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02
성명
한자 金南哲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29년 광주학생독서회(光州學生讀書會)에 가담하여 주동자로서 활동하다가 광주학생만세운동(光州學生萬歲運動)으로 1년을 수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6권(1988년 발간)

전남 무안(務安) 사람이다.

광주농업학교 재학중, 1929년 6월에 조길룡(曺吉龍)·정 욱(鄭昱) 등 광주농고생 20여명과 함께 무등산에서 회합하고 항일학생비밀결사인 광주농고 독서회를 조직하고 부서 및 결의사항을 정하였다. 이때 그는 최정기(崔貞基)·정 욱·김순복(金順福)과 함께 동회의 조직교양부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동회는 당시 광주지역의 중심적 항일학생결사였던 성진회(醒進會)가 해체된 후 이를 계승하여 1929년 6월에 확대 개편된 '독서회중앙본부'의 하부조직으로 결성된 것으로서 회의 운영은 전회원을 4개반으로 나누어 각각 반별로 연구 활동을 하였다.

또한 동회는 학년별로 독서회를 조직하였는데, 당시 3학년이던 그는 1929년 10월에 권수동(權壽童)·정해두(丁海杜)와 함께 그의 집에서 모여 3학년 독서회 조직에 관하여 협의하고 이에 대한 사항을 결정하였다.

그는 이렇게 독서회 활동을 통하여 항일민족의식을 고취하던 중,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 활약하였다.

동월 10일에는 정 욱·오쾌일(吳快一)·이영범(李榮範) 등과 함께 박기석(朴紀錫)의 집에 모여 제2차시위에 대하여 모의 논의하고, 동월 12일에 일제히 거사하기로 결의하였다.

그리하여 거사 당일인 동월 12일에는 조길룡으로부터 배부받은 격문을 살포하면서 동 회원인 정 욱·최정기·박석진(朴石珍) 등과 함께 농고생 200여명을 주도하여 가두시위를 전개하였다.

그 후 일경에 붙잡혔으며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1930년 10월 18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 6월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에 항소하여 1931년 6월 1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판결문(1931. 6. 13 대구복심법원)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3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495·50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264·1611∼1624·1633∼1654·1667·1708면
  • 판결문(1930. 10. 18 광주지방법원)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72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남철 - 전라남도 무안(務安) 광주학생운동
본문
1909년 10월 24일 전라남도 무안군(務安郡) 현경면(玄慶面) 송정리(松亭里)에서 태어났다. 1927년 11월 광주농업학교 학생인 김복만(金福萬)·김재룡(金在龍)·문승수(文升洙)·유상걸(柳上杰)·유치오(兪致五)·정동수(鄭東秀)·주당석(朱唐錫) 등이 김태호(金台鎬)의 집에 모여 문승수가 ‘사회과학 연구’를 제안하자, 참석자들은 제안에 찬동하였다. 1929년 3월 유치오와 주당석이 졸업하자, 당시 광주농업학교 3학년에 재학하던 중 권수동(權壽童)·김순복(金順福)·이영범(李榮範)·정욱(鄭昱)·조길룡(曺吉龍) 등과 함께 동지들을 3반으로 나누고, 김남철·이영범·조길룡이 각 반의 책임자가 되었다. 이 연구모임은 그해 6월 참자가가 20여 명에 이르렀다. 같은 해 6월 하순경 권수동·김문일(金文一)·김복근(金福根)·김종기(金鍾基)·김현수(金玄洙)·박석진(朴石珍)·박종주(朴鍾柱)·송두현(宋斗鉉)·윤익하(尹益夏)·이영범·장재성·정욱·정해두(丁海杜)·조길룡·최정기(崔貞基)·최차도(崔次道)·홍원표(洪元杓) 등 20여 명과 함께 무등산(無等山)에서 회합하여 항일 학생 비밀결사인 광주농업학교 독서회를 조직하고 부서 및 결의사항을 정하였다. 이때 김순복(金順福)·정욱·최정기와 함께 조직교양부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회원을 4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마다 연구하기로 하였는데 그해 9월 윤익하의 집에 모여 동회(同會)를 해산하였다. 그러나 며칠 뒤 김순복의 집에서 그동안 모임에 열심하지 않았던 박종주·윤익하를 제외하고 동일한 독서회 재조직을 합의하였다. 같은 해 10월경 광주군 광주면 수기옥정(須奇玉町)에 있는 자신의 방에서 권수동·정해두와 함께 모임을 갖고 광주농업학교의 3학년 동급생들을 권유하여 비밀결사를 조직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던 중,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11월 10일에는 오쾌일(吳快一)·이영범(李榮範)·정욱·황상남과 함께 광주읍내 금계리(錦溪里) 박기석(朴紀錫)의 집에 모여 제2차 시위에 대하여 모여 논의하고, 11월 12일에 거사하기로 계획하였다. 거사 당일인 11월 12일 이른 아침 조길룡으로부터 배부받은 전단을 교실에 배포하고, 첫째 수업시간 중에 교실을 뛰어나와 동 회원인 박석진·정욱·최정기 등과 함께 같은 학교 생 200여 명을 이끌고 학교에서 형무소에 이르는 광주고등보통학교 부근까지 100미터 정도를 시위행진하였다. 이 일로 일본 경찰에 붙잡혀 모진 고문을 당하였다. 1930년 10월 18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 6개월 형을 받고 항소하여 1931년 6월 1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겪었다. 1930년 1월에서 3월 중에 광주농업학교에서 퇴학당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치안유지법위반 광주지법 공판에 부침 광주지방법원 1930-07-17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치안유지법위반 징역 3년6월 미결구류일수 70일 본형에 산입 광주지방법원형사부 1930-10-18 국가기록원
3 판결문 치안유지법위반,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 1년 미결구류일수 중 365일 본형에 산입 대구복심법원 1931-06-13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항일독립 유공인사 숭모비 전라남도 무안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남철(관리번호:30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