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035
성명
한자 吳永善
이명 吳允吉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16년 04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19년 상해(上海) 임시정부(臨時政府)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議員)으로 선출(選出)이래(以來) 1931. 11월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 국무원(臨時政府國務院) 비서장(秘書長), 국무원(國務員), 법무총장(法務總長), 군무부장(軍務部長), 외무부장(外務部長)등을 역임(歷任)하며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경기도 고양(高陽) 사람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李東輝)의 사위이다. 대한제국(大韓帝國) 당시 한국무관학교(韓國武官學校)를 졸업하고 1907년경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중국 동삼성(東三省)으로 망명하여 1914년 12월 이동휘와 함께 길림성(吉林省) 동녕현(東寧縣) 나자구(羅子溝)에 동림무관학교(東林武官學校)를 설립하고 교사로 재직하면서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성립되자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의 경기도지역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0년 9월 20일 임시정부의 국무원(國務院) 비서장에 임명되어 국무총리 이동휘를 보좌하다가 1921년 2월 24일 면직되었다. 1923년 10월에는 상해 거주 한인독립운동가들이 조직한 교민단(僑民團)의 의원으로서 교민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활동하였으며 동년 상해에서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가 설립되어 임시정부 옹호파와 국민대표회의 개조파에서 헌법기초위원(憲法起草委員)을 선출할 때 위원으로 임명되어 기초위원회 규정을 작성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24년 1월 12일부터 동년 12월까지 상해 교민단의사회(僑民團議事會)의 학무위원에 선임되었으며, 상해 임시정부의 박은식(朴殷植)이 임시대통령으로 집권하고 있을 당시 임시의정원에서 국무위원에 선출되어 법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25년 3월에서 동년 11월에 이르는 기간에는 중국 동삼성 소재 항일독립운동단체의 분규를 수습 조정하는 임무를 담당하였고, 대한적십자회(大韓赤十字會)의 총재인 손정도(孫貞道)가 2년동안 간도에 가 있을 때 총재 직무대행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또한 1926년 안창호(安昌浩)의 주창에 의하여 조직된 임정경제후원회 발기준비위원회(臨政經濟後援會 發起準備委員會)에 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상해에서 독립운동촉진회(獨立運動促進會)를 조직하여 안공근(安恭根)회장과 함께 한국민족의 해방을 촉구하면서 대동단결을 실현시키기 위해 활동하였고, 상해 임시정부의 신임시약헌(新臨時約憲)이 공포되어 개각된 김구(金九) 국무령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국무위원에 선임되었다. 1927년 8월 이동녕(李東寧)이 수석 국무위원으로 있을 때 외무부장에 임명되었고, 1928년 4월에는 군무부장으로 활약하다가 1930년 9월 사임하였다. 1931년 11월 6일 그는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으나 와병으로 인하여 결원처리된 후 1939년 3월 10일 상해에서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國外容疑朝鮮人名簿(總督府 警務局) 134面
  • 思想情勢視察報告集 243面
  • 朝鮮民族運動年鑑 89·127·167·179·185·189·211面
  • 明治百年史叢書(金正明) 第1卷 分冊 63面
  • 明治百年史叢書(金正明) 第2卷 144·472·493·863面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8卷 157·336·520面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3卷 613面
  • 韓國獨立運動史(國史編纂委員會) 第2卷 157·336·520面
  • 韓國獨立運動史(國史編纂委員會) 第3卷 38面
  • 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第1輯 54·55·135面
  •  翁金昌淑一代記(心山事業會) 200面
  • 臨時政府議政院文書(國會圖書館) 130·143∼156·220面
  • 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編)(國會圖書館) 38, 39, 42∼45, 48, 54, 55, 135, 310, 320, 321, 322, 330, 410, 420, 433, 453, 529, 538, 541, 574, 598, 600, 601, 604, 618, 628, 657, 667面
  • 武裝獨立運動秘史 192面
  • 民族獨立鬪爭史史料(海外篇) 69·87·131面
  • 現代史資料(姜德相) 第27卷 156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12輯 1219面
  • 獨立新聞(1920. 4. 20)
  • 思想情勢視察報告集 (其2) 453面
  • 高等警察要史(慶北警察部) 89∼91·95·105·118·122面
  • 除籍謄本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4卷 178·474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오영선 오윤길(吳允吉), 호 : 석농(石農) 경기 고양(高陽) -
본문
1886년 4월 13일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한지면(漢芝面) 이태원리(梨泰院里, 현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태어났다. 호는 석농(石農)이고, 이명은 윤길(允吉)이다. 대한제국 당시 한국무관학교(韓國武官學校)를 졸업하고 1907년경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중국 동삼성(東三省)으로 망명하였다. 1914년 12월 이동휘와 함께 지린성(吉林省) 둥닝현(東寧縣) 라자구(羅子溝)에 동림무관학교(東林武官學校)를 설립하고 교사로 재직하면서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성립된 후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에서 경기도 출신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0년 9월 임시정부의 국무원(國務院) 비서장에 임명되어 국무총리 이동휘를 보좌하였다. 이때 법무차장 겸 임시법률 기초위원장에 변호사 출신 안병찬(安秉瓚), 내무부 참사(參事)에는 정제형(鄭濟亨) 등이 임명되어 함께 활동하였다. 1920년 상하이(上海)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총리를 지낸 이동휘(李東輝)의 차녀 이의순(李義橓)과 결혼하였다. 이의순은 함남 단천(端川) 출신으로 1902년경 부친이 경기도 강화도(江華島) 진위대장으로 활동하게되자 할아버지, 언니 인순(仁橓) 등과 함께 7세의 나이에 서울로 이사와 성장하였다. 1911년 가을, 함북 성진(城津)으로 이주하여 살다가 부친을 따라 두만강을 건너 옌지(延吉)의 국자가(局子街)로 이주하였다. 그해 허룽현(和龍縣) 명동촌(明東村)에 있는 민족 학교인 명동학교 교사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마을마다 야학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동시에 부흥사경회(復興査經會)도 개최하여 이를 계기로 1919년 명동여학교(明東女學校)를 병설하는 등 간도지역 여성 민족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918년 가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여 신한촌(新韓村) 삼일여학교(三一女學校)에서 교사로 활동하면서 채성하(蔡聖河)의 맏딸 채계복(蔡啓福과) 같이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를 조직하여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부친 이동휘가 임시정부에 참여하게 되자 1920년 할아버지 이발(李發)과 상하이로 이주하였다. 상하이에서 장차 독립전쟁에서 활동할 간호부의 양성을 위하여 적십자회를 조직하여 활동하던 중 오영선과 결혼하였다. 1930년대에는 상하이 교민자제 교육기관인 인성학교(仁成學校) 교장 김두봉(金枓奉)의 처 조봉원(趙奉元) 등과 함께 기존의 여성단체 조직인 상해한인부인회를 개조하여 보다 급진적인 조직인 상해한인여성동맹에서 활동하는 등 1930년 서거하기까지 독립운동 일선에서 남편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1년 10월 1일 상해유학생회가 일본 도쿄(東京) 유학생의 2 ・ 8독립선언을 기념하기 위한 2 ・ 8구락부(俱樂部)로 개명하고 「젬마 퓔드」 공원에서 운동회를 개최할 때 김철수(金錣洙), 노백린(盧伯麟), 주요섭(朱耀燮), 주요한(朱耀翰), 신익희(申翼熙), 장붕(張鵬), 안병찬 등 동회(同會) 회원 43인과 함께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1922년 2월 23일 상하이 대한적십자회는 총본부 사무실에서 민국(民國) 3년도 결산안과 예산안 통과와 임원 개선을 할 때 이사장에 당선되어 회장에 당선된 손정도(孫貞道), 평의원에 당선된 신창희(申昌熙) ・ 김위택(金偉宅)과 같이 활동하였다. 1922년 1월 1일 『독립신문』에 「신년(新年)의 신각오(新覺悟), 독립운동에 관하야」라는 신년사를 기고하면서 변화와 각오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공사를 분간할 것,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 개인의 욕망을 억제할 것, 감정에 흐르지 말고 이성(理性)에 부를 것, 동지의 언사나 행동을 선의로 대할것 등을 주창하였다. 그해 1월 말 워싱턴 군축회담에서 한국 문제가 한마디 거론조차 없이 끝나면서 독립운동가들은 이승만의 대미외교 활동에 크게 실망하였고 임시정부 위신도 추락하였다. 이에 반해 동년 2월 초 막을 내린 극동인민대표회의에서는 약소민족해방운동을 적극 지지하며 민족부르주아운동과 반민족통일전선을 촉구하며 한국 등 약소민족 문제에 깊은 관심을 표하였다. 이 회의에 참석하였던 50여 명의 한인 대표들은 상하이로 돌아와 국민대표회의 개최를 요구하였다. 당시 임시정부는 외교노선의 한계와 특히 재정적 어려움에 봉착하자 그해 2월 말 내각이 총사퇴를 결의하는 동시에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 개최를 요구하였다. 그러자 이 문제를 놓고 격론이 벌어졌다. 이때 이유필(李裕弼), 도인권(都寅權), 차리석(車利錫), 안정근(安定根), 신익희(申翼熙) 등과 함께 국민대표회의 개최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이 현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주장하며 임시의정원의 결의를 받아들이지 않자 의원들 사이에 이승만 대통령 및 국무위원 사퇴를 요구하면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이때 안정근, 조상섭(趙尙燮), 차리석, 양기하(梁基瑕) 등과 함께 ‘인민의 신망 결여와 정국수습 능력 부족으로 독립운동의 정지를 초래, 파리강화회의와 워싱턴회의의 외교 실패, 후계내각을 조직하지 못하고 무정부상태 초래’ 등의 이유를 들어 이승만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하였다. 이 안은 동년 7월 20일 임시의정원 회의를 통해 가결되었다. 1923년 10월 상해한인교민단(上海韓人僑民團) 의원으로 교민 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활동하였는데, 그해 국민대표회의가 열리고 임시정부 옹호파와 개조파 사이에 논쟁이 있을 때 헌법기초위원(憲法起草委員)으로 임명되어 기초위원회 규정을 작성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24년 1월 12일부터 동년 12월까지 상해 교민단의사회(僑民團議事會) 학무위원에 선임되었으며, 박은식(朴殷植)이 임시대통령 시절 국무위원에 선출되어 법무총장에 임명되어 내무총장 이유필(李裕弼), 재무총장 이규홍(李圭洪), 학무총장 조상섭(趙尙燮), 교통총장 노백린(盧伯麟), 외무총장 김철(金徹), 노동국총판 김갑(金甲)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5년 3월부터 11월에 이르는 기간 중국 동삼성 소재 항일 독립운동단체의 분규 수습을 조정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대한적십자회(大韓赤十字會)의 총재 손정도가 2년 동안 간도에 가 있을 때 총재 직무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1926년 5월 안창호의 주창에 의하여 조직된 임시정부경제후원회 발기준비위원회에 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독립운동촉진회(獨立運動促進會)를 조직하여 안공근(安恭根) 회장, 조상섭 등과 함께 한국 민족의 해방을 촉구하면서 대동단결 실현을 위한일에 나서기도 하였다. 동년 12월 10일 신임시약헌(新臨時約憲)이 공포된 후 단행된 개각 때 김구(金九) 국무령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군무장에 임명되어 외무장 이규홍(李圭洪), 법무장 김철(金徹), 내무장 윤기섭(尹琦燮), 재무장 김갑(金甲)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7년 8월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국무위원에 선임되었으며, 이동녕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외무장으로 내무장 김구, 군무장 김철(金徹), 재무장 김갑(金甲)과 같이 활동하였다. 1928년 4월에는 군무장으로 자리를 옮겨 1930년 9월 사임할 때까지 활동하였다. 1931년 11월 초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으나 병으로 결원 처리된 후 1939년 3월 10일 상하이에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오영선(관리번호:503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