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885
성명
한자 文靖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ㆍ1929. 광주학생 사건(光州學生事件)청소년(靑少年) 반일 시위(反日示威)왜경(倭警)에게 체포, 유치(留置) 3개월만에 석방

ㆍ3.1 소년단(少年團)에 가입, 독립사상 배양. 상해망명(上海亡命)

장중정(蔣中正)에 군사상 지원을 청원

ㆍ1937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에 가입 활약

강서성(江西省) 개산훈련소(蓋山訓練所)입대

ㆍ1938 중국(中國) 항일군(抗日軍) 제9전구(第九戰區) 사령부 서국 대일전 참전(司令部西局對日戰參戰) 대적 선전 책임(對敵宣戰責任)을 담당. 적지 정보 입수(敵地情報入手)등에 활동

ㆍ1939 서남(西南) 유격간부훈련소(遊擊幹部訓練所)에 학생장교로 3개월간 교육

ㆍ1941 광복군 제1지대(光復軍第一支隊)에서 일군(日軍) 점령지구(占領地區)교포 초모 공작 준비중(僑胞招募工作準備中) 해방(解放)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에 가입하여, 중국항일군 9전구지역에서 활동하다가 광복군 제1지대에 편입되었다. 1941년 광복군 제1지대에서 일본군 점령지구에 침투하여 초모공작활동을 전개하였다. 1943년에는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하였으며, 동년 10월 인도공작원에 임명되어 동지 16명과 함께 파견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541면
  • 자료한국독립운동(추헌수) 3권 185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372·61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문정진 - 평남 강서(江西) -
본문
1910년 7월 30일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 함종면(咸從面) 함종리(咸從里)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독립운동가 문일민(文一民)이다. 조선의용대 창립대원과 한국광복군 대원으로서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의 화중·화남전선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1929년 광주학생운동이 벌어졌을 때 항일시위에 참가하여 일본 경찰에 붙잡혀 유치되었다가 3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그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광저우(廣州)로 가서 중원중학(仲元中學)의 고급중학부를 다니고 졸업하였다. 1937년 9월 국립중산대학 농학원 농학계에 입학했는데, 항일투쟁 참여를 위해 곧 그만두었다.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중국 국민정부 군사위원회의 요청으로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이 장시성(江西省) 싱즈현(星子縣)의 중앙육군군관학교에 입소시킬 한인 청년들을 널리 모집하자 바로 응모하여 중산대학의 다른 한인유학생들과 함께 난징(南京)으로 갔다. 중앙군교 특별훈련반 제6기 입교생으로 동년 12월부터 한 달간은 싱즈에서, 이듬해 1월부터 5월까지는 후베이성(湖北省) 장링(江陵)에서 다른 82명의 한인청년과 함께 훈련받고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하였다.1938년 5월 24일 졸업 후 김홍일(金弘壹)의 인솔 하에 후베이성 우창(武昌)으로 이동하여 대공중학교(大公中學校)에 숙영(宿營)하면서 가두연설, 가요 고창, 연극 공연, 전단 살포 등의 항일선전 활동을 개시하였다. 10월 10일 한커우(漢口)에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가 창설될 때 제1구대 대원이 되었고, 그 후 2주일간 우한보위전(武漢保衛戰)에 참여하였다.10월 23일 우한에서 철수하면서 다른 39명의 구대원들과 함께 중국군 제9전구로 배속되어, 도보 행군과 선편으로 황화(黃華)·헝산(衡山)·핑장(平江)을 거쳐, 12월 3일 전구 사령부 소재지인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에 도착하였다. 거기서 이듬해 2월까지 대화재(大火災)의 이재민 구제와 표어·벽보·가두보(街頭報) 제작 및 첨부·살포 등의 대민선전, 군내 정치선전 등의 구대활동에 동참하였다. 1939년 3월부터 10월까지는 후난성 북부 핑장 일대의 퉁청(通城)·샤오양(岳陽)·진산(芩山)에서 구대가 중국군 92군을 도와 벌이는 대적 진지선전 및 유격선전과 대민선전, 소학교 설립 등의 활동에 동참하였다.1939년 11월 조선의용대는 3개 지대 및 2개 독립분대로 대폭 증편되었다. 이때 제1구대 병력은 제1지대 및 북진(北進)분대, 신편 제3지대 및 남녕(南寗)분대로 나뉘어 재배치되고 각 부대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대일작전을 폈는데, 당시 새 소속부대 및 활동지는 확인되지 않는다.1941년 1월부터 조선의용대의 3개 지대 병력 대부분이 북상하여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에 집결한 후 황허(黃河)를 건너 태항산(太行山)의 팔로군(八路軍) 작전구역으로 들어갔는데, 이때 화북행(華北行) 대오에 동행하지 않고 의용대 본부 소재지인 충칭(重慶)에 남았다.1942년 12월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으로 편입되어 제1지대로 정식 개편될 때 다른 38명의 잔류대원들과 함께 광복군에 배속되었다. 그 후 일본군 점령 지구에 침투하여 동포 초모공작에 종사하였다. 1942년 4월 1일 발행된 『조선의용대』 제42기에 1941년 12월 11일의 ‘형대전역’(邢台戰役, 호가장전투를 말함)에서 전사 순국한 네 명의 동지를 추모하는 시 「도사장사(悼四將士)」를 기고하였다.1943년 10월 영국군이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전개 중인 대일전 지원을 위해 조선민족혁명당에서 제2차로 특파하려던 공작원 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중국 정부와 한국독립당의 반대로 증파 자체가 성사되지 못하였다. 그 후 계속해서 광복군 요원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광복 이후 귀국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문정진(관리번호:188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