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41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高雲起
이명 公震遠, 興園, 鶴隱(號)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가족관계창설일 2022-07-25 도움말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63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17년 09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40년 9월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참모(參謀)취임(就任)하였고, 1940년 11월 29일 서안(西安)에서 활약(活躍)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함남 문천(文川) 사람이다.

의병 출신인 공창준(公昌俊)을 따라 만주에 건너갔다. 하얼빈(哈爾濱)에서 중국중학을 졸업하고 북만주에 가서 청년운동과 교육사업에 종사하였다.

대종교신자인 그는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여 소대장으로 임명되어 항일전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다. 1932년 11월 한국독립군 이청천 사령관의 명령으로 강진해(姜鎭海), 심만호(沈萬浩)와 함께 중국구국군 사령부에 파견되어 한중연합군을 조직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이후 사도하자(四道河子), 동경성(東京城), 대전자령(大甸子嶺) 전투 등에서 빛나는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일제가 만주를 석권하게 되자 부득이 이청천을 따라 중국 본토로 들어갔다. 1935년 그는 상해에서 이청천(李靑天)·황학수(黃學秀)·조경한(趙擎韓) 등과 같이 한국독립당을 신한독립당(新韓獨立黨)으로 개편하였으며 다시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과 통합하여 민족혁명당을 창립하였다.

또한 그는 동년 12월 낙양군관학교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군인회를 조직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계획하였다. 그후 공산계열인 김약산(金若山) 등이 민족혁명당을 탈퇴하자 동당은 조선혁명당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 적정을 정탐키 위하여 황학수와 같이 내몽고로 파견되었다가 다음 해에 남하하여 이시영(李始榮), 김의한(金毅漢)과 함께 당의 감찰위원이 되었다.

1938년 10월에는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의 청년공작대장에 임명되었으며, 1939년 10월에 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 정기총회에서 함경도 지역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다음 해 2월에는 임시정부 군무부(軍務部) 군사학편수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40년 9월 광복군이 창건되자 총사령부 참모로 임명되었으며, 동년 11월에 광복군 총사령부가 서안(西安)으로 이전되면서 그는 제2지대 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다음해 2월 임시정부 군무부는 그를 제2징모분처 주임위원으로 발령하여 지대편성을 위한 인원을 모집하게 하였다. 그는 임지인 수원성(綏遠省)으로 전진하여 포두(包頭)를 근거지로 삼아 초모공작에 나섰다.

그는 중국군 제12전구 사령관 부작의(傅作義)의 중국군 각 부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수원성 일대는 물론 적 점령 하에 있는 하북성(河北省)의 북평·천진·당산지구와 차할성(察哈兒省)의 장가구(張家口) 등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공작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같은 해 제2지구대장 지달수(池達洙)와 유해준(兪海濬), 왕중량(王仲良) 등 간부들과 함께 포두를 떠나 한국교포가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북경과의 거리도 가까운 장가구(張家口)시내에 잠입하여 교포를 대상으로 초모공작을 벌여 10여 명의 청년을 포섭하여 거점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포섭한 교포 중의 한 사람인 최준(崔俊)이 일본 헌병대에 자수하여 버림으로써 유해준이 체포되는 등 거점과 조직망이 파괴되었다. 그는 대원을 인솔하고 이해 겨울에 서안으로 복귀하였다.

1942년 9월 광복군의 개편과 10월 총사령부의 중경으로의 이전에 따라 그는 중경으로 갔으나 조국의 광복도 보지 못한 채 37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국외용의조선인명부(총독부경무국) 150면
  • 사상정세시찰보고집 259, 384면
  • 사상정세시찰보고집(기2) 437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77, 79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175, 206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631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269, 318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87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5권 62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115, 186, 206, 207, 210, 220, 221, 405, 63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708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2권 336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77, 279, 349, 356, 357, 370, 371, 372, 373, 375, 378, 379, 380, 423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권 457, 514, 558, 619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243, 244, 258, 259, 270, 307, 313, 586, 587, 633, 634, 678, 680, 77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1권 82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고운기 호: 학은(鶴隱) 이명: 공진원(公震遠), 흥원(興遠) 함경남도 문천(文川) -
본문
1907년 함경남도 문천(文川)에서 태어났다. 호는 학은(鶴隱)이고, 이명은 공진원(公震遠)이다. 의병 출신인 부친 공창준(公昌俊)을 따라 만주에 건너갔다. 공창준은 일찍이 홍범도(洪範圖)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함경도 각 지역에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19년 이후 만주에서 이청천(李靑天)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하얼빈(哈爾濱)에서 중국 중학을 졸업한 후 부친의 훈도로 북만주에서 청년운동과 교육 사업에 종사하면서 민족 종교인 대종교를 수용하였다. 1930년 만주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였다. 1932년 11월 한국독립군 이청천 사령관의 명령으로 강진해(姜鎭海)·심만호(沈萬浩)와 함께 중국 구국군 사령부에 파견되어 한중연합군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스다오허즈(四道河子)·동징청(東京城)·다뎬즈링(大甸子嶺) 전투 등에 참여하였다. 일제가 만주를 석권하게 되자 이청천을 따라 중국 관내 지역으로 철수하였다. 이 무렵 난징군관학교(南京軍官學校)를 졸업하였다. 1935년 난징에서 이청천·황학수(黃學秀)·조경한(趙擎韓) 등과 함께 신한독립당(新韓獨立黨)을 창당하였다. 이후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등이 통합하여 창설된 민족혁명당에서 이청천 휘하의 군사부 부원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같은 해 12월 뤄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군인회를 조직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계획하였다. 그 후 이청천이 김원봉(金元鳳) 계열의 독점에 맞서 민족혁명당을 탈퇴하여 조선혁명당을 조직하자 이에 참여하였다. 1936년 난징에서 부친 공창준이 신병으로 사망하였다. 1938년 10월 광시성(廣西省) 류저우(柳州)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가 창설되자 대장에 임명되어 공작대를 지휘하였다. 1939년 10월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정기총회에서 함경도 지역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12월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군사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0년 2월 임시정부 군무부 군사학편수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40년 5월 쓰촨성(四川省) 치장(綦江)에서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고 중앙감찰위원에 선임되었다. 같은 해 9월 한국광복군 창설 후 총사령부 참모로 임명되었다. 11월에는 광복군 총사령부가 시안(西安)으로 이전되면서 제2지대 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41년 2월 임시정부 군무부에 의해 제2징모분처 주임위원으로 임명되어 쑤이위안성(綏遠省)으로 전진하여 바오터우(包頭)를 근거지로 삼아 초모 공작에 나섰다. 1941년경 중국군 제12전구 사령관 푸쭤이(傅作義)에게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장 김구의 편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중국군 각 부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쑤이위안성 일대는 물론 일본 점령하에 있는 화북 지역에서 공작 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제2구대장 이달수(李達洙)와 유해준(兪海濬) 등 간부들과 함께 한국 교민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던 장자커우(張家口)로 잠입하여 교포를 대상으로 초모 공작을 벌였다. 그러나 포섭된 인물이 자수하는 바람에 유해준이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는 등 거점과 조직망이 파괴되었다. 그해 겨울 대원을 인솔하고 시안으로 복귀하였다. 1942년 10월에는 광복군 총사령부와 함께 충칭(重慶)으로 이동하였고, 임시의정원에서 박건웅(朴建雄) 등과 함께 한국광복군 9개 행동준승의 폐기를 제안하는 등 의정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3년 충칭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고운기(관리번호:14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