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1213
성명
한자 魚鳳善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2013 훈격 애족장
1910년 음력 2월경 경기도(京畿道) 포천군(抱川郡)에서 윤인순 의진(尹仁淳義陣) 등 소속으로 의병운동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1권(2014년 발간)

경기도 양주(楊州) 출신으로 1910년 윤인순의진(尹仁淳義陣)에 참여하여 포천

일원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윤인순은 경기도 양주 출신으로 1907년 군대해산 이후 의병을 일으켜 독자적

인 의병부대를 편성하여 파주(坡州)·적성(積城)·포천(抱川) 등지에서 활동하였

다. 그는 1907년 말 13도창의대진소(十三道倡義大陣所)의 서울진공작전 실패 이

후 허위가 의병진을 재편성할 때 합류하여 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08년 6월 허

위가 체포된 뒤 윤인순은 30~40명의 소규모 의병진을 이끌고 파주·적성·양주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계속하였다. 1909년 윤인순은 이은찬(李殷瓚)·정용대(鄭

用大)·강기동(姜基東)·연기우(延基羽) 등과 연합부대를 편성하고 양주·파주·

포천·영평·연천·삭령·금천·백천·연안을 연결하는 육상과 해상, 그리고 도

서지방 등에서 활동하였다. 1909년 3월 17일 양주 북방 4리에서 삭령수비대와

전투 중 부하 19명과 함께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어봉선은 1909년 음력 2월경부터 1910년 5월 25일까지 윤인순·강기동·전성

서(田聖瑞) 등이 이끄는 의병부대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1910년 음력 2월 총검

을 휴대한 의병 20여 명과 함께 경기도 포천군 산내면(山內面) 산내리(山內里)

에서 면장 윤모(尹某)로부터 군자금 90원을 모집하였고, 곧이어 내동리(內洞里)

에서 이장 신모(辛某)로부터 의복 10점을 수집하였다.

어봉선은 소위 강도죄(强盜罪)로 기소되어 1910년 7월 18일 경성지방재판소에

서 징역 5년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皇城新聞(1910. 6. 10)·楊州郡誌(楊州文化院, 1992) 下, 917면
  • 判決文(京城地方裁判所:1910. 7. 18)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별집 제1집 162~16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어봉선 - 경기 양주(楊州) -
본문
1890년 7월 13일 경기도 양주군(楊州郡) 석적면(石積面) 덕도리(德道里)에서 태어났다. 농업에 종사하였다. 1907년 일제에 의한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해산 이후 국권회복을 위해 윤인순(尹仁順)이 경기도 양주에서 거의(擧義)하자, 이에 호응하여 의병부대에 참여하였다.윤인순은 경기 양주 농민 출신의 평민 의병장으로 독자적인 의병부대를 결성하여 양주·석치(石峙) 등에서 일본군과 유격전을 전개해 나갔다. 1907년 말에는 이인영(李寅榮)을 총대장으로 한 13도창의군의 서울진공 작전에도 참여하였다.서울진공 작전 실패 이후에는 허위(許蔿)의 의병부대와 연합하여 경기도와 강원도, 황해도 등지를 넘나들면서 일본군과의 전투를 전개해 나갔다. 하지만 허위가 1908년 체포되고 일본군의 탄압이 격화되자 소규모의 게릴라전으로 전환하여 파주(坡州)·적성(積城)·양주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정용대(鄭用大)·연기우(延基羽)·강기동(姜基東) 의병부대와 연합하여 주로 경기도 일대의 일진회(一進會) 회원과 친일 관리들을 처벌하거나 일본군과 전투를 전개해 나갔다.윤인순 의병장 휘하에 언제 참여하게 되었는지 불명확하다. 1909년 3월 17일 양주 북방 4리에서 일본군 삭령수비대(朔寧守備隊)와의 전투 중에 윤인순이 전사하자 강기동(姜基東) 의병장 휘하로 옮겨 활동을 이어갔다. 강기동은 서울 명동(明洞) 출신으로 대한제국의 기병부위(騎兵副尉)로 있다가 1907년 군대해산 이후 거의하여 의병활동을 전개해갔다. 강기동은 한때 일제 헌병대에 위장 귀순하여 경기도 장단(長湍) 등지에서 헌병보조원으로 근무하며 의병부대에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헌병보조원으로 있던 중 장단 헌병소에 붙잡혀 온 의병들과 함께 탈출하여 의병활동을 재개하였다. 이후 윤인순·정용대(鄭用大)·연기우(延起羽) 등 경기도 일대 의병부대와 연합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해 갔다. 강기동은 현상금 1,000냥이 걸렸을 정도로 일본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도 했던 인물이다.강기동 의병부대에서 주로 군자금을 조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1910년 2월 동지 20명과 함께 경기도 포천군(抱川郡) 산내면(山內面) 산내리에 들어가 면장 윤모(尹某)씨로부터 90원의 군자금을 모금하였다. 또한 포천군 내동리(內洞里)에 들어가 이장 신모(辛某)씨 집에서 의복 10점을 수거하는 등 의병활동에 필요한 군자금과 군수품을 조달하는데 집중하였다. 주로 경기 포천 지역을 중심으로 군자금을 조달하다가 일본군에 붙잡혀 재판에 회부되었다. 1910년 7월 18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이른바 강도로 징역 5년을 받고 옥고를 겪었다. 이후 행적은 확인할 수 없다.대한민국 정부는 2013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어봉선(관리번호:1121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