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0555
성명
한자 崔世允
이명 崔世翰, 崔聖執, 崔聖集, 崔成執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68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24년 1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1896년 의병 400을 규합하여 안동의장(安東義將) 김도화(金道和) 진중(陣中)에 들어가 오장(五將)이 되어 활동한 후 산해(散解)하다. (폭도편집자료(暴徒編輯資料) 27호 p.73)

2. 1905년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이 체결되자 재거(再擧), 영천(永川)의장 정용기(鄭鏞基)와 합세하여 도찰사(都察使) 정환직(鄭煥直)과 모의활동하다. (폭도편집자료(暴徒編輯資料) 27호 p.73)

3. 1908년 정환직 사후 의병장이 되어 청하(淸河), 청송(靑松), 영천(永川), 의성(義城) 등지에서 항전하였으나 일본(日本)의 현상금 수색으로 피체 (영남출신 독립운동약전(獨立運動略傳) 1(輯) p.223) . 대구(大邱)지방법원에서 10년형을 받다. (대구지방법원 판결문 등본)

8년 복역 후 단식순국하다. 장자(長子) 최산두(崔山斗)부공(父公)의 소재를 알리지 않았다 하여 피체 끝내 함구하다가 옥중에서 순사(殉死)하다. (영남출신 독립운동약전 1집 p.223)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어려서부터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특히 병서를 즐겨 읽어 정통하였고, 성품이 청렴 강직하여 절의(節義)를 숭상하였으며, 흥해군의 형방서기(刑房書記)를 역임하였다. 1894년 동학운동에 참여하여 소모장으로 부하 3백 명을 영솔하고 맹렬히 활약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가 일인으로부터 시해를 당하자, 통분함을 금치 못하여 거의토적할 것을 결심하고 동지규합을 적극 주선하여 의병 3~4백 명을 인솔하고 안동의병장 김도화(金道和) 의진에 입진하여 아장(亞將)에 임명되었다. 적을 공격하여 군세를 크게 떨쳤으나 무기가 불충분하고 훈련이 부족하여 악전고투를 면할 수 없었다. 또한 적군이 대거 증원됨에 항전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자, 의병장 김도화와 상의하고 재기할 것을 기약하면서 일단 의진을 해산시켰다. 그후 향리로 돌아와 고향인 계림에서 2세 교육과 인재양성에 진력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늑결되자 재차 거의할 것을 계획하였다. 이때 동엄 정환직(東 鄭煥直)이 황제의 밀지를 받들어 아들 정용기(鄭鏞基)로 하여금 고향 영천(永川)을 중심으로 거의하도록 하였다. 이에 정용기가 이한구(李韓久)를 파견하여 거의할 것을 요청하므로 즉석에서 찬성하고 영천으로 정용기를 방문하였다. 때마침 정환직이 내려와 있으므로 4인이 함께 거의방략을 논의하고 같이 거의할 날짜 등을 약속하고 돌아가 준비를 서둘렀다. 이로써 산남의진(山南義陣)이 편성되었으나, 산남의진이 거의할 때 마침 신병으로 오랫동안 병석에 누워 신음하게 되어 입진하지 못하여 통한을 달래고 있었는데 정용기 등 다수의 의병이 입암(立岩) 전투에서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참전하고자 달려갔으나, 다행스럽게도 정환직이 그 잔병을 수습하고 영솔지휘한다 하므로 신병 치료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다시 정환직이 순국하였다는 비보를 접하고, 병석을 박차고 일어나 "나라일이 위급한 이때에 내 어찌 일신을 아끼고 종사가 망하는 것을 앉아서 보겠는가. 또 어찌 친구와의 맹약을 저버릴 수 있겠는가. 오직 나도 죽어서 보답함이 마땅하니 왜적과 싸워 죽겠다." 하고 아픈 몸을 이끌고 의진을 찾아갔다. 1908년 2월 부장 이세기(李世紀)·정순기(鄭純基) 등은 주장 잃은 의진을 수습하여 보현산(普賢山) 속에 주둔하고 있다가 최세윤을 대장으로 추대하였다. 의병장이 된 그는 전군을 영솔하여 흥해·청하·청송·영해·영천·의성 등지에서 활동하며 적을 습격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다. 이에 모여든 의병이 5백여 명에 달하였고 군세가 크게 떨쳐 승승장구하였으나, 의성에서 적과 접전하여 크게 패배하였다. 적은 의병대토벌전을 전국적으로 전개할 때이었으므로 전국의진이 거의 패몰하고 고립되어 형세가 자못 불리하게 되어갔다. 이에 부득이 피신하여 재기할 준비를 하였다. 적은 최세윤을 체포하기 위하여 다액의 현상금을 걸고 수사망을 펼쳤다. 결국 장발면 내남면 용동(長髮面 內南面 龍洞)에서 적에게 체포되어 청하 헌병대로 압송되던 중 다음과 같은 시 한 귀를 읊어 그의 충절을 도모하였다. 나라가 깨어지고 집이 망한지 벌써 몇 년인가. 한 가닥 실오라기 같으니 푸른 하늘이 부끄럽다. 장부가 이에 이르러서야 돌아갈 바를 알겠구나 은나라는 백이·숙제가 있으며 주나라는 연(連)이 있구나. (國破家亡已過年 尙存一縷愧蒼天丈夫自此知歸所 段有夷齊周有連) 그후 적에게 욕을 당하느니 내손으로 목숨을 끊고자 하여 물속에 몸을 던졌으나 일헌병과 주구 김영준(金永俊)이 급히 뛰어들어 구출하였으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때 악에 바친 일헌병이 구타하려고 하므로 "내 나라를 내가 찾으려 하는 것이 무슨 죄이냐. 비록 죄가 된다 하여도, 나를 죽일지언정 내 몸에 손을 대지는 못하리라." 하고 호통을 치니 잔학무도한 일헌병조차 그 대의에 눌려 차마 손을 대지는 못하였다. 1911년 11월 15일 대구지방재판소 형사부에서 10년의 징역형을 받고 공소하였으나 12월 12일 대구공소원 형사부에서 공소가 기각되어 경성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수감된 뒤 그곳에서 제공하는 음식은 일체 거절하고 부인이 넣어 주는 사식만으로 옥고를 치렀다. 그러나 권토중래(捲土重來)의 희망이 없음을 깨닫고 그 사식마저 거절하고 단식 항쟁하다가 1916년 8월 9일 옥중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8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산남창의지(하권) 33·3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2권 3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3권 398·400·576면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강도 징역 10년 대구지방법원 1911-11-15 국가기록원
2 판결문 강도 공소 기각 대구공소원 1911-12-12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산남의병 제4차 결성지(거동사) 경상북도 영천시
2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3 비석 한말의병 항왜혈전 기념비 경상북도 포항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세윤(관리번호:1055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