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6554
성명
한자 朴先奉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년도 2019 훈격 대통령표창
1930년 1월 서울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을 지지하는 만세운동과 동맹휴학을 계획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퇴학 처분을 받음.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5권(2020년 발간)

1929년 11월 3일 전라남도 광주(光州)에서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다. 학생들은 억울하게 구속된 학생 석방, 식민지교육 철폐, 민족해방 등을 요구하며 동조시위의 깃발을 들어올렸다. 동조시위, 동맹휴학 형태의 반일 운동은 전국으로 이어졌다. 서울 20여개 남녀학교 학생들은 연합시위운동을 진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박선봉은 당시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4학년에 다니고 있었다. 그녀는 1930년 1월 13일~14일 시내 남녀학교 학생 대표들과 시위운동 방법을 협의했으며, 1월 15일을 기해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종로네거리에 모이기로 했다.

박선봉은 약속한 중동학교 학생들이 1월 15일에 나타나지 않자 연합시위운동을 일시 보류했다. 박선봉 등 학생들은 1월 16일 오전 조회시간을 시작으로 만세를 부르며 교실을 박차고 나왔다. 학생들은 교문밖 진출을 시도했지만 경찰의 저지로 뜻을 이룰 수 없었다. 박선봉 등은 교내에서 항쟁했다. 1월 17일~18일 검거된 학생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동맹휴학을 이어갔다. 하지만 그녀는 결국 체포되었다. 2월 10일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지만, 학교는 그녀를 퇴학 시켰다.

정부는 2019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동아일보(東亞日報)(1930. 1. 31, 2. 11, 2. 12)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제9권 596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선봉(관리번호:95655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