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남상덕은 의령(宜寧)사람으로서 남철희(南哲熙)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군부(軍部) 시위대 보병(侍衛隊 步兵) 제2연대 제1대대에 입대하여 견습 보병 참위(參尉)가 되었다. 1907년 정미7조약(丁未七條約)이 체결되고 이어서 군부대신(軍部大臣) 이병무(李秉武)가 일제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맺고서 군대해산을 명하자 참령(參領) 박승환(朴昇煥)이 순국하였다. 남상덕은 이러한 사태에 직면하여 비분(悲憤)한 마음을 이기지 못하고 8월 1일 군중(軍中)에 명하여 말하기를, ""장군이 나라를 위하여 돌아가셨으니 내 어찌 홀로 살기를 바라리오. 마땅히 적과 더불어 죽음을 걸고 결전하여 위로 나라의 원수를 갚고자 한다."" 하였다. 이어서 남상덕은 "함께 싸울 자 누구인가"하고 물으니, 부하 천여 명이 각기 총칼을 지니고 영문 밖으로 나아가 적을 치고자 하는데 갑자기 일병(日兵)이 남대문(南大門) 위에서 성벽에 의지하여 총을 난사하였다. 남상덕은 그들을 맞아 물리쳐 수많은 일병이 죽었다. 적장 미원(梶原)도 아군의 총에 맞아 죽었다. 미원은 적의 효장(梟將)으로서 일찍이 만주의 전역(戰役)에서 누차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아군의 피해 역시 적지 않았으니 병졸 98명, 장교 7명이 장렬히 전사하였다. 적장이 죽자, 적병은 크게 놀라 많은 후원부대를 증파하였다. 남상덕은 칼을 뽑아 들고 빨리 총격을 가하라고 명하였으나 아군의 탄환이 바닥나고 말았다. 혼란한 틈에 남상덕은 적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나머지 군진들은 해산 당하고 흩어졌으나 후에 각기 정미의병이 되어 전국 방방곡곡에서 항일투쟁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 기려수필 121면
- 매천야록 42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권 46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