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1907년 충북 단양(丹陽)에서 신태식(申泰植) 의진에 참가하여 경북, 충청, 강원, 경기 지역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일제는 1905년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내정을 간섭하여 갔다. 나아가 1907년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의 군대를 강제 해산하였다. 이에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봉기하여 국권회복을 위해 일제와 항쟁하였다.
1907년 8월 단양에서 기의한 신태식 의병부대는 중부지방 전반에 걸쳐 폭넓은 활동반경을 보이며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이때 대한제국군 향관(餉官)출신의 현덕호는 군대해산 이후 의병의 길을 모색하다가 신태식 의병부대에 참가하였다.
그후 신태식의진이 이강년(李康秊) 의병부대에 합류하여 단위부대를 편성하여 활동하자 현덕호는 이강년 의병부대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그러나 1908년 경기 양주의 안산전투에 참가한 그는 일본군과 교전 중 일본군의 총격을 받고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9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末義兵資料集(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1∼14·413·414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