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834
성명
한자 趙泳善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06년 이후 호남(湖南) 각지(各地)에서 의병항쟁을 주도한 최익현(崔益鉉) 창의대장(倡義大將)과 행동을 같이 하며 항상 조언하여 시종(侍從)한 자로 1906. 4. 일군(日軍)에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고 면암(勉庵)선생과 더불어 일관헌(日官憲)에게 태 100도형(笞百度刑)의 언도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조영선은 전라남도 곡성(谷城) 출신으로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무효화를 주장하며 의병운동을 전개하였다.

1906년 담양(潭陽)에서 최익현(崔益鉉)과 그리고 용추사(龍湫寺)에서 송사 기우만(奇宇萬)을 비롯한 호남선비 50여명과 함께 천하대사를 의논하였다.

순창(淳昌) 일대에서 최익현의 의진이 명성을 떨치자 의진에 입진하여 정읍·순창·곡성 등지에서 병력을 보강하고 순창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순창에 이르자 관찰사 이도재(李道宰)가 의병해산을 권고하는 황제의 칙서와 고시문(告示文)을 전달하여 왔다.

한편에서는 읍의 동북쪽에서 왜군이 쳐들어온다는 보고가 들어와 돈헌 임병찬(遯軒 林炳瓚)이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 보니 왜군이 아니라 전주와 남원 방면에서 들어온 진위대였다.

면암은 구국을 위한 의거인데 관군과 더불어 전투할 수 없다고 그들에게 물러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관군은 포격을 가하였고 의진은 모두 흩어졌다. 면암의 주위에는 조영선을 비롯한 12인의 문인들만이 남아 있을 따름이었다.

이들은 포위망을 좁혀 들어오는 관군에게 전혀 대항하지 않았다. 끝내 관군에게 체포되어 경성으로 압송되었으며 조영선은 태형(笞刑) 100도의 형을 받았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기려수필 10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권 377∼382면
  • 매천야록 38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2권 55∼67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독립유공자 위령탑 전라남도 곡성군
2 사당 오강사 전라남도 곡성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조영선(관리번호:883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