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485
성명
한자 金永祿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44. 6. 학병(學兵)으로 광복군 한광반(韓光班)에 입대하여 광복에 이르기까지 독립운동 진영(獨立運動陣營)기여(寄與)특출(特出)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남 평양(平壤) 사람이다. 일본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44년 1월 20일 일본군에 징집되어 중지파견군 제7995부대에서 근무 중 탈출하여 광복군 제1지대에 입대하였다. 한광반(韓光班) 간부훈련을 수료하고 항일활동을 계속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85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377·420·46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영록 - 평안남도 평양(平壤) -
본문
1921년 9월 8일 평안남도 평양시 순영리에서 태어났다. 일본으로 유학하여 일본대학 경제학과를 다녔다.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1944년 1월 20일 평양에 있는 일본군 제42부대에 입대하였다. 중국으로 파견되어 쉬저우(徐州) 근처에 있는 중지(中支)파견군 제7995부대에서 2개월 동안 훈련을 받고, 6월 츠카다塚田부대에 배속되었다.1944년 7월 7일 학도병 윤경빈(尹慶彬)·홍석훈(洪錫勳)·장준하(張俊河)와 함께 일본군을 탈출하였다. 중국 장제스(蔣介石) 휘하 중국군 부대의 보호를 받으며 머물다, 이곳에서 먼저 탈출한 김준엽(金俊燁)을 만났다. 이들과 함께 중국인의 안내를 받아 1944년 9월 10일 광복군 징모 제6분처가 활동하고 있던 안후이성(安徽省) 린취안(臨泉)에 도착하였다. 여기서 한국광복군훈련반에 들어가 군사훈련을 받았다. 한국광복군훈련반은 푸양(阜陽)을 근거로 병력을 모집하는 초모활동을 전개하던 징모 제6분처 주임 김학규(金學奎)가 중국군 제10전구 사령관 탕언보(湯恩伯)와 교섭하여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제10분교 간부훈련단에 특별히 설립한 것으로, 징모 제6분처에서 초모해 온 한인청년들과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도병들을 모아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있었다.한광반에서 2개월 정도 훈련을 받고, 1944년 11월 졸업하였다. 졸업생은 일반 출신과 학도병 출신 등 모두 48명이었다. 졸업생들이 푸양에 남을 것이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있는 충칭으로 갈 것이냐를 두고 고민할 때, 충칭행을 선택하였다. 충칭행을 희망한 인원은 장준하·김준엽·서상렬(徐相烈)·노능서(魯能瑞) 등 36명이었다. 1944년 11월 말 이들과 함께 교관 신송식(申松植)의 인솔 하에 린취안을 출발하여, 허난성(河南省) 난양(南陽)을 거쳐 후베이성(湖北省) 라오허커우(老河口)에 도착하였다. 이곳에서 20여 일 동안 머물렀다.라오허커우에 머무는 동안 그곳에서 유행하고 있던 옴에 옮았다. 걸음을 걸을 수 없을 정도로 증세가 심하였다. 일행이 충칭을 향해 출발할 때, 안광언(安光彦)과 함께 라오허커우에 남았다. 당시 라오허커우에는 김준(金俊)을 구대장으로 하는 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김준은 조선의용대에서 전방공작원으로 활동하던 인물이었다. 1942년 조선의용대가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되자, 라오허커우에서 활동하던 김준을 중심으로 하는 조선의용대 대원들은 제1지대 제1구대로 편제되었다.라오허커우에서 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 대원이 되어, 광복군 병력을 모집하는 초모활동을 전개하였다. 제1구대에는 허난성 딩정우(定州)와 난양, 안후이성 루안(六安)과 타이허(太和), 허베이성의 담현(潭縣) 등 5곳에 초모공작반을 파견하여 병력을 모집하는 활동을 벌였다. 그 결과 최상재(崔相齋)·이무중(李茂重)·서정천(徐廷天) 등 12명의 한인 청년들을 모집하였다. 중국군 제5전구 사령부와 교섭하여, 이들을 제5전구 간부훈련단 정공(政工)간부훈련반에 입교시켜 교육과 훈련을 받도록 하였다. 정공(政工)간부는 정치공작 간부를 말한다. 이들은 졸업 후 모두 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 대원이 되었고, 1945년 3월 현재 대원수가 27명에 이르게 되었다.이후 행적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광복 후 귀국하여 국군에 들어가 장교로 복무하였다고 하며, 1977년 운수업에 종사한 것으로 되어 있다. 2004년 9월 12일에 사망하였고,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되었다.대한민국정부는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영록(관리번호:848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