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900
성명
한자 辛公濟
이명 李光濟, 李學士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63 훈격 독립장
1. 1919년 3.1운동참가 후 상해(上海)로 망명, 천도교(天道敎) 대표부(代表部)에서 최동오(崔東旿) 등과 활약, 이광수(李光洙) 등과 독립신문사(獨立新聞社)에서 복무, 공채 모집(公債募集)으로 활약.

2. 1923년 남경(南京)으로 가서 공부하면서 중국학생회(中國學生會)중국혁명당(中國革命黨)과 연락하면서 반일투쟁. (동지(同志) 선우혁(鮮于爀), 최능현(崔能賢) 등)

3. 1925년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에 가입 1926년 장개석군 총사령부(蔣介石軍總司令部)에서 근무.

4. 1927년 김규식(金奎植), 선우혁(鮮于爀), 최능현(崔能賢) 등과 통일촉진회(統一促進會) 조직.

5. 1929년 상해(上海)에서 안창호(安昌浩), 김구(金九), 이동녕(李東寧) 등과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조직.

6. 1930년 만보산사건(萬寶山事件)으로 한교구축운동(韓僑驅逐運動)이 이러나메 중국정부와 교섭하여 배한풍조(排韓風潮)를 정지시킴.

7. 1931~1945년까지 임정 의정원 의원(臨政議政院義員).

8. 1932년 피압박민족연합회(被壓迫民族聯合會) 한대표(韓代表) (兼) 상무위원(常務委員) 조직동맹(組織同盟)에 가입 안창호(安昌浩)와 같이 활동.

9. 1933년 대일전선통일동맹 조직(對日戰線統一同盟組織).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366)

10. 1934년 김규식(金奎植), 최동오(崔東旿), 중국인(中國人) 마점산(馬占山), 성윤(誠允)과 함께 중한연합군(中韓聯合軍) 조직.

11. 1935년 양기탁(梁起鐸) 등과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조직, 그 후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으로 개조.

12. 1938년 중국국민당 중앙당부 총간사(中國國民黨中央黨部總幹事)중앙전시독도단 단장(中央戰時督導團團長).

13. 1940년~1945년 임시정부 외교위원(臨時政府外交委員).

14. 1941년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 상무위원(常務委員) (兼) 비서장(秘書長). (이상 공적서(以上功績書) 508,142)

조선혁명당 간부(朝鮮革命黨幹部)로서 중일전쟁(中日戰爭)을 계기로 대처키 위하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한국국민당 간부(韓國國民黨幹部)들과 같이 정부의 외부단체로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陳線)>을 결성.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349)

15. 1935년 민족혁명당 주요 간부(民族革命黨主要幹部).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361)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북 정주(定州) 사람이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상해로 건너 가 천도교 대표부에서 일하면서 "독립신문사"에 근무하였다고 한다. 그후 남경(南京)으로 옮겨 가 학업을 계속하다가, 1925년 중국 국민당에 가입하고 1926년에 중국혁명에 참가하였다. 1927년 김규식(金奎植)·유자명(柳子明) 등과 함께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를 조직하고 한국대표 겸 상무위원으로 활약하였다고 한다.

1933년 1월 상해에서 이유필·김동우·안경근·박창세 등과 한국독립당대회(韓國獨立黨大會)를 개최하여 이사로 피선되어 활약하였다. 동년 6월에는 대일전선통일동맹을 조직하고 각 단체의 대일전쟁의 합작과 각 당의 통합을 추진하였다.

1934년 1월 2일의 제26회 임시정부 의정원회의에서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광복시까지 조국광복을 위한 의정활동을 계속하였다. 한편으로는 한국독립당의 남경지부(南京支部) 책임자로서 독립운동을 주도해 나갔다.

이듬해 여름 남경에서 각 단체의 사상과 주의를 초월한 독립전선을 구성하려는 목적 하에 양기탁·유동열·이청천·현익철·최동오 등이 모여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을 조직키로 결정하게 되자 그는 중앙상임위원으로 선임되었다. 이에 기관지로 월간 「민족혁명」과 주간 「우리 길」을 발행하여 민족사상고취에 앞장섰다.

1937년 2월 이청천·현익철·유동열·양기탁·최동오·이복원 등과 합의하여 김원봉 등의 적색분자를 제거하는 청당 운동을 일으켜 민족혁명당을 한국민족혁명당으로 개칭하자 김원봉 등 반대세력은 조선민족혁명당으로 명명함으로써 당이 양분되었다. 동년 7월 북경 교외 노하구에서 중국과 일본의 충돌로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이에 대처하기 위해 항주(杭州)의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한국국민당의 3개정당과 미주(美洲) 등에 산재한 대한인독립단, 동지회, 국민회, 애국부인회, 단합회, 애국단 등의 6개 단체대표들이 임시정부의 외곽 단체로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게 되었는데 그는 이에 적극 참여하였다.

1940년에는 임시정부 외교위원에 임명되었으며, 동시에 1945년 8월에는 조선혁명당 간부로서 중일전쟁을 계기로 이에 대처키 위하여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간부들과 함께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을 결성하여 상무위원 겸 비서장이 되어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49 361 362 366 370 371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73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502 515 537 602 603 646 671 706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611·810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768 823 825 828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224 225 226 227 229 230 231 234 237 243 244 258 259 269 270 274 275·276 278 281·282 283 291 292 294 413 414 455 539 549 554 558 571 573 574 590 591 600 610 611 626 628 629 633 636 672 673 678 688 690 691 692 705 706 73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579 670 715 73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14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327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신공제(관리번호:290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