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243
성명
한자 李相定
이명 李然浩, 晴南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77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17년 04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1923. 정주오산중학교원으로 지하항일하다가 만주로 망명 육영 사업(育英事業)과 독립운동 중 1926.부터 서북국민부대 참모와 국민군 정규군 소장으로 항일운동
2. 1936부터 해방시까지 중경에 망명 임정 외교연구위원(臨政外交硏究委員)중국육군참모학교 교관(中國陸軍參謀學校敎官), 연합군 참모(聯合軍參謀)(소장(少將)) 막료로 활동하였고
3. 1940년 광복군 총사령부(光復軍總司令部) 창설시(創設時) 고급참모(高級參謀)로 임명 중경 중국유격대 훈련교수로서 항일전선에 참가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상북도 대구(大邱) 사람으로 시인 이상화(李相和)의 형이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 평안북도 정주(定州)에 있는 오산학교(五山學校) 교사로 근무하면서 지하조직을 결성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만주로 망명하였다. 만주에서 육영사업을 하며 독립운동에 가담, 활동하였다.

1926년부터 1927년까지는 동만주(東滿洲)에서 중국 풍옥상(馮玉祥)의 서북국민부대(西北國民部隊)에서 준장급 참모(准將級參謀)로 활약하였으며, 장개석의 부대와 통합됨에 따라 국민정부(國民政府) 정규군 소장(少將)으로 항일전선에서 활동하였다.

1932년 경에는 남창(南昌) 항공협진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활약하였다. 1936년에 중일전쟁(中日戰爭)이 발발하자 중경(重慶)에 있는 임시정부의 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으나 중국 육군 참모학교의 교관으로 계속 활동하였다.

1939년 4월에는 민족전선통일을 기하기 위한 청년호성사(靑年呼聲社)를 조직하고 이건우(李健宇)와 함께 잡지 청년호성(靑年呼聲)을 창간하였다. 또한 1940년 9월에 광복군(光復軍) 창설을 적극 지원하였다.

1941년 10월에는 임시의정원 경상도의원에 다시 선출되었으며, 1942년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는 최동오(崔東旿) 등 27명과 함께 연서로 "우리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최단 기간 내에 중 미, 영, 소 등 연합 각국 정부에 향하여 정식으로 우리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을 요구할 것"이라는 임시정부 승인에 관한 안을 제안하였다.

1942년 8월에 임시정부에서는 외무부 내에 외교연구위원회를 설치하고 외교 전반에 관한 문제를 연구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에 그는 신익희(申翼熙), 장건상(張建相), 이현수(李顯洙) 등과 함께 연구위원으로 선임되어 그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44년에는 강창제(姜昌濟), 홍진(洪震) 등과 함께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을 창당하였으며, 1945년 2월에는 동당 중앙집행위원에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그는 또한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중경(重慶)에서 중국 육군 유격대훈련학교 교관에 취임하여 후진 양성에 노력하였으며, 중국군 중장(中將)으로 진급하여 광복 후에는 북지방면(北支方面)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도왔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적을 인정하여 1977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451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36 27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641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권 22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856 858 102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617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209 268 269 279 471 810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230 275 281 282 284 285 287 293 294 295 297 298 301 302 358 375 419 420 421 422 423 433 463 466 467 469 471 480 481 495 509 523 528 529 531 543 546 547 570 573 574 586 588 590 591 599 600 601 610 611 625 626 634 636 672 678 680 684 686 687 688 691 692 693 700 705 706 717 729 768 772 827 85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상정 이직문(李直文), 이연호(李然晧), 호 : 청남(晴南), 산은(汕隱) 경북 대구 -
본문
1896년 (음)6월 10일 경상북도 대구(大邱)에서 부친 이시우(李時雨)와 모친 김신자(金愼子)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호는 청남(晴南)·산은(汕隱)이다. 이명은 이직문(李直文)·이연호(李然晧)이다. 저항 시인으로 유명한 이상화(李相和), 역사학자·사회학자·체육인으로 널리 알려진 이상백(李相佰), 수렵가이자 저술가로 알려진 이상오(李相旿)가 동생이다. 1913년 경북 청도(淸道) 출신의 한문이(韓文伊)와 결혼하여 2녀 1남을 두었으나, 장녀는 일찍 세상을 떴다. 1926년 10월 평양 출신 권기옥(權基玉)과 혼인하였다.조부인 이동진(李東珍) 대에 와서 재산을 축적하고 문중을 위해 많은 일을 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부친이 1908년 사망하여 형제들과 함께 조부와 백부 이일우(李一雨)의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백부 이일우는 우현서루(友弦書樓)라는 도서관을 설립하였는데, 그곳은 1920년대 교남학교로 발전하였다. 백부가 운영하던 이 사숙에서 신구학문을 수학한 것으로 보인다.1912년경 일본에 유학하여 세이조중학교(成城學校)를 거쳐 고쿠카구인대학(國學院大學)에서 역사학을 공부하였다. 미술학교와 상업학교에서도 수학하였다. 1917년경 귀국하여 대구 계성학교의 미술 교사로 근무하며 서양화 개인전람회를 개최하였다. 1919년 만세운동 직후 계성학교 교사를 사임하였다. 1920년대 초 정주(定州)의 오산학교와 평양의 광성고보, 서울의 경신학교 등 기독교 계통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1925년 1월부터 대구에서 조직된 사회주의 지지단체인 용진단(勇進團)의 위원장으로 활동하다가, 5월경 중국으로 건너갔다. 용진단 간부가 이른바 적기사건(赤旗事件)에 관여된 직후의 일이었다. 잠시 하얼빈 근처 한국인 학교를 맡았으나, 독립운동에 참여할 기회를 찾았다. 1926년 중 허베이성(河北省) 장자커우(張家口)에서 유동열(柳東說)·신영삼(申永三) 등과 연결되었고, 쑤이위안(綏遠)으로 이동하여 펑위샹(馮玉祥)의 서북군 참모부에 근무하였다.1926년 10월 권기옥과 간단한 혼례식을 하고 동거에 들어갔다. 권기옥은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실형을 살고 중국으로 건너가 항저우(杭州)의 홍다오여학교(弘道女學校)를 마치고 1925년 윈난(雲南) 육군항공학교를 졸업한 비행사였다. 권기옥이 중국항공사령부의 비행원으로 임관하자 부임지인 상하이와 난징에서 함께 거주하였다. 이곳에서 항공사령부의 특별문관 등으로 활동하였고, 고적답사를 하며 기행문도 저술하였다. 일부 기행문 등은 국내 잡지에 발표되었다. 1928년 3월 권기옥·손두환(孫斗煥) 등과 함께 공산당 혐의로 중국 관헌에 체포되어 난징 일본영사관에 넘겨져 40여 일 조사를 받았으나, 증거불충분으로 석방되었다. 이들의 석방은 중국 유력 인사들의 도움이 있었다고 한다.1929년에는 지인의 간청으로 쉬저우(徐州) 주둔 국민정부군 사단 훈련처 책임자로 배속되었다가 사임하고 1938년까지 중국군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1932년 난창항공협진회(南昌航空協進會) 위원을 맡는 등 중국군 항공 관련 업무에 관여하였다. 1930년대 상하이에서 상점을 운영하였다는 기록도 있다.1933년 12월 항저우(杭州)로 이전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경상도의원으로 보선되었으나 불참하였다. 1934년에는 임시의정원 의원에 추천되었다가 철회되었다. 1936년 부인 권기옥과 함께 일제 간첩이라는 모함을 받아 8개월간 감옥에 수감된 적이 있었다. 감옥에서 석방된 직후인 1937년 3월경 이상화가 형을 만나러 중국에 와 3개월 정도 머물렀다. 함께 난징과 베이징 등을 여행하였으며, 저술 일부를 이상화가 국내로 가지고 갔으나 일제 경찰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분실한 것으로 알려졌다.1937년 7월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민족전선 통일운동의 선두에 서서 활동하였다. 11월 조선민족전선연맹 성립을 주도하였으며, 조선민족혁명당 당원으로 참여하였다. 1938년 충칭(重慶)에 도착하여 중국 국민정부군 상교(上校)로 임관하여 육군참모학교 교관으로 취임하였고, 아울러 화중군사령부(華中軍司令部) 막료직도 겸하였다. 이어 소장으로 승진하였다.1940년 전반 조선민족혁명당 등이 임시정부에 참여하자, 중국군에 재임하면서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였다. 1942년 8월 임시정부 외무부 외교연구위원으로 선임되었고, 10월 임시의정원 경상도 지역 의원에 선출되었다. 임시의정원에서는 여러 분과 위원을 맡아 활발한 의정 활동을 전개하였다. 중국군적에 있으면서도 한국광복군의 9개준승 폐지를 주장하였다. 한국과 중국이 평등한 관계를 유지해야만 한·중 연대가 제대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1945년 2월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 창당에 참여하여 중앙집행위원을 맡았다. 5월 흥사단(興士團)의 예비단우로 입단하였다.1945년 8월 광복이 되자 1946년 1월 상하이로 가서 한인의 권익 보호에 진력하였다. 시·서·화에 능하여 인보(印譜)와 사후 『중국유기(中國遊記)』를 남겼다. 군사전문가로 널리 알려졌으나, 예술가적 소질을 발휘하여 풍류를 즐겼고, 전각(篆刻)과 문예에 조예가 깊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상정(관리번호:824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