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299
성명
한자 金漢經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5 훈격 애족장
1945. 6월 (頃) 부산(釜山) 제2 상업학교 제32회 졸업생들이 중심이 되어 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결사인 무궁단(無窮團)을 조직하여 활동하던 중 피체(被逮)되어 광복으로 석방되었으나 익년 2월 옥고(獄苦)여독으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부산(釜山) 사람이다.

1945년 6월 부산 제2상업학교 32회 졸업생들과 함께 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결사 무궁단(無窮團)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45년에 이르러 태평양전쟁에서 패색이 짙어 가는 가운데, 전쟁동원에 마지막 발악을 발하던 일제는 소위 내선일체(內鮮一體)의 깃발 아래 극악의 민족적 탄압을 가해 왔다. 그리하여 1945년 4월 8일 일제는 부산지역 학생들을 강제 동원시켜 부산 공회당에서 '미·영격멸대회'를 개최하면서, 침략전쟁을 찬양하고 한국인의 전쟁동원을 대대적으로 선전하였다. 이 때 부산 제2상업학교 학생 신사현(申士鉉)·최재규(崔在圭)·서봉태(徐鳳泰) 등은 한국인을 일제 침략전쟁의 길로 내모는 친일 연사를 규탄하였으며, 김한경은 일본인 교사를 배척하다가 무기정학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항일의식을 더욱 발전시켜 독립운동을 구체적으로 전개할 목적으로 비밀결사 무궁단을 조직하였는데, 비밀결사 조직 직후 일경에 발각됨으로써 1945년 6월에 붙잡혔다.

이 일로 그는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여 출옥하였다. 그러나 모진 고문의 여독으로 인하여 1946년 2월 18일에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釜商의 70年(부산상업고등학교 70년사편찬위원회, 1965) 92면
  • 종결 신분장 보존부(부산교도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816·81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한경 - 경상남도 부산(釜山) 무궁당 사건
본문
1927년 4월 28일 경상남도 부산부(釜山府) 영주도(瀛州洞)에서 아버지 김근이(金根伊)와 어머니 정차수(鄭次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慶州)다.1940년 3월 부산제2공립상업학교에 입학, 재학 시절 부친이 광산업 경영 중 일본인에 의해 파산한 것을 목격하고서 반일 감정이 생겼다. 비밀결사 무궁당(無窮黨)을 결성하여 활동하다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1943년 10월 총독부의 제4차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1944년 4월 1일 모교가 공업학교로 강제 전환되었고 12월 22일 제32회 졸업식을 마지막으로 5학년을 마쳤다. 이후 5년제 상업학교는 4년제 공업학교로 바뀌었다.조국 광복을 실현할 목적으로 부산중학을 중퇴한 이영일(李榮一)과 함께 1945년 부산제2상업학교 32회 졸업생(11명), 초량상업학교, 입정상업학교 등 졸업생들과 비밀결사 무궁당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고자 하였다.같은 해 6월 2일 밤 10시~11시 동지 김무양(金務陽) 집에서 이영일·김무양·김상구(金相九)·오필수(吳弼守)·최창열(崔昌烈) 등 6인이 모여 비밀회의 중 부산헌병대에 탐지되어 일제 경찰에게 붙잡혔고, 다음날부터 2, 3일 간에 박희원(朴喜元)·박옥현(朴玉鉉)·박세원(朴世源) 등 무궁당원 20여 명이 전원 체포되었다.이로써 부산헌병대에서 신상묵 및 ‘아라이(新井) 헌병보’로 악명 높았던 박종표(朴鍾杓)에게 흉부를 결박한 뒤 횡포한 구타를 당하거나 비행기식으로 매달리고서 난타당하는 식의 혹독한 고문과 취조를 당하여 결사 내용을 자백하게 되었다.1945년 6월 30일 기소의견으로 송치되어 부산형무소에 이감되어 미결수로 지내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아 옥에서 나왔다. 그러나 흉부 고문으로 인한 폐병과 소화기질환 등 여독을 앓다가 이듬해 2월 18일 2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한경(관리번호:929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