·56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3권 727·793·79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1권 98·99·111·254·255·371·372면
  • 항일의병장열전(김의환) 174면
  • 의병들의 항쟁(조동걸) 137·138·161·163·334면
  • 기려수필 126·127·128·129면
  • 고등경찰요사 11면
  • 매천야록 492·49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은찬 은찬(殷贊), 언찬(諺讚), 헌찬(憲讚) 강원 원주 -
본문
1878년 강원도 원주군(原州郡) 부흥사면(富興寺面) 신성리(薪城里)각주1) 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이명은 은찬(殷贊) · 언찬(諺讚) · 헌찬(憲讚)이다. 유생(儒生)이나 가계와 학통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1896년 2월(음력) 이기찬(李起燦) · 허위(許蔿) · 조동호(趙東鎬) 등과 함께 경북 김천(金泉)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 후 경북 김산(金山)과 성주(星州)를 점령하고 대구진격작전을 전개하였으나 대구부 관군 등의 공격에 패하여 체포되었다. 1907년 7~8월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구 한국군대의 강제 해산을 계기로 의병전쟁이 일어나자, 고향 원주에서 해산 군인 80여명을 모집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8월 말경 경기도 여주(驪州)에서 활동하던 의병장 이구채(李球采, 이구재 李九載)와 함께 경북 문경(聞慶)에 은둔하던 이인영(李麟榮)을 방문하여 의병부대 총대장이 되어 줄 것을 간청하여 허락을 받아냈다. 9월 초순 원주에서 이인영을 대장으로 하는 관동창의대진소(關東倡義大陣所)를 조직하였고 이인영을 도와 평안 · 함경지역을 제외한 각 지역 의병장들에게 통문을 보내 연합의병 결성을 제의하였다. 그 결과 10월 중순 연합의병 결성에 호응한 경기 · 충청 · 강원지역 의병부대 등과 제휴하여 관동창의대진소 부서를 확정하였다. 관동창의대진소 중군장(中軍將)으로 선임된 직후 전국연합의병부대를 결성하여 서울진공작전을 전개하자는 격문을 각지 의병부대에 발송하여 경기도 양주로 집결할 것을 촉구하였다. 12월 경기도 양주에 허위(許蔿) 등 각지 의병부대가 모이자, 의병장들과 협의 끝에 전국의병연합체인 13도창의대진소(十三道倡義大陣所)를 결성하였다. 1908년 1월 초순에는 다시 경기 · 강원 · 충청 · 황해 중심의 의병부대인 이인영 · 허위 · 민긍호(閔肯鎬) · 이강년(李康秊) 의진 중심으로 개편 · 정비하는 등 13도창의대진소 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13도창의대진소는 1월부터 두 달여 간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며 서울진공작전을 개시하였으나 서울 탈환에 실패하였다. 서울진공작전 실패 후 2월경 경기 동북지역과 임진강 유역으로 근거지를 이동하여 재차 의병부대 연합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허위를 중심으로 김규식 · 연기우 · 권중설 · 조인환 · 왕희종 · 김진묵 부대와 박종한 · 김수민 등과 3~4월경 허위를 중심으로 임진강연합의병을 결성하고 재차 서울진공작전을 수립하였다. 4월 21일 전국 13도 의병의 재궐기를 호소하는 통문을 발송하였고 5월 박노천(朴魯天) · 이기학(李基學) 등을 서울로 보내어 통감부 폐지, 외교권 반환 등 정치경제적 침략을 철회하라는 30개 요구조건을 제시하면서 항전하였다. 일제는 임진강연합의병을 소탕하기 위해 이은찬이 거느린 의병들에게 회유공작을 전개하는 한편, 각 수비대 · 헌병대 등이 협력하여 이른바 의병토벌작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월 임진강연합의병의 중심인물인 허위가 체포되자, 연합의병은 해체되었다. 허위 체포 이후 경기 동북지역으로 근거지를 옮겨 의병투쟁을 전개하였다. 1908년 6월 22일 의병 100여명과 포천군 청원면(淸原面) 고금리(古琴里)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3시간 동안 격렬한 전투를 치렀다. 27일에는 경기 광주 남쪽에서 의병 80여명과 함께 이천수비대와 싸웠으나 13명의 부하를 잃었다. 7월 4일에는 포천군 내동면(內洞面) 소학리(巢鶴里) 부근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교전 끝에 의병 5명이 사망하는 등 패전을 거듭하였다. 이에 해외로 거점을 옮기기로 결심한 뒤 7월 25일경 강원도 철원에서 부하 100여명을 해산시키고, 강본(姜本)과 함께 유인석(柳麟錫)이 있는 중국 지린성(吉林省)을 향해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도에 중국 망명을 포기하고 경기 동북지역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 10월경 흩어진 의진을 수습 · 정비한 그는 자신을 정점으로 하는 경기 동북지역 최대의 연합의병인 창의원수부(倡義元帥部)를 결성하였다. 허위의 부장(部將)으로 활동하다 허위가 체포된 후 관동창의원수부 진영대장으로 독립 · 활동하던 윤인순(尹仁淳)을 좌군장으로, 군 출신 정용대(鄭容大)를 우군장으로 임명하였으며, 자신은 중군장으로 창의원수부를 이끌었다. 또한 의진 보강을 위해 파주군(坡州郡) 순교(巡校) 출신으로 윤인순 의병부대에서 활약하다가 은거하던 김귀손(金貴孫)을 선봉장(先鋒將)으로 임명하였다. 이외에도 부장 · 참모 · 군량장 · 종사 · 부관 등을 두었다. 그러나 창의원수부는 조직상 정용대 · 윤인순 의병부대를 좌군 · 우군으로 포진시킨 것이고 실제로 두 부대는 각기 독립부대로 활동하다가 대규모 전투수행 시 상호연합작전을 구사하였다. 이후 김교성 · 윤인순 부대와 연합의병을 형성한 뒤 12월 2일 포천군 외소면 하송우리(下松隅里)에 의병을 파견하여 포천에 주둔한 일본군 수비대 · 헌병대 · 경찰의 병력과 배치 등을 탐문하였다. 다음날 포천헌병분견소로 격문을 보낸 뒤 가평으로 이동하여 전투 준비를 하였다. 이때 헌병분견소로 보낸 격문은 포천지역내 일본군 병력인 수비대 · 헌병대 · 경찰 등을 섬멸하기 위한 유인책이었다. 격문을 받아 본 포천헌병분견소는 포천수비대와 양주경찰서 · 포천주재순사 등에게 연락하여 의병토벌을 위한 연합대를 조직하고 그 날 밤 포천에 이르러 의병부대를 정찰하였다. 일본군은 이튿날인 12월 4일 이은찬 연합의병이 가평군 상면(上面) 서파동(西派洞)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다시 가평으로 추격하였다. 한편 이은찬 연합의병은 서파동 민가 옥상에 수 명의 보초를 세워 일본군의 진입여부를 살피는 한편, 도로 좌우편 계곡과 일본군 진입 도로 전방에 의병을 3개조로 나누어 매복시켰다. 일본군이 계곡 입구 막다른 도로에 들어서자, 이은찬 부대는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였다. 2시간 반 가량의 ‘가평 서파동전투’에서 일본군은 135발의 총탄을 소비할 정도로 싸우다 겨우 탈출하였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이은찬 부대도 선봉장과 5명이 사망하는 피해를 입었다. 가평 서파동전투 후 이은찬 · 김교성 연합부대는 포천방면으로 윤인순 부대는 양주방면으로 나누어 퇴각하였다. 이은찬 · 김교성 연합부대는 12월 8일 포천군 동촌면(東村面) 마근담리(麻根潭里)에 도착하여 의병을 ‘적도(賊徒)’라고 주창한 동장을 처형하였다. 그 후 다시 윤인순 부대와 합류한 뒤 12월 19일 양주군 별비면(別非面) 연지동(連池洞)에서 퇴계원헌병분견소 헌병들과 전투를 벌였으나 의병 3명이 부상당하였다. 다음날 20일 이은찬 부대는 다시 퇴계원을 습격하여 전투를 벌인 뒤 건천면(乾川面) 식동리(植洞里)로 이동하였으나 추격해오는 일본 헌병들과 다시 전투를 벌였다. 이 보고를 접한 용산수비대와 경성헌병분대에서 병력을 급파하였다. 일본군 지휘부는 이은찬 부대의 기습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12월 14일 경비선 전화를 설치하였다. 1909년 1월 4일 의병 200여명을 이끌고 포천군 장거리(場巨里)와 서면(西面) 송우리(松隅里) 간 경비전화주(柱) 5본(本)을 절단하여 일본군끼리의 연락을 두절시킨 뒤 포천군 현내면 장거리 서쪽에서 포천헌병분견소 수비대와 교전하였다. 1월 7일 이은찬 · 윤인순 부대는 양주군 이담면(伊淡面) 유산리(杻山里)의 헌병분견소를 습격한 뒤 부대를 2대로 나누어 퇴각하였다. 이때 이은찬은 100여명을 인솔하고 8일 파주군 천현면(泉峴面) 후발리(後發里)에서 다른 부대와 합류를 기다렸다. 이은찬 부대의 기습공격에 타격을 입은 일본군은 1909년 1월 8일부터 이른바 이은찬 연합의병 토벌작전을 개시하였다. 강원도 금성수비대장은 김화 · 삭령(朔寧) · 철원(鐵原) · 포천 · 적성지역 일본군은 물론 서울 용산의 일본군까지 동원하였다. 파주에 도착한 이은찬 부대는 부근 산 정상에 주둔하면서 수 개소의 초소를 세우고 잔여 병력이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1월 8일 이은찬 부대가 광탄면을 경유했다는 정보를 입수한 파주주재 순사대는 문산주재 순사대와 연합하여 9일 이은찬 부대를 공격하여 3시간여 동안 교전하였다. 가평 서파동전투 · 퇴계원전투 · 장거리전투 · 유산리전투 등 이은찬 부대의 공격에 대해 일본군은 불안감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이은찬 부대의 기습 풍설이 나돌 때마다 촉각을 곤두세웠다. 그리하여 일본 헌병대는 1월 14일자로 포천분견소에 배치되어 있는 하사 이하 12명을 장교 이하 25명으로 증원함과 동시에 양주군 후평리에도 하사 이하 10명을 증원시켰다. 또한 일본군 수비대 역시 종래 장거리수비대 외에 따로 포천군아(郡衙) 소재지에 보병 제13연대 제2중대를 1월 16일자로 주둔시켜 병력을 강화하였다. 양주 후발리 전투 후 포천으로 이동한 이은찬 부대 300여명은 1월 15일 밤 포천군 서면 내동(內洞)과 가산면(加山面)을 기습 · 공격하였다. 이즈음 융희황제(순종)의 평안도 순시 계획을 전해듣자, 그는 순종의 순시 저지와 함께 대대적인 일본군 습격작전을 세우고 전투에 필요한 군자금과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월 25일부터 28일까지 이은찬 부대는 양주군 석적면(石積面), 적성군 남면, 석적면 덕두리(德頭里)에서 헌병대 등과 교전하였다. 1월 30일 포천군 송현리(松峴里)에 포진한 이은찬 부대는 김준식(金俊植) · 맹군집(孟君集) · 윤인순 · 오수영(吳守泳) 등 의병장들과 합류하여 200여명의 연합의병을 형성하였다. 이때 이은찬 부대는 양주 · 포천 방면 윤인순은 양주 · 파주 방면 정용대는 가평 · 영평 방면으로 각기 분산 · 이동한 후 다시 합류할 계획을 세웠다. 이은찬 부대는 1월 30일 송현리를 출발하여 2월 3일 영평군 일동면으로 이동하였다. 2월 4일 이은찬 부대가 영평군 이동면에 집결되었다는 보고를 받은 영평헌병분견소장은 병력을 인솔하여 정찰 중 이동면 중진리(重進里)에서 이은찬 의병의 기습 공격을 받고 겨우 탈출하였다. 탈출 후 영평헌병분견소는 포천헌병대와 연합부대를 구성하여 2월 5일 다시 이은찬 부대를 공격하였다. 이은찬 부대는 미리 송림 사이에 매복하고 있다가 일본 헌병분견대가 이동면 노곡리(蘆谷里) 부근에 도착하자, 맹렬히 기습 공격하였다. 또한 뒤늦게 주포(周浦)헌병대가 도착하자, 두 시간가량 전투를 벌였다. 2월 3 · 4일경 영평 일동면과 이동면에서 결사대를 조직하여 통감 · 일본군 고위간부 · 경찰관 등을 처단할 것을 천명하였다. 이는 소규모 부대로 인한 의병전쟁의 한계성을 느끼고 의열투쟁을 의병전쟁의 일환으로 채택하여 소수의 테러를 통한 파급의 효율성을 고취하고자 한 것이다. 2월 6일 이은찬 부대는 양주 어등산면(於等山面)에서 의병토벌에 나섰던 가와노(川野)수비대 제2분대와, 7일에는 포천 내동면(內洞面) 오림리(五林里)에서 양주헌병분견소원들과 교전하였다. 그러나 11월부터 3개월 동안 포천 · 양주지방 산악을 배경으로 줄기찬 활동을 벌였던 이은찬 연합의병은 2월 상순경 연일 계속된 전투로 군량미 · 탄약 결핍, 부상 · 사망으로 인한 병력 감소 이은찬의 부상 등으로 이탈자가 발생하는 등 의병진영 내부에 동요가 일기 시작했다. 이에 이은찬 · 윤인순 · 김교성 연합의병은 당분간 부대를 수습, 정비하기 위해 이은찬 부대는 포천 · 영평, 윤인순 · 김교성 부대는 영평 · 양주 방면으로 분산한 후 2월 21일경 먼저 분산된 정용대 부대를 포함하여 양주에서 다시 합류하기로 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이은찬은 군자금을 모집하여 무기와 군량미를 확보하며 병력을 보충하는 등 부대 재정비계획을 세웠다. 그 일환으로 가장 먼저 세운 계획이 우편물 탈취계획이었다. 당시 우편물에는 재무서에 납부된 공금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탈취하여 군자금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2월 13일 영평군 내면(內面) 양문리(梁文里)에서 군자금을 요청하는 한편, 당일 밤 양주군 이담면에 부하를 파견하여 밀정 조석근(趙錫根)을 처단하였다. 그리고 영평 일대 각 면 · 동장에게 격문을 배포하여 군자금 확보에 주력하였다. 또한 영평군 이동면 연곡리에서 동민들 뿐 아니라 헌병보조원과 한인 순사에게 고시서를 배포하여 의병 가입을 권유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이은찬 부대는 1월보다 100여명이 늘어난 250여명, 윤인순부대는 30여명이 늘어난 103여명의 의병을 확보하고 진영을 정비하여 전투를 재개하였다. 2월 20일 150여명의 이은찬 부대는 포천 가산면(加山面) 용단동(龍但洞) 부근 고지에서 포천수비대 · 순사대의 토벌연합대와 교전하였으며 그 후 정용대 부대와 합류하였다. 이은찬 · 정용대 연합의병은 2월 25일 170여명의 의병을 이끌고 양주군 석적면 항동(項洞) 부근에 잠입하였다. 이때 일본 미즈노(水野) 순사대가 이은찬 연합부대가 이곳에 주둔한 것을 탐지하고 하타(畑) 순사대와 연합하여 정찰을 개시하였다. 이은찬 부대 역시 인근 부락민의 제보로 토벌대가 온다는 것을 미리 알고 전투를 준비하였다. 석적면 돌압산에서 매복과 협공 등 기습 공격으로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두었다. 돌압산전투 승리 후 이은찬 · 정용대 연합의병은 의병장 윤인순의 고향인 석적면에서 다시 윤인순 부대와 합류하여 부대를 강화하고 두일리(斗日里) 부근에서 주둔하였다. 이 정보를 입수한 양주경찰서 소속 정찰대는 2월 27일 양주경찰서와 양주헌병분견소에 연락 · 출동하던 도중 유산리 헌병분견소원들을 만나 세 부대가 연합 · 추격하였다. 이 무렵 이은찬 연합의병은 덕도리(德道里) 부근에서 고양헌병분견소와 북한산파견소 헌병들과 전투를 벌였다. 이때 위 일본군 세 부대가 협공하자 탄약을 모두 소모하는 등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이은찬은 탄약 등을 확보할 때까지 일본군의 토벌을 피해 소규모 부대로 나누어 행동한 다음, 재집결할 것을 약속하고 윤인순 부대와 결별하였다. 윤인순과 분리 후 이은찬 · 정용대 부대는 3월 1일 의병 80여명을 이끌고 양주군 회암면(檜岩面) 귀율리(貴栗里)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3월 2일 일본 토벌연합대의 공격으로 이은찬 부대는 사망자 1명과 부상자 10명 등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다. 포천으로 이동한 이은찬 · 정용대 의병 100여명은 3월 4일 외소면(外所面) 무림리(茂林里)에서 의정부헌병대의 공격을 받고 퇴각하였다. 이은찬 부대의 탄약 결핍과 전투력 상실을 포착한 일본군은 이은찬 부대 토벌의 최적기로 판단하고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단행하였다. 먼저 양주헌병분견소 관구장(管區長) 특무조장(特務助長) 요시모토(吉本龜吉)는 3월 5일 관내의 모든 헌병과 보조원을 동원하여 의병대토벌계획을 수립하고 포천헌병분견소에서 출장 · 지휘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같은 날 양주경찰서 역시 경찰대원을 전부 동원하여 토벌대를 편성하였다. 이은찬 부대는 3월 6일 양주군 어등산면 현암리(玄岩里) 부근으로 이동 · 잠복해 있었다. 이때 양주경찰서 소속 고노(河野)토벌대가 정찰 중 눈 위의 발자욱을 보고 의병들을 추적하여 송림 사이에 있던 이은찬 부대와 교전하였다. 현암리 전투 후 이은찬 부대는 해산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일망타진할 기회로 인식한 경기북부지역 일본군은 양주관내 주둔 헌병과 분견소 외 임시주둔소 4개를 합친 100여명, 상비수비병 90여명 등 약 200여명으로 3월 8일부터 이른바 대토벌에 나섰으며, 15일부터는 서울의 용산수비대 기토(木藤) 소좌가 인솔하는 1대대까지 가세하여 총 300여명의 일본군이 이은찬 연합의병 대토벌작전을 감행하였다. 여기에 적성 · 포천 · 삭녕수비대 100여명도 연합토벌대를 구성하여 3월 14일부터 의병 토벌에 적극 나섰다. 일본군은 분산과 연합을 자유자재로 하는 이은찬 부대의 유격전에 대응하여 수비대 병력을 조밀하게 배치시킨 다음, 작전의 주요 방향으로 움직이는 대부대와 함께 각지에서 수비대와 헌병, 경찰의 거점을 한층 조밀하게 하고 지도부와 주둔 거점을 연결하는 경비도로와 통신망을 정비하였다. 이같이 그물망처럼 짜여진 일본군의 배치는 의병 상호간의 연대를 차단, 고립시켰다. 또 일본군은 의병과 지역 주민과의 강력한 유대관계를 차단하고 의병의 활동근거지를 뿌리 뽑을 목적으로 의병 거점이나 그들이 지나간 마을을 초토화시키는 등 무자비한 살육을 감행하였다. 이른바 일본군의 대토벌로 인해 이은찬 부대의 해산 의병은 각지로 잠적하였다. 일본군이 이은찬 · 윤인순 · 정용대 의병장들의 경유 파악에 주력하던 중 3월 16일 윤인순이 부하 16명을 이끌고 동면(東面) 문암리(文岩里)에서 삭녕수비대와 교전하던 중 전사하였다. 윤인순 전사 후 일본군은 이은찬까지 체포하기 위해 정찰대를 의병으로 가장시켜 소재를 탐색케 하거나 밀정 유경험자와 부랑자를 고용하는 등 이은찬 체포에 혈안이 되었다. 이에 그는 포천 · 양주 내에서는 더 이상의 활동근거지가 없음을 깨닫고 간도로 거점을 옮기고자 하였다. 이 계획을 눈치챈 밀정 박노천(朴魯天) · 신좌균(申左均) 등은 이은찬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하다가 변절한 조수연(趙壽淵)을 시켜 의병 활동비용을 제공한다는 명목으로 이은찬을 서울로 유인하였다. 이은찬은 3월 30일 박노천 · 신좌균을 만나기 위해 용산으로 갔다가 오전 12시 용산정거장 부근에서 용산경찰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4월 21일 경성지방재판소로 넘겨진 후 심문을 받았다. 재판정에서 “나의 거의는 홀로 한국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동양 평화를 위함이니, 오늘에 이르러 어찌 자신의 영욕을 생각하랴”고 답변하였다. 옥중에서는 “오얏나무 가지 하나로 배를 만들어 / 창생을 건지고자 해변에 띄웠는데 / 조그마한 공도 이루지 못하고 먼저 물에 빠지게 되었으니 / 누가 동양의 만년을 기약하리오”라는 시 한 수를 남겼다. 1909년 5월 8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6월 16일 서문 밖 경성감옥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는 “지금 내가 의병을 일으켜 국권을 회복하여 천하에 대의를 펴고자 하다가 지금 너희에게 죽임을 당하니, 어찌 하늘의 뜻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너희 나라는 천하대세를 알지 못하고 우리나라를 삼켰으니, 반드시 천하의 시기를 받아 곧 망하리라. 나는 죽어도 내 눈은 마땅히 썩지 않고 너희가 망하는 꼴을 볼 것이다”라고 하면서 마침내 웃음을 머금고 최후를 마쳤다. 이은찬 순국소식을 들은 강기동(姜基東) · 박순근(朴順根) · 정용대 등은 ‘제2의 이은찬’을 표방하며 이은찬의 창의원수부 중군장을 그대로 계승 사용하면서 경기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내란 교(絞) 경성지방재판소 1909-05-08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의병장 이은찬공 추모비 강원도 원주시
2 연천군 항일독립운동 기념탑 경기도 연천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은찬(관리번호:677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