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35
성명
한자 金道源
이명 金仁俊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62 훈격 독립장
1. 1920년 간도(間島) 통화현(通化縣)에 가서 동 6월에 보합단(普合團)을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집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로 송금하였다.

2. 동년 11월 서울에 돌아와서 운니동(雲泥洞) 변석연(邊錫淵)의 집에 군자금을 모집하러 갔을 때 종로서(鐘路署) 형사가 와서 잡으려 함으로 일경(日警) 1명을 즉석에서 사살하고 또 1명을 관통상을 받어 조금후에 죽었음. 미구체포되어 사형에 처하였음.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4권(1987년 발간)

평북 선천(宣川) 심천(深川) 사람이다. 1919년 3·1운동이 국내에서 일어나자 동만의 안도현(安圖縣) 일대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던 이규(李圭)·강 희(姜熹)·이동주(李東柱)·조동식(趙東植) 등이 안도현 내도산(內島山)에 정의군정사(正義軍政司)를 설치하였는데 이때 참가하여 출납 과장으로 활약하였다. 1920년 여름에는 김동식(金東植)·백운기(白雲起)·박초식(朴初植)·김중량(金仲亮) 등이 중심이 되어 의주군 월화면(月華面)에 있는 동암산(東岩山)에서 조직한 보합단에 가입하여 주요 간부로서 단원 모집, 일제 앞잡이 처단, 군자금 모집 등 많은 활동을 하였으며, 동년 7월 24일에는 신의주 일경의 혐의를 받고 신의주 기독청년회원 장성식(張晟拭)·김정원(金定源) 등과 함께 체포되기도 하였다. 1920년 12월 이광세(李光世)와 함께 서울에서 따로 무장활동 계획을 하고 있던 이종영(李鍾榮 일명 : 權秀貞)·조상백(曺相伯) 등과 함께 친일파 처단, 은행 습격 및 부호를 통하여 대대적인 군자금 모집 계획을 추진하다가 일경에 발각되어 종로구 운니동(鐘路區 雲泥洞)에서 총격전을 벌여 일경 2명을 사살하고 도피하였으나 탄환이 떨어져 체포되었다.

1922년 12월 2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자 그는 "대장부가 개, 돼지 같은 도적 몇 놈을 죽인 것으로 죽을 수 있느냐"고 호통치며 적을 꾸짖었다. 그러나 1923년 4월 6일 마침내 사형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기려수필 305·306면
  • 동아일보(1920. 7. 24, 1921. 7. 24, 7. 25, 1922. 2. 5, 2. 26, 12. 28)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35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5권 287·33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0권 775∼786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17·232·307·427·428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14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51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64·67·68·69면
  • 한국민족운동년감 5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도원 김인우(金仁優) 평안북도 선천(宣川) 보합단사건(운니동사건)
본문
1895년 10월 20일경 평안북도 선천군(宣川郡) 심천면(深川面) 월곡동(月谷洞)에서 출생하였다. 이명은 김인우(優)도 사용하였으나, 김인준(金仁俊)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13세에 선천 일신(日新) 사립소학교에 입학해 16세에 졸업하였다. 서울의 사립 오성학교(五星學校)에 들어가 19세에 졸업하였다. 22세에 남만주로 갔다가 돌아와 고향에서 1년간 가산육영학교(佳山育英學校)에서 수학했으며, 다시 2년 동안 철령(鐵岺)의 육영학교에서 중국어를 공부하였다. 조부의 성명은 김봉하(金鳳夏)였다. 부인은 그가 붙잡힌 1920년에 사망했으며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1919년 대한정의단(大韓正義團)의 분파로 이규(李圭)를 총재로 한 대한정의군정사(大韓正義軍政司)가 조직되자, 출판과장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8월 김현원(金賢元)으로부터 보합단(普合團)에 관한 얘기를 듣고 평북 의주군(義州郡) 동암산(東岩山)에 위치한 보합단 본부를 찾아가 입단하였다. 보합단에 가입한 시점은 대조선청년결사대(大朝鮮靑年決死隊)가 보합단으로 단명을 개칭하고 단장 김중량(金仲亮)과 총무 김동식(金東植, 이명 金攸信, 金天浩)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시기였다. 가입 직후 의주·선천·용천(龍川)·철산(鐵山) 등 평북 도내 각지를 돌며 상하이(上海)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의 재정 원조를 위한 군자금 모금, 보합단원 모집, 친일·부일배 응징·일제 군경과의 교전 등의 활동을 펼쳤다. 1920년 10월 보합단의 근거지가 발각되어 일제 경찰과의 교전 끝에 백운기(白雲起)·박세정(朴世正)이 붙잡혔다. 한우종(韓禹種)·이동원(李東元)·김응초(金應焦) 등 단원 3인이 순국하자 보합단은 본거지를 만주 콴뎬현(寬甸縣)으로 옮겼다. 일부 대원들과 함께 국내에 남아 콴뎬현의 본부 대원들과 연계하며 군자금 모금 활동을 지속하였다. 동지 박덕유(朴德裕)와 함께 철산군 서림면의 부호인 김도혁(金道赫)·김도회(金道曾)·김도채(金道采) 등으로부터 군자금을 모금하였다. 또한 박초식(朴初植)·이광세(李光世) 등과 함께 정혜면(丁惠面)에 사는 외척 정창학(鄭昌鶴)을 찾아가 군자금 1,000원을 확보했으며, 11월에는 선천군의 전석원(田錫元)·전윤영(田允永)으로부터 군자금으로 어음을 받았다. 이 무렵 서울에서 활동하던 무장계획단(武裝計劃團)의 조상백(曺相伯)이 차련관(車輦館)으로 장정용(張廷鏞)을 찾아와 무기를 요청하였다. 이종영(李鍾滎)·조상백 등이 조직한 무장계획단은 상하이의 임시정부로 자금을 송금하고 있었으나, 무기가 없어 자금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보합단의 활동을 삼남지역으로 확대하고자 경상도 지부 설치의 뜻을 평소부터 품고 있었는데, 고향 친구인 장정용을 통해 조상백을 소개받게 되었다. 대화 결과 무장계획단에 무기를 알선해주는 대신 연합하여 서울에서의 군자금 모집 활동은 물론 한반도 남부지방을 무대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로 약속하였다. 무기 알선을 위해 자신의 권총 이외에 김동식으로부터 권총 3정, 탄환 200발을 추가로 지원받았다. 11월 14일 보합단 명의로 서울의 부호 변석연(邊錫淵)에게 군자금 3만원 청구서를 발송하고, 11월 15일 이광세·장정용과 함께 서울에 왔다. 두 단체 대원들은 이종영의 숙소인 관철동(貫鐵洞) 조선여관(朝鮮旅館)에 머물면서 군자금 모금에 관해 논의했으며, 친일파 처단은 물론 서울 지역의 은행 폭파를 계획하고 폭탄과 화약 등도 준비해 두었다. 이는 한성은행(漢城銀行)·한일은행(韓一銀行) 등을 습격해 군자금을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11월 28일 무장계획단원 이종영·조상백·장석두(張錫斗)·이성규(李成珪) 등과 함께 운니동(雲泥洞)에 있는 변석연(邊錫淵)의 집을 찾아가 장남 변덕영(邊德永)을 협박해 군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12월 4일 동지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단신으로 군자금 수령을 위해 재차 변덕영을 찾아갔다. 집 대문에 “자금이 준비되어 있다”라는 뜻의 분필 표시가 있는 것을 보고 들어가 잠복하고 있던 종로경찰서 형사 3명과 교전을 벌여 형사 이정선(李廷善)과 곤도 시게도시(近藤茂禮)를 사살하고 현장을 빠져나왔으나 12월 7일 붙잡히고 말았다. 1922년 2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주거침입·강도·공무집행방해 및 강도살인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어서 경성복심법원에 항소했으나 12월 27일 기각되었고, 1923년 2월 26일 고등법원의 상고 역시 기각되었다. 4월 6일 서대문감옥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옥중에 있는 동안 불교 서적에 심취했고 사망 전에는 “사람이 사는 데에는 사랑이 있어야 하고人生有愛,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는 참을 줄 알아야 한다事業唯忍”라는 유언을 남겼다. 1976년 무후선열로 서울 국립현충원에 위패가 봉안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대정8년 제령 제7호 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 1922-12-27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대정8년 제령 제7호 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23-02-2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도원(관리번호:43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