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3011
성명
한자 李範允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62 훈격 대통령장

관련정보


2000년 10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1904년 러일전쟁 당시(露日戰爭當時) 간도(間島) 한인(韓人)두목(頭目)으로 무산(茂山), 회령(會寧), 종성(鍾城), 경원 등지(慶源等地)에서 사포대장(射砲大長)으로 일본군(日本軍)의 행동을 방해(妨害)했다
2. 종전(終戰)노령 지방(露領地方)으로 망명(亡命)했다가 1907년 의병(義兵)을 일으켜 경흥(慶興) 고읍 전투(古邑戰鬪)에서 수십명(數十名)왜병(倭兵)을 죽이고 1911년에 노령 지방(露領地方)으로 망명(亡命)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이경하(李景夏)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말 국내의 농업 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자 많은 조선 농민들이 간도(間島)로 이주하여 농경에 종사하게 되었다. 그러나 1881년에 이르러 청국은 간도 지방을 개간한다는 명목으로 조선 농민을 추방하려는 움직임이 있자 간도의 영유권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조선 정부에서는 1883년에 어윤중(魚允中)을 서북경략사(西北 略使)로 파견하였다. 어윤중은 토문강(土門江)이 송화강의 상류인 도문강(圖們江)에 틀림없으므로 간도는 마땅히 우리 영토라고 주장하여 이를 굽히지 않았다. 그후에도 조·청(朝·淸)간에 간도 문제가 여러 차례 제기되었으나 해결되지 못한 상태에서 1900년에 이주 농민의 수가 6, 7만 명에 이르게 되었다. 청국은 이들을 몹시 박대하였다. 정부에서는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북변간도관리사(北邊間島管理使)를 두게 되었는데, 이때 이범윤이 그 직을 맡고 파견되었다. 1902년 6월 간도에 도착한 이범윤은 동포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포대(私砲隊 일명 管理兵)를 조직하였다. 그후 노일전쟁이 일어나자 이범윤은 노군측에 가담하여 한국을 침략하는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러시아가 패전하자 간도에 대한 일본군의 간섭이 잦아지고 1907년에는 드디어 통감부 임시 간도 파출소가 생겨 이곳에서의 구국운동이 어렵게 되었다. 그는 항일투쟁을 전개할 뜻으로 노령 연해주로 망명하였다. 그러나 연해주에서의 활동도 용이하지는 않았다. 일본은 외교경로를 통하여 한국 독립운동을 견제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러시아도 국내 사회주의 혁명 세력을 탄압하기 위하여 한국인의 무장 활동을 견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여건 하에서 이범윤은 무기를 구입하고 군사를 훈련하여 국내 침공 작전을 감행하고자 하였다. 이때 노령 연해주에 있어서의 한인들의 항일 무장 활동 기지는 연추(煙秋)였다. 1908년 이후 국내 의병 항쟁이 점차 북상하여 함남·함북 일대로 확산되자 이범윤은 창의회(彰義會)를 중심으로 광범한 모금(募金)·모병(募兵) 운동을 전개하였다. 많은 애국 동포와 청년들이 여기에 호응하여 30만원에 달하는 성금이 들어오고 4천 명 정도의 애국 청년들이 연추로 모여들었다. 이들은 이곳 한인 부락에 유숙하면서 군사 훈련을 받았으며 참모진은 러시아 당국에 교섭하여 노·일전쟁 때 쓰던 러시아군의 폐총 불하를 교섭하는 한편 간도 훈춘(琿春)의 청국 당국에도 무기 공급을 교섭하였다. 그러나 양국은 일본의 강력한 항의에 따라 이를 거절하였다. 의병 진영에서는 여기에 굴하지 않고 있는 재력을 쏟아 무기상을 통하여 총기를 구입하는 한편 교포들이 소지하고 있는 총기를 거두어 무장하였다. 1908년 이들은 연추를 후방 기지로 하고 노·만 국경(露滿國境)에 위치한 합습마구(哈什馬溝)를 전초 기지로 하여 국내 침공 작전을 개시하였다. 총대장은 이범윤이었고 군자금을 댄 사람은 최재형(崔在亨)이었다. 최재형은 경흥(慶興) 출신이나 처음 빈손으로 연해주로 이주하여 돈을 모아 연추 굴지의 부호가 된 사람으로 블라디보스톡의 부호 최봉준(崔鳳俊)과 쌍벽을 이룬 사람이었다. 이범윤은 처음 노령으로 망명하여 연추에서 최재형이 세운 학교의 교사로 있었으며 거의한 후에도 계속 최재형의 재정적 후원을 받았다. 1908년 4월 이후 산발적으로 도강 작전과 정찰 활동을 시도한 이범윤 의병 부대는 여름부터 본격적인 국내 침공 작전을 감행하기 시작하였다. 작전방법은 부대를 1백 명 내외의 소단위 부대로 나누어 일군 수비대의 경비가 허술한 지점을 택하여 산발적으로 도강 상륙하고, 이와 같이 국내 침입에 성공한 각부대는 갑산(甲山)·무산(茂山) 등 예정된 지점에 집결하여 장기적이며 항구적인 국내 항쟁을 전개하려고 하였다. 1908년 여름 두만강을 건너 국내로 침투한 의병 수가 얼마나 되는지 그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으나 7월초부터 9월 중순까지 꾸준히 계속되었다. 10월에 이르러 대규모의 기습공격이 감행되었다. 대체로 550명의 의병이 이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두만강 연안의 일군 수비대를 공격하면서 한편 이미 국내로 침투한 의병들로 하여금 후방 지대를 교란케 하는 작전을 전개하였다. 즉 9월 23일 이범윤 부대의 경흥 일대 출몰을 보도한 「대한매일신보」는 10월 17일 길주(吉州) 동남방 화대리(花臺里)에서 의병 50명이 성진(城津) 일군 수비대와 교전한 것을 보도하였고, 10월 15일에도 약 50명의 의병이 경성 주재 일군 헌병 및 경찰대와 교전을 하였다. 이러한 연해주 이범윤 의병 부대가 감행한 국내 침공 작전은 일군을 크게 당황하게 하였다. 일본은 두만강·압록강 일대에 병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외무성을 통하여 한국 의병의 무장 해제와 체포·송환을 러시아 당국에 강력히 요구하였다. 이범윤 의병 부대는 그후에도 국내 침공 작전에 몰두하였다. 1909년에 들어와서도 대대적인 국내 침투를 기획하였다. 이범윤은 노령 각지의 애국 유지들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노·일 전쟁 때 한국 전선에서 싸운 노군 퇴역 장교들과 손을 잡고 그들의 후원을 받아 대규모 침공작전을 펴려고 하였다. 일설에 의하면 한국을 동정하는 이들 퇴역 장교들은 이범윤에게 예비병 4만과 총기·탄약을 대여하겠다고 제의하며 기병을 권유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제의는 러시아 당국에 의해 제지당하였다. 퇴역 장교들은 총기를 헐값으로 구입토록 주선하였다. 즉 5연발 총 한 자루에 탄약 4백발을 붙여 4원 50전으로 하여 몇만 정이라도 팔겠다고 하였다. 이범윤은 지방 유세를 하여 수만금을 모금하여 총기를 구입하는 한편 군자금도 마련하였다. 이리하여 이범윤의 부대가 국내로 침공해 온다는 소식은 1909년에 들어와 빈번히 나돌게 되었다. 그러나 이 원대한 포부는 결국 실현되지 못하였으며 이들은 재침공의 꿈을 버리지 않았다. 이렇게 끈질긴 국내 침공 작전을 감행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투철한 항일투지와 아울러 무기의 우수성에 있었다. 이때 국내 의병들의 주무기는 화승총(火繩銃)이었으나 이곳 의병들이 소지한 무기는 노·일 전쟁 당시 러시아군이 사용한 소총이었다. 그들에게는 5연발, 14연발 등 각종 노국제 총기가 공급되었다. 더욱이 국내로 침공한 후의 탄약 보급을 위해 회령군(會寧郡) 용성부(龍城府)에 탄약 비밀 제조소까지 설치하고 제복도 러시아식 군복 차림으로 통일하고 털모자를 썼다. 또 그들은 러시아 퇴역 장교들로부터 군사 교련까지 받았다. 이러한 강력한 화력을 가졌던 이범윤 부대가 국내 침공 작전에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항일 의병 투쟁에 대하여 노·일 양국측의 간섭과 탄압에도 원인이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큰 원인은 항일 독립 전선 내부의 모순 즉 지도층의 분열에 있었다. 이때 노령 연해주의 항일 독립 전선 내부에는 2개의 흐름이 있었다. 그 하나는 이범윤·최재형·엄인섭·안응칠(安應七, 安重根) 등의 연추를 중심으로 하는 무장 항일 의병파(武裝抗日義兵派)요, 다른 하나는 블라디보스톡의 최봉준(「海朝新聞」창시자)을 중심으로 하는 해조 계몽파였다. 전자는 국내 의병 항쟁에 호응하여 무력에 의한 국권 회복을 강조하였고, 후자는 교육과 계몽 실업으로 민족적 실력을 배양하자는 계몽주의자들이었는데, 양자의 상극은 점차 짙어가 그 알력은 드디어 1909년 5, 6월경에 최재형에 의한 이범윤의 암살 미수 사건으로까지 발전하였다. 그후 1909년 9월에 일본이 안봉 철도 부설권과 간도를 교환하여 통감부 간도 출장소를 철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동간도 일대는 의병 활동이 다시 활기를 띠게 되고, 이와 아울러 내부 지도층의 모순 속에서도 연해주의 이범윤 계통의 의병들은 구국 무장 활동을 계속 전개해 나갔다. 그리하여 1910년 전후까지도 국내 침공 작전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에 들어오면서 교육·언론을 통한 실력배양이라는 소극적 구국계몽 전략이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무장 항일 독립 투쟁의 주도세력이 동간도(東間島)로 이동하여 적극 항쟁을 주장하는 많은 애국지사들이 이곳으로 이동해 갔다. 한편 이에 앞서 이범윤은 국내에서 일진회의 매국적 활동으로 한일합병설이 고조되자 유인석(柳麟錫)·김학만(金學滿)·차석보(車錫甫)·김좌두(金左斗)·김치보(金致甫) 등과 함께 성명회(聲明會)를 조직하여 격문을 지어 러시아·청국 각지에 체류하는 동포들에게 배부하였다. 또 의연금을 모금하여 그 돈으로 각국 정부에 전문을 발송하여 합병 저지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일제가 전격적으로 우리나라를 병합하자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할 것을 다짐하고 8월 26일 블라디보스톡 북쪽 '진고세'에서 교포의 지도급 인물 50여명과 회합했다. 이 모임에서 이범윤은 두만강이 언 뒤에 200명의 의병을 북한지방에 파견하고 총수 1만 명의 의병을 규합하여 독립전쟁을 전개할 것을 제안하여 결의되기도 하였다. 1919년초에는 39인과 더불어 대한독립선언을 발표하였다. 그후 진학신(秦學新)·최우익(崔友翼)·김청풍(金淸風)·김현규(金鉉圭)·신 립(申立)·지우강(池雨江) 등과 같이 동만주 각지에서 산재한 의병을 규합하여 1919년 4월 만주 연길현 명월구(延吉縣 明月溝)에 근거를 둔 의군부(義軍府)를 조직하고 총재(總裁)에 취임하였다. 한편 임시정부 조직에 참여하여 평정관(評定官)이 되었다. 얼마 후 본부를 노령 신한촌(新韓村)에 두고, 중부를 왕청현(旺淸縣) 봉오동(鳳梧洞)으로 정하여 연길·왕청·화룡·훈춘 등지에 걸쳐 5개 중대의 병력을 분산 주둔시켰다. 이들은 적 기관파괴·적군사살·친일 주구배 숙청 등에 전력을 기울여 활약하였다. 이범윤은 본부 신한촌에서 무기알선·군자금 모금 등의 활약을 하였다. 다음해 6월 신한촌은 무장한 적색분자의 습격을 받아 애국동지 85인이 피살되었다. 1921년 여러 독립 단체의 힘을 집결해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대한 독립군단'이 창설되었는데 여기에는 이범윤의 의군부, 광복단 등이 포함되었다. 서 일(徐一)이 자결한 후 이범윤은 대한 독립군단과 북로 군정서의 총재로 추대받았다. 1922년 대한 독립군단이 큰 타격을 받자, 김좌진(金佐鎭)·김 혁(金赫) 등이 힘을 합쳐 신민부(新民府)를 조직하고 이범윤을 참의원장으로 추대하였다. 신민부에서는 성동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무관양성에 힘썼으며, 이범윤은 그 고문이 되었다. 1926년 3월에는 러시아로부터 다량의 무기를 공급받기로 계약하였다. 그후 만주·시베리아 지역에서 계속 활약하다가 노환으로 서거하였다 한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201·341·409·410·545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3권 652·790·791·820·82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5권 51·156·185·190~196·234·236·33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권 658·693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130·216·232·238면
  • 매천야록 533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8권 102면
  • 항일의병장열전(김의환) 226·22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20·805·823·106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9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694·745·76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범윤 - 서울 연해주 의병운동
본문
1856년 12월 2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字)는 여옥(汝玉) 또는 국보(國甫)이다. 후일 연해주 의병의 국내진공작전시에 협력하게 되는 러시아 주재공사 이범진(李範晉)과 6촌 관계로 알려져 있다. 성장과정과 관계진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는 것은 고종에 의해서 간도관리사로 임명된 이후부터이다. 청국이 1881년에 북간도에 대한 적극적인 개간정책을 수립하고 이미 1860년대 이래 이주 · 개척해온 북간도의 한인들을 추방하려고 하였다. 이에 조선정부는 1883년 어윤중(魚允中)을 서북경략사(西北經略使)로 파견하여 이 지역에 대한 영토권을 주장하였고 이로써 청국과 조선 사이에 간도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북간도 한인농민들에 대한 청국의 박해가 심해지자, 조선정부는 이들을 보호하고자 1902년 북변간도관리사(北邊間島管理使)로 파견하였다. 북간도에 부임하여 이주 한인농민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포대(私砲隊)를 조직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고종의 명령을 받아 1천명 규모의 충의대(忠義隊)를 조직하여 함경도 국경지대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던 아니시모프(Anisimov) 장군 휘하의 러시아군을 도왔다. 러시아는 러일전쟁 당시의 공로를 인정하여 ‘신성(神聖)안나3등훈장’을 수여하였다. 전쟁이 끝난후 아니시모프는 충의대 부대의 무장해제를 명령하였고 1906년 초 청국 역시 만주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하여 충의대의 일부 대원들은 국내로 돌아갔고 나머지 700명은 노령 연해주의 노보키예프스크(煙秋, Новокчевск)로 이동하였다. 러시아로 이동한 이범윤부대는 실전경험이 있는 의병들로 이루어졌는데 연해주 최초의 항일의병부대의 주축이 되었다. 노령 한인사회의 지도자인 원호인(原戶人) 최재형(崔在亨, 표트로 세묘노비치 최)이 노령으로 이동한 이범윤과 그 휘하 의병들에 대한 후원에 나섰다. 최재형은 의병들에게 연해주 각 지 한인들의 의복과 식량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신임장을 제공하였다. 최재형의 후원으로 각지를 순회하며 동포들의 애국심을 고취하였고 향후 의병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모집할 수 있었다. 연해주 거주 한인들은 수만 루블의 자금을 의연하였고 청년들은 의병모집에도 호응하였다. 연해주에 체류하면서 간도관리사의 직함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고종이 하사한 마패(馬牌)를 소지하고 다니며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였다. 한인들 역시 관리영감(管理令監)이라고 경칭(敬稱)하였다. 1906년 노령 연해주로 이동한 충의대 출신 대원들을 이끌고 연해주 최초로 항일의병운동에 나섰다. 최재형의 도움을 받아 연추에 의병본부를 설치하였다. 자금과 의병 모집을 목적으로 한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이미 87명을 회원으로 확보하고 있었던 안중근(安重根), 엄인섭(嚴仁燮), 김기룡(金基龍) 의형제(義兄弟)가 동지들과 함께 연추의 의병본부에 합류하였다. 헤이그특사로 파견되었던 이위종(李瑋鍾)이 아버지 이범진(李範晉)의 명령을 받고 1만 루블의 자금을 휴대하고 연추로 왔다. 이위종의 주도로 의병조직 동의회(同義會)가 조직되었는데, 총장 최재형에 이어 부총장에 선출되었고, 회장에 이위종, 부회장에 엄인섭이 선출되었다. 안중근, 김기룡 등은 평의원으로 선임되었다. 동의회 산하의 의병은 1908년 7월 이후 8월까지 함경도 국경지대로 진출하여 일본군수비대와 전투를 벌였다. 최초의이 연해주의병의 국내진공작전은 일본군의 우세한 화력과 의병의 수적 열세로 인하여 퇴각할 수밖에 없었고, 그리고 러시아당국이 의병탄압정책으로 전환함에 따라 1908년 가을 이후 연해주의병은 퇴조기로 접어 들게 되었다. 더욱이 최재형과 분열되고, 최재형과 함께 노령 한인사회의 ‘3대 호걸’로 불리는 최봉준(崔鳳俊), 김학만(金學萬) 등 한인사회의 지도자들이 의병운동에 비우호적인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힘들었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포살사건이 발생함으로써 의병운동의 분위기가 새롭게 고조되었다. 그리하여 1908년 국내로부터 연해주로 이주해 온 유인석(柳麟錫)이 다시 기의(起義)할것을 촉구하였다. 이때 최재형 등 1908년 국내진공작전의 의병지도자들에게도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였다. 최재형이 의병활동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있던 상황에서 홀로 연추에 의병본부인 시무총무소(施務總務所)와 8개 지역에 분소를 설치하고 자금모집과 총기수집에 나섰다. 국내외에 배포한 통고(通告)에서 한인들에게 의거에 참가할 것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1910년 봄에 추진했던 거사는 실현되지 않았다. 얼마 후 연해주 한인들에게 일본과 러시아 간에 사실상의 공수동맹(共守同盟)에 가까운 제2차 러일협약 체결소식이 전해지면서 상황이 급변하였다. 미주에서 발간되고 있던 한인신문 『신한민보(新韓民報)』는 1910년 7월 13일자 기사에서 일본이 러시아와 제2차 러일협약을 체결하여 제3국의 만주 개입을 차단하고 만주에서 러시아의 이익을 보장하는 대가로 일본의 한국병합을 승인받고 한인애국자들의 활동을 제약하기 위한 ‘범죄인인도조약(犯罪人引渡條約)’이 체결되었다고 보도하였다. 이러한 급박한 상황에서 1910년 6월 21일 일본의 강제병합을 저지하기 위하여 연해주 의병세력들이 최후의 대일무장항쟁을 목표로 블라디보스토크 맞은 편 즉, 아무르만 서쪽 암밤비(Ambambi) 지역의 자피거우 한인마을에서 13도의군을 창설하였다. 도총재 유인석, 장의총재(壯義總裁) 이남기와 함께 창의총재(倡義總裁)에 선임되어 13도의군의 지도부를 이루었다. 그 외에 13도의군 조직을 주도한 이상설은 외교대원(外交大員)으로, 도총소(都總所) 참모에 우병렬(禹炳烈), 의원에 홍범도(洪範圖), 이진룡(李鎭龍) 등 의병지도자들이 선출되었다. 신민회의 안창호(安昌浩), 이갑(李甲), 이종호(李鍾浩) 등도 의원으로 참가하였다. 일제의 강제병합이라는 절박한 상황에서 의병파와 계몽파가 연합을 이루었던 것이다. 마침내 8월 23일 블라디보스토크의 러시아신문 『달레카이야 오크라이나』를 통해 일제의 강압적인 한국병합을 알리는 전보내용이 소개되자, 13도의군 지도자 유인석, 이상설 등과 함께 한인 200명이 집결한 한민학교에서 성명회(聲明會)를 조직하였다. 이어 ‘한국병합’의 불법성을 비판하는 항의서에 대한 서명운동에 돌입하였다. 아울러 일제의 불법적인 한국병합을 규탄하는 내용의 「성명회 취지문」을 프랑스어, 영어로 작성하여 8,624명이 서명하고, 을사늑약 체결 이전 외교관계에 있던 국가들에게 발송하였다. 일본의 외교적 압력을 받은 러시아당국은 한인지도자들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다. 9월 12일 새벽 러시아 관헌들이 한인촌 개척리를 습격하여 42명의 한인들을 체포하였다. 홍범도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당국의 체포를 모면하고 피신하였다. 체포된 인사들 가운데 김좌두(金佐斗), 안한주(安漢周), 이규풍(李奎豊), 이범석(李範奭), 권유상(權有相), 이기(李基), 이치권(李致權) 등 7명이 10월 10일 이르쿠츠크로 유배되었다. 결국 10월 24일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 원호인 부호 문창범의 측근들에게서 제보를 입수한 러시아 관헌에게 체포되어 역시 이르쿠츠크로 압송되었다. 유배에서 해제되어 블라디보스토크로 귀환한 것은 8개월만인 1911년 7월 5일이었다. 이후 주로 이상설 등과 연락을 유지하면서 우수리스크 헌병대장 쉐르바코프(Shchervakov)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항일운동을 모색하였다. 1911년 12월 19일 러시아당국의 공식허가를 얻어 권업회(勸業會)가 창립되자 도총재(都總裁) 유인석에 이어 최재형, 김학만과 더불어 총재로 선출되었다. 권업회는 ‘실업장려’를 표방하고 한인의 자치적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이면적으로는 민족운동을 추진하였다. 권업회의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관인 의사부(議事部)의 의장은 이상설, 부의장은 이종호, 교육부장에는 정재관 등 기호(畿湖), 함북(咸北), 서도(西道)를 대표하는 인사들이 망라되어 단합을 과시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가 일본과 같은 연합국 진영에 속하게 되면서 러시아지역의 독립운동 상황이 악화되었다. 활동을 다시 재개한 것은 1919년 3 · 1운동 이후부터였다. 1919년 3 · 1운동 이후 만주 지린(吉林)에서 발표된 「대한독립선언서」의 39인 서명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일제의 첩보자료에는 1919년 4월 말경 이동휘(李東輝), 진학신(秦學新)과 더불어 훈춘현(琿春縣) 탑도구(塔道溝)에 들어와 대한국민의회 훈춘지부를 설치하였다. 4월 24일부터 3일 동안 회의를 열고 국내진공작전 등 독립운동 실행방침을 결정했다고 한다. 국내의 서울에서 ‘국민대회’ 추진세력에 의해서 「국민대회취지서」와 함께 배포된 「선포문」에 임시정부의 평정관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1920년대에 전개된 다양한 독립운동전선에서 여러 단체의 활동 가운데에 꾸준하게 이름을 올리게 된다. 그러나 연로한 상태에서 현실적으로 독립운동 전선의 선두에서보다는 오랫동안 독립운동에 헌신한 원로로서 해당 단체의 권위와 위상을 높여 주는 역할에 머물렀다. 그리하여 1920년대 활동은 여러 무장단체들을 비롯하여 독립운동단체의 지도자로 추대되곤 했다. 우선 북간도와 연해주 추풍일대를 무대로 활동했던 의군부(義軍府)를 들 수 있다. 의군단(義軍團)이라고도 불리던 의군부의 정식명칭은 ‘대한의군부’였다. 그 기원은 일찍이 동의회를 중심으로 국내진공작전을 벌였던 한말 연해주 의병부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의군부는 3 · 1운동 이후 과거의 동지들을 규합하여 조직한 것으로 본부는 노령에 두고 허재욱(許在旭, 허근, 許根)이 전위대 격인 제1선대대(前衛隊)를 이끌고 북간도로 나가 활동하였다. 총재로서 의군부를 대표하였다. 1920년 8월 당시 의군부의 군사조직은 전위대와 산포대(山砲隊)로 이원화되어 있었다. 북간도 왕칭현(汪靑縣) 춘명향(春明鄕) 대감자(大坎子)에 근거들 두었던 무장단체 대한광복단(大韓光復團) 단원의 대다수는 공교회(孔敎會) 교도였다. 그런데 일제의 첩보자료에 단장으로 되어 있었다. 일제의 또 다른 첩보자료에는 광복단 단장이 이범윤이고 본부를 러시아령에 두고 있으나, 이름뿐이었고 북간도지역에서는 대변(代辨) 전성륜이 실질적으로 조직을 이끌고 있다고 하였다. 1920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에 걸쳐 하마탕(哈蟆塘) 상촌(上村)에서 개최된 독립군단체 대표들의 단체통일을 위한 회의에는 대한국민회장 구춘선, 대한독립군의용대장 홍범도 등 40여 명이 참석하였는데, 광복단 단장 자격으로 참석하였다. 1920년 가을 일본군의 간도침공 이후 북간도를 떠나 러시아령으로 이동하였다. 1920년 10월 러시아령으로 들어가기전 중 · 러 국경지대인 왕칭현 나자구(羅子溝)에 집결한 최진동(崔振東)의 군무도독부, 공의단(公義團), 광복단(光復團), 대한의군부, (나자구)의사부 등의 독립군단들이 연합하여 대한총군부(大韓總軍府)를 조직하였는데, 이연합조직의 총재로 추대되었다. 실질적인 지휘권을 가진 직책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명의에 불과하였다. 북간도 지역에서 실질적으로 항일무장투쟁에 참여했던 허근이 이끄는 의군부의 주력부대는 이만(Iman)을 거쳐 자유시(알렉세예프스크, Alekseyevsk)로 들어갔다. 나머지 군인들은 추풍 다부허(多富河)로 집결하여 이범윤을 중심으로 최종, 이윤, 연병무 등이 1개 중대(2개 소대)를 편성하였는데 병력은 약 80명이었다. 복벽주의(復辟主義)적 이념을 가진 의군부는 같은 지역에서 활동하던 솔밭관 한족공산당 군대와 이념상의 차이로 갈등 · 대립하였다. 그 단적인 예가 1921년 11월 의군부 군인들이 솔밭관 한족공산당 선전부장 유진구(柳震九)의 기숙사를 습격하여 구타 · 결박하여 다부허로 끌고 가 위협 국문(鞠問)한 사실이다. 1921년 12월 중순 추풍(秋風) 육성촌(六城村) 주둔 일본군이 자피거우한족공산당 지부를 공격하게 되자 식량공급의 곤란으로 12월 23일 연락원 15명만을 남긴 채 170명을 이끌고 중국령 미산(密山)으로 이동하였다. 이는 러시아공산당의 지시를 받은 솔밭관 한족공산당의 압박을 받은 결과였다. 마침내 의군부는 1922년 봄에 이르러 해산되었다. 1925년 3월 10일 지린성(吉林省) 닝안현(寧安縣)에서 신민부(新民府)가 창립되자 참의원장으로 취임하였고, 신민부에서 설립한 성동무관학교의 고문이 되었다. 1937년경 양아들 억종(億鍾)이 북만주에서 비밀리에 국내로 모셔왔고 1940년 10월 20일 노환으로 8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범윤(관리번호:1301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