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0423
성명
한자 金澤榮
이명 滄江, 韶護堂(主人)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년도 2018 훈격 애국장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직전에 중국(中國) 강소성(江蘇省) 남통(南通)에 정착한 후 ‘추감본국십월지사(追感本國十月之事)(고국의 10월 사건을 회상하며, 1905년), ‘구일발선작이수(九日發船作二首)(9일 배길에 올라, 1905년), ‘오호부(嗚呼賦)(어허 애달파, 1910년), ‘문의병장안중근보국수사(聞義兵將安重根報國讎事)(의병장 안중근이 나라 원수 갚았다는 소식을 듣고, 1909년)’등의 시를 지어 외세의 침략에 대한 항거를 호소함.
1909년 황현(黃玹)에게 보낸 서간(書簡)에서 문장으로 보국(報國)하려 한다는 의지를 나타냄.
1912년 황현(黃玹)의 『매천집(梅泉集)』을 간행하고 이후 그가 교열을 본 『매천야록(梅泉野錄)』의 내용을『한사계(韓史綮)』에 소개하여 세상에 알림.
1920년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를 대신해 중국정부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기 위해 ‘진정서(陳情書)’를 집필함.
그 밖에 중국 재류 시 『안중근전(安重根傳)』, 『교정삼국사기(校正三國史記)』, 『한국역대소사(韓國歷代小史)』, 『신고려사(新高麗史)』(1924) 등 다수의 한국사 저술을 집필·간행하고, 이들 저술은 일제의 검열 등 탄압에도 불구하고 국내로 유입되어 민족의식을 고취함.
1927년 독립의 희망이 사라지자 자결(自決), 순국(殉國)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취(鼓吹) : 의견이나 사상 따위를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 넣음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을사늑약 체결 직전인 1905년 9월 9일 가족들을 이끌고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장쑤성 난퉁에 정착하여 중국인 교육자이자 실업가인 장지안의 주선으로 한묵림서국(翰墨林書局)에서 근무하면서 민족의 문화유산 정리와 시문 창작에 정진하였다. 문장으로 나라에 보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며 다수의 한시를 지어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1909년 중국 하얼빈에서 안중근(安重根)이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하자 수많은 시문을 지었다. 특히 「문의병장안중근보국수사(聞義兵將安重根報國讎事)」는 수작(秀作)으로 꼽힌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강제병합조약이 체결되자 직접 상복(喪服)을 지어입고 「명호부(嗚呼賦)」를 지어 비분(悲憤)을 하소연했다. 또 자신의 벗인 매천(梅泉) 황현(黃玹)이 망국(亡國)을 통탄하여 단식(斷食)으로 순국(殉國)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1912년 『매천집(梅泉集)』을 정리해 출판하고, 『매천야록(梅泉野錄)』을 교정(校正)하여 자신의 저서인 『한사계(韓史綮)』에 인용함으로써 세상에 널리 알렸다.

1912년 난징(南京)에 중화민국임시정부(中華民國臨時政府)가 수립되자, 중국 국적(國籍)을 취득하고 수많은 중국 측 인사들과 교류하였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가 수립되자 여러 요인들과 교류하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대신하여 중국 정부에 한국의 독립운동 지지를 호소하기 위한 「진정서」를 집필해 제출함으로써, 한국인의 항일의지를 피력하고 중국정부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 외에도 22년 동안 중국에 체류하면서 『안중근전』을 비롯해 『교정삼국사기(校正三國史記)』, 『중편한대숭양기구전(重編韓代崧陽耆舊傳)』, 『한국역대소사(韓國歷代小史)』, 『신고려사』 등 항일투사와 우리 역사에 관한 다수의 저서를 집필 또는 편찬 간행하여 국내에 전파하였다. 중국혁명운동과의 연대 속에서 한국 독립의 희망을 찾고 있던 상황에서 1927년 중국의 국공합작(國共合作)과 국민혁명(國民革命)이 좌절되자, 절망 속에서 자결(自決)하였다.

정부는 2018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합간소호당집(合刊韶濩堂集)(김택영, 1922) 문집정본(文集定本) 제1권 권1 16면
  • 합간소호당집(김택영, 1922) 시집정본(詩集定本) 제3권 권4(을사고) 7, 10면, 권5(경술고) 1면
  • 한민(1909. 6. 23)
  • 신한민보(新韓民報)(1923. 2. 22, 1939. 5. 4)
  • 창강선생실기(滄江先生實紀)(김택영, 1934) 권2 23~28면
  • 매천야록(梅泉野錄)(국사편찬위원회, 1955) 해설(解說) 6~7면, 49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제8집 369면
  • 조선족작가김택영자료(朝鮮族作家金澤榮資料)(연변대학 예술연구소 번인, 1982) 6면
  • 료녕조선문보(1998. 2. 14)
  • 도산안창호전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 제4권 125면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9) 제35권 270면
  • 문학사(중국조선민족문화사대계 제2권, 북경대학 조선문화연구소, 2005) 12, 14, 306~307면
  • 창강 김택영의 중국 망명과 한국사 저술 활동(최혜주, 창강 김택영 사거 90주기 기념 국제학술회의 발표문모음집, 2017) 60~6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택영 자 : 우림(于霖), 호 : 창강(滄江), 소호당주인(韶護堂主人) 경기도 개성(開城) -
본문
1850년 10월 15일 경기도 개성부(開城府) 자남산(子南山)에서 개성부 분감역(分監役) 김익복(金益福)과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희락(尹禧樂)의 딸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화개(花開)이고 자(字)는 우림(于霖), 호(號)는 창강(滄江), 운산소호당주인(雲山韶護堂主人)이다. 한말의 독립운동가인 강위(姜瑋), 황현(黃玹) 등과 대표적인 3대 시인이라고 칭송되었다.1866년에 성균관 초시(初試)에 합격하였다. 1873년 견산당(見山堂)을 방문해 기문을 지어준 교리(校理) 이건창(李建昌)과 교류하면서 명성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건창으로부터 “고려 유민인 일사(逸士)의 아취(雅趣)가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1882년 김윤식(金允植)을 통해 중국의 문인인 장건(張騫)을 만나게 되었고, 이후 중국에도 명성이 알려지게 되었다.1891년 성균관 진사회시(進士會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1894년 편사국주사(編史局主事), 1895년에 중추원참서관 겸 내각참서관(中樞院參書官兼內閣參書官)에 임명되었다. 1903년에 통신사 전화과 주사에 임명되었으며, 문헌통고속찬위원(文獻通考續撰委員)이 되었다. 1905년 6품의 품계로 학부 편집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 을사늑약이 체결되었기 때문에 처자를 데리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해임되었으며, 동시에 문헌비고찬집소 위원(文獻備考纂輯所委員)에서도 해임되었다. 다만 고종이 1907년 문헌비고찬집소의 관원에게 시상할 때 정3품의 관원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실제로 1905년에 해임되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장건의 도움으로 중국 장쑤성(江蘇省) 양자강 하류인 남통주(南通州), 오늘날 상하이(上海)시의 북쪽에 정착하여 장건이 세운 한묵림인서국(翰墨林印書局)에서 일하였다. 1910년 망국의 소식을 듣고 3일 동안 소복을 입고 곡을 하였다. 이후 「오호부(嗚呼賦)」를 지어 망국의 한을 표출하였다. 「오호부」에서 “동풍이 매섭게 불어 바닷물이 육지를 덮고 인왕산이 뿌리째 뽑혔다. 이제 기자의 제사를 어느 민족이 계속해줄 것인가”라고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것을 탄식하였다. 그 해 황현이 자결하자 1911년에 『매천집(梅泉集)』을 간행하였다.중국에서 거주하면서 역사 서술을 통해 한국사를 주체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도록 하여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교정삼국사기(校正三國史記)』(1916년), 『한사경(韓史綮)』(1918년), 『한국역대소사(韓國歷代小史)』(1922년), 『신고려사(新高麗史)』(1924년) 등의 한국사 서적을 다수 집필하였고 그 서적들은 한묵림인서국에서 출판되었다.『한사경』은 한국의 독립에 관련된 역사서를 서술한 것 중에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된 역사적 원인을 설명한 책이다. 조선 왕조의 건국 과정, 국왕의 실정, 부도덕 등을 망국의 원인으로 보고 비판하였다. 1913년에 처음 간행한 『한사경』은 조선시대사가 근간이었으며, 태조부터 양제(讓帝)까지 23대왕, 2제, 2폐주(廢主) 도합 519년의 역사를 6권으로 정리하였다. 초기에는 『대동기년(大東紀年)』,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매천야록(梅泉野錄)』 등에만 근거하여 서술하였기 때문에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당의통략(黨議通略)』, 『산제징신록(山齋微信錄)』 등의 자료를 보충하여 1918년 한묵림인서국에서 재차 간행하였다.『한사경』에는 총 50편의 사론(史論)이 실려 있다. 특히 조선 왕조 정치계의 4당분위(四黨分位)를 개탄하며 당쟁의 기원과 경과 및 폐단에 대해 기술하고, 당쟁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의 시비도 설명하였다. 박지원의 『연암집』을 재편한 『중편연암집(重編燕巖集)』의 주(注)에서도 노론(老論)·소론(小論)·남인(南人)·북인(北人)의 사색당파(四色黨派)를 비난하였다. 이러한 『한사경』의 조선 왕조사 포폄을 둘러싸고 1923년에 유림과 논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당시 유림의 대표인 유림총부(儒林總部)와 태극교본부(太極敎本部)가 『한사경』을 비난하는 『한사경변(韓史綮辨)』을 간행하였다.『한국역대소사』에서는 단군(檀君)·기자(箕子)·마한(馬韓)·삼국(三國)·통일신라로 이어지는 역사 체계를 구성하고, 발해사를 서술하여 고대사 체계를 정리하였다. 특히 강역을 중시하여 정약용(丁若鏞)의 『강역고(疆域考)』와 유득공(柳得恭)의 『사군지(四郡志)』에 근거하여 고증하였고, 일본사를 참고하여 대외관계사 부분도 정리하였다.『신고려사』에서는 고려의 역사를 주체적으로 서술하려고 시도하였다. 특히 『고려사』의 「세가(世家)」를 「본기(本紀)」로 하였고, 고려의 유민에 대해 별도로 서술하였다. 또한 사건을 서술할 때 찬(贊)을 통해 사건의 성패 원인을 실증적·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이외에도 대표적인 편찬서로 『여한구가문초(麗韓九家文鈔)』가 있다. 고려와 조선의 문장가 9인을 선정하고 그들의 대표적인 산문을 선별하여 정리한 책이다. 선정한 9인은 김부식(金富軾)·이제현(李齊賢)·장유(張維)·이식(李植)·김창협(金昌協)·박지원(朴趾源)·홍석주(洪奭周)·김매순(金邁淳)·이건창(李建昌)이다. 1921년에 그의 제자 왕성순(王性淳)이 스승의 문장까지 덧붙여 『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鈔)』로 간행하였다.1927년 장제스(蔣介石)가 상해정변을 일으켜 중국의 정치 상황이 혼란해지자 독립 가능성을 비관하였다. 같은 해 3월 30일 중국 장쑤성 남통주에서 아편으로 음독 자결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중국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택영(관리번호:96042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