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4333
성명
한자 李和秉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20 훈격 대통령표창
1919년 4월경 경남 통영군 이운면(현 경남 거제시)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6권(2021년 발간)

경상남도 거제도의 통영군 이운면 일대는 어장이 풍부해 일찍부터 일본 어민들이 많이 이주해 살고 있었다. 이들 일본어민들에 의해 한국민의 어업권은 송두리째 빼앗긴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이곳 주민들의 항일정신이 높았으며 지역 곳곳에서 만세시위가 벌어졌다.

1919년 3월 28일 경상남도 통영군 읍내에서 약 150여 명의 군중이 만세시위를 벌였는데 이것이 이 지역 소요의 시작이었다. 4월 2일에도 한 차례 시위가 있었다. 또한 3일에는 경상남도 통영군 이운면에서 옥포리에 사는 주종찬(朱宗讚)이 주동해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깃발 7개를 옥포리시장에 세우고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에 많은 군중이 호응해 만세시위가 벌어졌다. 그러나 급히 출동한 일본 경찰의 탄압으로 시위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6일에는 옥포리(玉浦里)에서 시위운동이 있었다. 이화병은 6일 아주장터에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됐다.

이화병은 1919년 4월 18일 부산지방법원 통영지청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정부는 2020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형사사건부(刑事事件簿)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제6집 558~559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화병(관리번호:96433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