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대구(大邱) 사람이다.
1919년 3월 8일 대구 서문외(西門外) 장날을 이용하여 이만집(李萬集)·김태련(金兌鍊)·권의윤(權義允)·김영서(金永瑞)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당시 계성중학교(啓聖中學校) 교사인 그는 경상도 독립만세운동의 연락책임자로 2월 24일 대에서 내려온 이갑성(李甲成)과 제일교회에서 만나, 국내외의 정세를 전해 듣고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기로 결심하였다.
이어 그는 이만집·김태련·김영서·권의윤·이상백(李相柏)·정재순(鄭在淳)·정광순(鄭光淳)·최상원(崔相元)·최경학(崔敬學) 등과 만나, 서문외 장날인 3월 8일 오후 3시를 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각자 주민과 학생의 동원을 책임분담 하였는데, 그는 계성중학교 학생의 동원을 담당하였다. 한편 ·대구고보(大邱高普)·신명여학교(信明女學校)·성경학교(聖經학교) 학생들과도 연락을 취하여 연합시위를 전개하도록 약속하였다.
3월 6일에는 김태련 등에 의해서 이갑성이 보낸 독립선언서가 등사되고, 대·소의 태극기 40여매가 제작되는 등 사전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불행히도 그는 이튿날 일제의 예비 검속 때 체포되었다. 그러나 그가 주동하여 계획한 독립만세운동은 예정대로 추진되어, 1천여명의 시위군중이 모인 가운데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결국 그는 이해 4월 18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고등경찰요사 23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6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347·348·350·35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269·27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264·1268·1269·127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