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897
성명
한자 李貞浩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20. 8. 4 임시정부(臨時政府) 지방선전대(地方宣傳隊)에서 활동(活動)하고 1924년 중국(中國)망명(亡命)하여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의용대(義勇隊) 한국청년회(韓國靑年會) 등에 가입(加入)하여 무력 항쟁(武力抗爭)하였으며 임시정부 의정원(臨時政府議政院) 의원(議員)광복군(光復軍)으로 활동(活動)상당(相當)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상북도 대구(大邱) 사람이다.

일찍이 중국에 건너가 광동중산대학(廣東中山大學)을 졸업했다.

1935년에 중국 남경(南京)에서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에 가입하여 조직부장과 화남지부장(華南支部長)으로 활동하였다.

중·일전쟁이 일어난 다음 해인 1938년 봄, 김약산(金若山)을 중심으로 하는 조선민족혁명당은 무한(武漢)에서 조선청년전위동맹,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혁명자연맹 등 좌익계통의 정당과 합작하여 이른바 조선민족전선연맹을 결성하였으며, 그 후로 간행물 등을 펴내어 대일 선전공작을 전개하는 한편 중국군사위원회의 정치부와 교섭하여, 그해 10월에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창립하였다. 그는 1941년 5월 조선의용대에 입대하여 제1지대 제1전구사령부에 소속되어 활약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의용대가 광복군(光復軍)에 통합되자 그는 광복군 제1지대 지대장 김약산(金若山)휘하의 조원에 편입되어 상위(上尉)로 복무하였으며, 동년 10월에는 제1지대 정훈조(政訓組)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또한 1942년 10월 중경(重慶)에 있는 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 경상도의원으로 선임된 그는, 1943년 11월에 개최된 제35회 의정원 회의에서 김약산(金若山)·김상덕(金尙德)·손두환(孫斗煥) 등과 함께 외교대표 파견안을 제출하였으며, 이 법안이 수정 통과되어 임시정부의 승인 및 독립운동의 원조를 위하여 외교대표를 미·영·소 등 연합국에 파견 상주하게 하는 법적인 뒷받침을 제정한 뒤, 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을 얻도록 동분서주 활동하였다.

1943년 3월 30일 그는 외무부 총무과장에 보임되었다가, 1944년 6월에는 동 정보과장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이와 아울러 임시정부에서는 1943년 4월부터 새로이 대한민국 잠행관제(暫行管制)를 실시함과 동시에 정부 행정부의 한 부처로 선전부를 새로이 설치하고 선전업무를 보다 강력히 집행하게 되었다.

즉, 이때 새로 설치된 선전부에는 총무·편집·발행의 3과와 함께 선전위원회를 설치하고 일체의 선전사업과 각종 선전지도를 총괄하여 행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초대 선전부장에는 김규식(金奎植)이 선임되었으며, 선전계획 수립, 선전진행 방침에 관한 사항 등을 의결하는 선전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선전위원은 15명이었는데 그는 이때 조소앙(趙素昻)·신익희(申翼熙)·엄항섭(嚴恒燮) 등과 함께 선전위원으로 임명되었다.

한편, 1943년 1월 20일에는 한국 청년의 덕·지·체를 함양하며 호애호조(互愛互助)의 정신을 발휘하여 고상한 혁명자의 인격을 단련, 국가와 민족에 공할 것을 종지(宗旨)로 내세우며 한국청년회가 발족되었는데 이때 그는 학술부장에 취임하고, 혁명자질의 양성과 국가민족을 위한 독립정신 함양에 적극 노력하였다.

1944년 6월 1일에 중경(重慶) 임시정부 외무부 정보과장에 임명되어 7월 27일까지 재임하면서는 주중(駐中) 미국대사관에 특파되어 일본군에 대한 염전사상(厭戰思想) 주입과 일본군내의 한적사병(韓籍士兵) 초모를 위하여 한문전단(漢文傳單) 작성의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45년 6월에 그는 광복군 제3지대 북경지구(北京地區) 특파공작원으로 활동하여 일군에 소속된 한적사병의 탈출 공작 등을 수행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여 귀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2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전권 705면
  • 자료한국독립운동(추헌수) 2권 249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권 408 723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151·265·269 314 470 541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275 375 385 415 487 492 530 543 547 553 554 555 569 571 573 574 586 588 592 597 598 599 601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34 636 638 682 688 691 692 695 700 780 827 85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856 876 1021 1030 104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289 41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7권 8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649 674 685 711 717 744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정호(관리번호:189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