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0329
성명
한자 金興洛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95 훈격 애족장
영남(嶺南)지방의 거유(巨儒)로서 많은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를 길러냈으며, 1895년 12월에 경북 안동(慶北安東)에서 곽종석(郭鍾錫), 김도화(金道和), 권진연(權晉淵) 등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는 안동통문(安東通文)을 발하였고, 1895년 음력 12월 3일에는 일행과 함께 안동 관찰사부를 습격하여 무기를 탈취한 후 권세연(權世淵)의병장(義兵將)으로 추대하고 진용을 정비하여 동년(同年) 음력 12월 15일 적의 반격으로 해진(解陣)하기까지 초기(初期) 의병(義兵)에 큰 영향을 끼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경북 안동(安東) 사람이다.

안동지방의 거유(巨儒)로서 권세연(權世淵) 의진의 참모로 안동에서 활약하였다.

1895년 8월 일제가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한 을미사변(乙未事變)이 발생하고, 이어 친일정권에 의한 을미개혁이 시행되어 단발령이 강행되자 김홍락은 이에 반발하여 의병 봉기를 결심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곽종석(郭鍾錫)·김도화(金道和)·권진연(權晋淵) 등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는 통문(通文)을 발하였고, 1896년 1월 초 병기한 안동 의병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일행과 함께 안동관찰부를 습격하여 무기를 노획하고 관찰사 김석중(金奭中)을 축출하였다. 그런 다음 1896년 1월 17일 안동향교에서 권세연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고 진용을 편성하였는데, 이 때 그는 유지호(柳止浩)와 함께 권세연을 의병장으로 추대하는 일을 하였다. 그 후 의성(義城)에서 이만도(李晩燾)가 또 의병을 일으키니 의세는 더욱 드높아 갔다. 그런데 1월 29일 관군이 안동부를 공격하니 의병진에서는 항전해 보았지만 관군을 당해 내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참모로 활동하던 권세연 의진도 해산하고 말았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1권 18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2집 17면
  • 항일선언창의문집(유광렬편, 간행년도 미상) 34·35면
  • 대구·경북항일독립운동사(광복회대구경북연합지부, 1991) 1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집 97면
  • 안동향토지(송지향편, 간행년도 미상) 상권 419·420면
  • 경북의병사(영남대민족문화연구소, 1990) 38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흥락 자 : 계맹(繼孟), 호 : 서산(西山) 경상북도 안동(安東) -
본문
1827년 10월 25일 경상북도 안동부(安東府) 서후면(西後面) 금계리(金溪里)에서 태어났다. 부친 김진화(金鎭華)와 모친 여강(驪江)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학봉 김성일의 11대 종손이다. 자는 계맹(繼孟), 호는 서산(西山)이다.퇴계(退溪) 이황(李滉)으로부터 김성일 –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 밀암(密庵) 이재(李栽) -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으로 이어지는 퇴계 학맥을 계승하였다. 1895년 내부(內部)에서 유길준(俞吉濬)의 『서유견문』을 보내오자 즉시 돌려보내며 위정척사론을 뚜렷하게 드러냈다.조정으로부터 여러 차례 벼슬을 받았으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삶을 실천하고자 하여 모두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학봉 김성일의 종손으로 비교적 넉넉한 집안에서 유학적 가르침을 몸에 익히며 자랐다.개항 이후 일본과 서양세력이 침투하며 서구의 제도와 문물이 급속히 전해지는 상황에서 위정척사의 입장에서 유교적 가치질서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실 타개의 방법으로 의병봉기를 선택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으로 전국의 유생들이 의병항쟁에 나섰다. 을미의병 당시 안동지역 지도자로 참여해 1차 안동 의병부대의 구성을 주도하였다. 단발령을 접한 직후 곽종석(郭鍾錫)·김도화(金道和)·권진연(權晋淵) 등과 함께 통문을 발해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들은 안동관찰부를 습격해 관찰사 김석중(金奭中)을 축출하는데 성공하였다.1896년 1월 17일 봉정사에 40~50명의 유생들이 모여 의병을 일으킬 것을 논의하였고, 다음날 1,000여 명이 모인 향회에서 1월 20일 거병할 것을 결의하였다. 1월 20일 의병조직을 위한 대회에는 1만여 명이 운집하였으며, 권세연(權世淵)이 대장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1월 29일 관군이 안동부를 공격해 패함에 따라 권세연이 패전의 책임을 지고 3월 12일 사퇴하였다. 이에 의병장으로 김도화(金道和)를 추천하여 차기 의병장으로 선출시켰고, 이때 류도성과 함께 지휘장으로 추대되었다.당시 지휘장을 역임하였지만, 고령의 나이로 실제 전투를 지휘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지휘장으로 있을 당시 머물던 금계에 의병부대의 본부인 도소(都所)가 있었다. 이로 인해 일본군과 관군에 의해 마을이 공격을 받거나, 욕을 당한 사건도 있었다. 7월 22일 포장(砲將) 김회락(金繪洛)과 척후장 김진의(金鎭懿)가 ‘안동병대(安東兵隊)’에 의해 붙잡히는 과정에서, 포박을 당하고 가산이 압수되었다.안동 의병부대는 9월 16일 관군 대대장 이겸제(李兼齊)가 병정 100여 명을 이끌고 안동부에 도착하면서 일단락되었다. 9월 24일에는 의병장 김도화가 물러났으며, 9월 30일 선봉 유시연(柳時淵)이 ‘포(砲)’를 반납하고 물러감에 따라 안동의병이 종결되었다. 이후 금계 ‘서산재(西山齋)’에서 학문에 몰두하다 1899년에 세상을 떠났다.문집으로 본집 24권, 속집 6권, 부록 2권으로 구성된 32권 16책의 『서산문집(西山文集)』을 남겼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흥락(관리번호:1032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