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23
성명
한자 金英哉
이명 王英哉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32년 4월 상해 홍구공원에서 윤봉길의사 의거용 수통, 반합 10개를 구득제공하고 1935 ~ 1941에 중국공군으로 항일전쟁에 참가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북 용천(龍川) 사람이다.

일본에 유학을 갔다가 1931년 상해로 망명하면서부터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김 석(金晳)·서재현(徐載賢)·이규서(李圭瑞)·연충열(延忠烈)·한영려(韓英麗) 등과 상해한인청년당을 조직하여 그 이사에 선임되었으며, 일제 밀정 처단, 주요기관 폭파 등의 무력항일투쟁을 벌였다.

그는 또한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여 김원봉(金元鳳)이 중국정부로부터 월3천원의 자금을 지원 받아 남경(南京)에 설립한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의열단이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발전하게 됨에 따라 1935년 4월 동교 교관으로 보병조전(步兵操典), 소총·기관총 조립법 등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의열단 동지들과 함께 통합된 민족혁명당에 입당하여 본격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35년에 그는 중국비행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중국 공군에 입대하여 기계사의 직책으로 대일전(對日戰)에 참가하였다. 1938년 10월 김원봉이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창립하자 그는 제3지대장에 임명되어 활동하다가 1940년에 광복군이 창설됨에 따라 총사령부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그는 광복군 총사령부원으로서 중경(重慶)에서 요인 경호 및 비서직을 맡았으며, 1945년에는 미군과 합작으로 한국항공대를 창설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국 광복으로 이 계획은 실현을 보지 못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국외용의조선인명부(총독부경무국) 42면
  • 사상정세시찰보고집(기2) 21 426 428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63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권 410 724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3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77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289·349면
  • 사상정세시찰보고집 255 37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495·687·719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829·859·86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100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영재 김세일(金世一, 金世日), 왕영재(王英哉), 김연일(金連日), 김철부(金鐵夫), 김철웅(金鐵雄), 김영재(金英載) 평안북도 용천(龍川) 윤봉길의거
본문
1911년 4월 5일 평안북도 용천군(龍川郡) 양하면(楊下面) 오송리(五松里)에서 태어났으며, 독립운동가 김홍일(金弘壹)의 조카이다. 널리 알려진 이명은 김세일(金世一), (金世日), 왕영재(王英哉)이고, 김연일(金連日), 김철부(金鐵夫), 김철웅(金鐵雄)이라는 가명도 썼다.일본 유학을 갔다가 1931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였다. 1932년 1월 김석(金晳)·서재현(徐載賢) 등과 함께 상해한인청년당(上海韓人靑年黨)을 조직하여 이사(理事)가 되었다.1932년 2월 김구(金九)의 부탁으로 김홍일이 상하이 병공창장 송식표(宋式驫)에게 도시락 모양과 수통 모양 폭탄 10개씩을 만들어 주도록 의뢰할 때, 그 숫자만큼의 일본식 도시락과 수통을 구입하여 가져다주었다. 폭탄은 제조된 후 김구에게 전해졌고, 다시 훙커우공원(虹口公園) 의거의 주인공 윤봉길(尹奉吉)과 따렌의거(大連義擧)의 임무가 맡겨진 유상근(柳相根)·최흥식(崔興植)에게 제공되었다.1932년 의열단(義烈團)이 중국국민당 군사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의 제1기생으로 입학·입단하고, 같은 해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난징(南京) 교외 탕싼(湯山) 동쪽의 선사묘(善祠廟)에서 교육받았다. 졸업 후 난징성 내 명양가(鳴羊街) 효자방(孝子方)의 단원 합숙소에 기거하면서 각지 의열단원과의 통신연락 활동에 종사하였다.1933년 9월부터 장쑤성(江蘇省) 캉닝시엔(康寧縣) 캉닝친(鎭)의 증조사(曾祖寺)에서 개설 운영된 조선혁명간부학교 제2기 교육과정의 생도대 구대장 겸 교관이 되어 기관총학과 야간연습 과목을 가르쳤다. 1935년 4월부터 동년 9월까지 캉닝시엔 상팡친(上方鎭)의 천녕사(天寧寺)에서 운영된 제3기 때도 생도대장 겸 교관이 되어 보병조전, 기관총 해부학, 야외근무 및 연습 과목 등을 가르쳤다.1935년 중국공군비행학교에 들어가 훈련 받고 기계사(機械士) 자격을 얻었다. 동년 7월 결성된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의 군사학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6년 4월 김원봉(金元鳳)의 추천으로 양민산(楊民山)과 함께 장시성(江西省) 싱쯔시엔(星子縣)의 남의사(藍衣社) 고등훈련소에 입소하여 특훈반 제4기 과정을 이수하였다. 1937년 2월에 수료하고 난징으로 돌아왔다가 민족혁명당 광둥(廣東)지부로 파견되어 일하였다.1938년 10월 후뻬이성(湖北省) 한커우(漢口)에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가 창립될 때 참여하여 제1구대 대부(隊附, 즉 부 구대장)로 임명받고 중국군 제9전구(戰區) 사령부로 배속되었다. 10월 22일 한커우를 떠나 전구사령부가 있는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동하였다. 12월 일본군의 창사 침공에 중국군이 초토항전책(焦土抗戰策)으로 맞서면서 창사를 방화하여 일본군을 퇴각시킨 후, 대화재로 인한 이재민 구호 및 도시복구 사업에 1개월간 참여하였다. 이어서 1939년 1월 말에 전선으로 나가서 막부산맥(莫府山脈)의 오동산(梧桐山) 진지에 배치되었다. 1939년 9월부터 11월까지 후난성 헝양(衡陽)에서 구대 강화훈련이 실시된 후의 부대개편 때 제1구대 병력의 절반과 신입대원들을 혼합하여 63명 인원의 제3지대가 신설되자 지대장으로 임명되었다.1940년 9월 대본부의 명령에 의해 장시성 방면에서 충칭(重慶)으로 들어갔고, 11월에 열린 조선의용대 확대간부회의의 ‘북상항일’ 결의에 따라 1941년 1월 충칭을 떠나 화뻬이(華北) 진출을 목표로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으로 떠났다. 출발 직전에 제1지대장이던 박효삼(朴孝三)이 제3지대장으로 전임되면서 부지대장으로 강임되었고, 김원봉이 가장 신임하는 박효삼·윤세주(尹世胄)·양민산 3인과 함께 조선민족혁명당 화북특파원으로 임명받았다.1940년 3월 뤄양에서 합류한 제1지대와 혼성지대를 만들 때 이춘암(李春岩)과 함께 부지대장이 되었다(대장은 박효삼). 그러나 황허(黃河)를 건너 화베이로 진출하는 다수 대원들의 행보와는 달리 뤄양에서 충칭으로 돌아갔다. 1942년 조선의용대(본부)가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1지대로 편입되자, 1지대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후일 총사령부로 전임되어 근무하였다.1944년 6월 임시정부 선전부(宣傳部)의 총무과 과원으로 발령받았다. 미군과 합작으로 필리핀에 공군훈련소를 설립하고 중국내 한인 비행사·기계사와 훈련소 수료자들로 광복군 예하의 한국항공대를 편성하여 미국 공군과 연합작전을 편다는 요지의 한국공군 창설계획의 수립에도 참여하였다.1945년 3월 영국군의 요청으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인면전구공작대(印緬戰區工作隊) 강화를 위해 증파키로 한 광복군 대원 5인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출발 전에 영국군의 버마탈환작전이 종료됨으로써 증파가 취소되었다. 광복 후 귀국하여 서울에서 거주하다 1965년 7월 20일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기념관 의열기념관 경상남도 밀양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영재(관리번호:72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