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8권(2010년 발간)
1920년 음 5월경, 경북 안동에서 흠치교(吽哆敎) 12인조의 교도가 되었으며, 흠치교를 통해 항일 독립운동을 펼쳤다.
1901년 전라도 고부 출신의 강일순(姜一淳)이 세운 흠치교는 민족정신을 고취하였으며, 조선독립을 표방하였기 때문에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받게 되었다. 교의 조직은 교주 차경석(車京錫)이 있고, 그 아래에 60인의 고문이 있으며, 고문 아래에 6인조-12인조-8인조-15인조 등의 조직을 갖추고, 각각 30원-15원-10원-5원의 치성비(致誠費)를 내어 일부는 제사 비용으로 쓰고, 나머지는 전라도 정읍에 있는 본부에 보내져 독립운동 자금으로도 쓰였다. 교도들은 1924년에 교주 차경석이 계룡산에 도읍하고 황제에 취임할 것이며, 이때를 기하여 국외의 독립운동단체와 호응하여 일제히 일어나 독립운동을 개시하여 조선독립의 희망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하였다.
박창규는 1920년 음 5월경 서후면 교동 권영묵(權寧黙)의 집에서 일심동체를 맹세하고, 이남호(李南鎬)·김구현(金龜顯)과 함께 12인조의 신도로 가입하였다. 이때 권영묵으로부터 교첩을 받고, 치성비 15원을 기부하였다. 교도를 조직하고 독립자금을 모집했다는 죄목으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1년 7월 11일 박창규는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소위 ‘1919년 제령 제7호(정치범처벌령)’ 위반으로 징역 2년(미결구류 120일 통산)을 선고받고 항소하였으나, 11월 2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 판결이 나왔다. 그러나 다시 상고하였으나 1922년 2월 27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었다. 1923년 7월 1일 안동감옥소에서 병보석으로 석방되었다가 10개월 후 사망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8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判決文(大邱地方法院 安東支廳:1921. 7. 11)
- 判決文(高等法院:1922. 2. 27)
-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 判決文(大邱覆審法院:1921. 11. 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