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949
성명
한자 李會榮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년도 1962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1992년 1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망국(亡國) 후 서기 1909년 신민회(新民會) 간부로서 성경성(盛京省)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原浦)에 군관학교 설치기지를 구색함
2. 서기 1910년 4월 자치기관으로 경학사(耕學社)를 조직하였고 병농제(兵農制)를 채택하여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전신인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설립하고 개간과 농업에 종사하면서 군사훈련을 실시하여 조국광복의 인재를 양성함
3. 독립당(獨立黨) 상해(上海)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가는 도중 일경에 체포되어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옥사하였음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4권(1987년 발간)

서울 저동(苧洞) 사람이다.

일제의 국권침탈에 반대하여 일가가 모두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09년 봄 서울의 양기탁(梁起鐸) 집에서는 신민회(新民會) 간부인 그와 안태국(安泰國)·이승훈(李昇薰)·김 구(金九)·이동녕(李東寧)·김기홍(金基弘)·조성환(曺成煥) 등이 함께 모여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한 방책을 논의하였다. 그리하여 같은 해 여름 그와 이동녕·주진수(朱鎭洙) 등이 독립기지 건설의 적지를 찾기 위하여 만주에 파견되었으며, 유하현 삼원보 추가가(柳河縣三源堡鄒家街)지방을 선정하여 개척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이석영(李石榮)·이시영(李始榮) 등 형제들과 일가권속을 모두 이끌고 1910년 봄 이 황무지로 망명하였다.

1910년 봄 추가장(鄒家莊)에 정착한 그는 1912년에 이주 동포들을 위한 자치기구인 경학사(耕學社)를 조직하고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설립하여 독립군 양성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1913년 동지들의 암살을 목적으로 일경이 파견되었다는 정보에 접하고, 다시 국내로 들어와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광무황제를 해외로 망명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광무황제가 붕어함으로써 실패하고 말았다.

이에 그는 1919년 2월 북경(北京)으로 망명하였으며 이때부터 민족주의로부터 점차 무정부주의로 선회하기 시작했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상해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임시의정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24년 4월에는 유자명(柳子明)·이을규(李乙奎)·이정규(李丁奎)·정현섭(鄭賢燮)·백정기(白貞基) 등과 함께 재중국무정부주의자연맹을 조직하고 정의공보를 간행하였다.

1928년 7월에 남경(南京)에서 한·중·일·필리핀·대만·안남(安南) 등 각국 아나키스트들이 모여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을 결성하자 그는 이 대회에 「한국의 독립운동과 무정부주의운동」이라는 메시지를 보내, 한국 무정부주의운동은 약소민족의 진정한 해방운동이요, 한국민족의 진정한 해방운동은 곧 무정부주의운동인 까닭으로 각국 동지들은 한국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해 줄 것을 호소하였다.

1930년 4월 국내에서 신현상(申鉉商)·최석영(崔錫榮)·차고동(車鼓東) 등이 수만원의 운동자금을 마련해 오자, 그는 이 돈을 자금으로 하여 만주에 총력을 집중하고, 상해(上海)·복건(福建)·북경(北京)에 연락부를 둘 것을 제안했다.

1931년에는 정해리(鄭海理)·김광주(金光州)·원심창(元心昌)·박기성(朴基成)·이용준(李容俊)·유산방(劉山芳)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과 관련을 맺고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동년 9월 만주사변이 일어나자 중국에 흩어져 있던 동지들이 상해에 모였으며 그를 의장에 추대하여 의열투쟁을 계속하기로 결의하였다.

1932년에는 만주에 연락근거지를 마련함과 아울러 주만일군사령관 암살등을 목적으로 대련(大連)행 기선을 타고 만주로 가던 중, 일경에 탐지되어 체포되었다.

그는 노령인데다가 일경의 무자비한 고문으로 끝내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우관문존(이정규) 23·38·5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300·688·800·86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100·159·162·17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5권 34·35·162·164·165·66·170·171·172·18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71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8권 327·361·92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0권 324·655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137·142·14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0권 1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1권 35·825·833·838·840·841면
  • 조선민족운동년감 3·8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91·254·446·450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23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39·40·42·44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637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3·17면
  • 벽옹김창숙일대기 109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33·36·3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2권 520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4·47·48·132·133·134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기념관 우당기념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2 기타 상동교회 서울특별시 중구
3 동상 우당 이회영선생 흉상 서울특별시 중구
4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5 사당 대한이산 묘 전라북도 진안군
6 기념관 이회영기념관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회영(관리번호:894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