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5권(2020년 발간)
1929년 11월 3일 전라남도 광주(光州)에서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다. 학생들은 억울하게 구속된 학생 석방, 식민지교육 철폐, 민족해방 등을 요구하며 동조시위의 깃발을 들어올렸다. 동조시위, 동맹휴학 형태의 반일 운동은 전국으로 이어졌다. 서울 20여개 남녀학교 학생들은 연합시위운동을 진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박선봉은 당시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4학년에 다니고 있었다. 그녀는 1930년 1월 13일~14일 시내 남녀학교 학생 대표들과 시위운동 방법을 협의했으며, 1월 15일을 기해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종로네거리에 모이기로 했다.
박선봉은 약속한 중동학교 학생들이 1월 15일에 나타나지 않자 연합시위운동을 일시 보류했다. 박선봉 등 학생들은 1월 16일 오전 조회시간을 시작으로 만세를 부르며 교실을 박차고 나왔다. 학생들은 교문밖 진출을 시도했지만 경찰의 저지로 뜻을 이룰 수 없었다. 박선봉 등은 교내에서 항쟁했다. 1월 17일~18일 검거된 학생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동맹휴학을 이어갔다. 하지만 그녀는 결국 체포되었다. 2월 10일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지만, 학교는 그녀를 퇴학 시켰다.
정부는 2019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동아일보(東亞日報)(1930. 1. 31, 2. 11, 2. 12)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제9권 59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