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036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金時晃
이명 金仲亮, 金時璜, 金東岩, 道岩(號)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가족관계창설일 2022-09-14 도움말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20년 평북(平北) 의주군(義州郡) 동암산(東岩山)에서 대한독립보합단(大韓獨立普合團)조직(組織)하여 단장(團長)으로서 300여명(餘名)단원(團員)무장(武裝)시켜 일 기관(日機關)파괴(破壞)일군경(日軍警)수차(數次)에 걸쳐 교전(交戰)하였으며 그(後) 만주(滿洲) 관전현(寬甸縣)으로 이동(移動)하고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합류(合流)하고 관서지방(寬西地方) 총관(總管)으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1920년 여름 평북 의주군 동암산(東岩山)에서 동지 김동식(金東植) 등과 함께 항일결사대인 보합단(普合團)을 조직하고 단장에 선임되어 300여 명의 단원을 무장훈련시켜 용천(龍川)·철산(鐵山)·선천(宣川) 등지의 일제기관을 습격 파괴하면서 친일밀정의 숙청, 군자금모집 등에 크게 활동하였으며 해외 독립운동단체와의 연계투쟁에도 힘썼다.

1920년 9월 선천군 내산사(內山寺)에서 일경의 급습으로 교전하다가 1명이 전사하고 많은 단원이 일경에 붙잡혔으며, 자신도 중상을 입고 간도로 망명하였다.

1920년 10월 압록강(鴨綠江)과 안동현(安東縣) 부근에서 여러차례 일경과 교전하고 관전현(寬甸縣)으로 가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합류, 관서지방 총관(寬西地方 總管)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그후 동삼성(東三省) 일대 독립운동 진영의 불화와 반목을 비관하고 중국 북경(北京) 근교에서 은거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國獨立史(金承學) 下卷 110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5卷 246·287面
  • 東亞日報(1921. 3. 25)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217·232·252·428·432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11輯 115∼119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시황 김중량(金仲亮), 김동암(金東岩) 평안북도 의주(義州) -
본문
1870년경에 태어났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1871년 12월 16일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비현면(枇峴面) 정산동(亭山洞)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이명으로 김중량(金仲亮), 김동암(金東岩)이 있다. 1920년까지 비현면에서 서당 훈장을 하였다. 이후 보합단 단장으로 활동했으며, 두 아들인 김덕하(金德河)와 김태하도 보합단원으로 활약하였다. 김동식(金東植)이 중국 콴뎬현(寬甸縣)에 거주하며 사촌 김평식(金平植)과 함께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기맥을 통하다가, 1920년 2월 대조선청년결사대(혹은 대한청년결사대)의 명의로 된 군자금 영수증 용지 수백 매를 갖고, 평북 의주군 비현면에서 백운기(22세), 안효준(24세)과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였다. 이들이 국내에서 활동을 본격화하려고 찾아오자, 즉석에서 찬성하여 자신이 갖고 있던 화승총 2정을 제공하였다. 자택 뒷산 암굴을 임시본부로 하여 본격적인 조직체계 정비에 나섰다. 아들인 김덕하·김태하를 단원으로 가입시켰다. 이때 단장으로 추대되었다. 본부는 선천군(宣川郡) 산면(山面) 내산동(內山洞)으로 하고, 단체명을 ‘대조선(대한) 독립 보합단’이라고 개칭하고 단칙을 제정하였다. 1920년 5월 9일에는 철산군 여한면사무소에서 등사기를 강탈하고, ‘적(敵)의 관리가 된’ 철산군 서림면 양책(良策)경찰관주재소 순사 송용범(宋龍範)을 권총으로 사살하였다. 6월 초 의주군 고관면 동암산으로 근거지를 옮기고 이곳에서 경고문, 군자금 영수증, 의용대 입대증, 임원 임명사령용지, 단칙 등을 인쇄를 하여 구비하였다. 체계적인 조직체로 총무 김동식 아래, 재무부·소모부·교통부·조사부를 두었다. 곧 친족인 김내홍과 김내범 형제, 김승옥·김내찬·김흥도·심창숙·김병규·조창화·심창업 등도 단원으로 입단하였다. 보합단은 2~3명을 1조로 하여 무기를 휴대하고 철산·의주·용천·선천 등지의 집들을 방문하여 1921년 1월 현재 독립운동 자금 6,750여만 원을 모았다. 이 중 일부를 안둥현(安東縣) 의성여관 김영율(金永律)을 통해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전달하는 한편, 중국에서 직접 총기를 구입하고 폭탄도 제조하였다. 또한 군자금 제공을 거절하는 자, 관헌에게 밀고하는 자, 한국인 형사로 독립운동을 방해하는 자를 처단하는 의열 투쟁을 전개하였다. 1920년 9월 29일 김내찬·심창숙·한영구 등 10여 명과 함께 비현면 정산동의 전 순사인 문치무(文致武)의 집에 가서 독립운동자금 2만 원을 요구하였다. 이에 응하지 않자 민족을 배신하는 친일행위를 문책하며 김내찬 등에게 사형 집행을 명하였다. 이에 문치무는 처형되었고 첩과 장남은 중상을 입었다. 1920년 10월 2일 철산경찰서 수사대로부터 본부를 습격당하여 재무원 한우종(韓禹種)·이동원(李東元)·김응초(金應焦)가 사살되고, 백운기가 체포되었다. 이때 부상당하여 만주의 콴뎬현으로 피신하였다. 콴뎬현으로 피신한 후 김동식과 보합단 조직을 재건하였다. 단원으로 비현면 출신인 김승학(金承學)·김창수(金昌洙), 두 아들인 김덕하·김태하, 월하면의 김동항(金東恒)·김용준(金用俊), 고관면의 한이경(韓理景)·김순석(金淳碩)·김칠성(金七星)·한우종(韓禹種), 용천군 외상면의 정대개(鄭大個)·박초식(朴初植)·박완식(朴完植)·백도석(白渡錫), 용천군 읍동면의 조윤청(趙允淸)·최영기(崔榮基), 의주군 수진면(水鎭面)의 장학수(張覺守) 등이었다. 이후 대한진동도독부(大韓鎭東都督府) 무력대원으로도 활동했으며, 1931년 만주사변 후에는 베이징으로 갔다고 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시황(관리번호:403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