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213
성명
한자 李起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1 훈격 애국장
1919.4월 중국(中國) 상해(上海)에서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경기도(京畿道) 의원(議員)으로 선출되어 청원위원회 이사(請願委員會理事)로 활동하고 대한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상의원(常議員)이 되었으며 1921.10월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에서는 임시정부(臨時政府) 옹호를 위한 활동을 하였고 1922년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에 가입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기 이천(利川) 사람이다.

1919년 중국 상해(上海)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의 경기도 의원으로 선출되어 신석우(申錫雨), 정대호(鄭大鎬), 오의선(吳義善) 등과 함께 활약하는 한편, 임시의정원 청원위원회 이사로서 위원장 고일청(高一淸) 등과 함께 일하였다.

또한 동년 7월 1일 상해에서 조직된 대한적십자회의 상의원(常議員)으로서 회장인 이희경(李喜儆), 부회장 김성겸(金聖謙), 이사 여운형(呂運亨) 등을 보필하였다.

1921년 10월에는 국민대표회의 개최가 논의되자, "임시정부가 성립된 지 3년도 못되는데 다시 국민의 여론을 물어 임시정부를 근본적으로 개조하는 것은 야심가의 개인적인 뜻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이를 단연코 반대하였으며, 김홍식(金弘植) 민충식(閔忠植)과 함께 국민대표회의 여운형(呂運亨)을 방문하여 격론 끝에 여운형을 구타하기도 하였다. 이후 1922년 7월에는 안창호(安昌浩) 등과 같이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 조직에 가입하였으나 분쟁이 계속되자 이를 바로 탈퇴한 바도 있다.

광복 후에는 반민특위(反民特委) 서울 경기지구위원장을 지냈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인정하여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민족운동연감 6, 8, 16, 19, 22, 43, 167, 168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39, 364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33면
  • 고등경찰요사 87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7, 24, 2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497, 499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2, 43, 44, 45, 51, 53, 54, 55, 56, 5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196, 202, 203, 21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143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5, 26, 36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34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36, 38, 42, 43, 46, 48, 54, 35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기룡 - 경기 이천(利川) -
본문
1885년 6월 18일 경기도 이천군(利川郡) 부발면(夫鉢面) 가산리(柯山里)에서 아버지 이정의(李定儀)와 어머니 남씨(南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19년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아 1919년 이전에 도항한 것으로 보인다.1919년 4월 22일 임시의정원 제2회 회의에 출석하여 임시정부 차장제 폐지와 위원제 시행 및 임시의정원 성립 반포 등의 사안을 의결하였다.1919년 4월 25일 임시의정원 제3회 회의에 출석하여 임시의정원법안의 검토에 필요한 심사위원 선거에 대한 사항을 의결하였다. 1919년 4월 30일 의정원 제4회 회의에도 참석하여, 임시정부 장정, 국무총리 대리의 선거, 의회 방청권, 선출의원의 재원(財源) 방침, 구급의연금 모집방법 및 위원 선거, 의원자격 심사, 국무총리대리 및 법무총장의 사면청원과 보선, 외교 전권위원 선거, 노령(露領) 국민의회 문제, 의정원 세칙규정 등의 의안을 처리하였다. 국무총리 대리에 조성환(曹成煥)을 추천·투표하였으나 이동녕(李東寧)이 당선되었다.1919년 7월 7일부터 7월 19일까지 개회된 임시의정원 제5회 회의에서 상임위원회를 조직하는 과정에서 청원위원회 이사로 선출되었다. 이때 위원장은 고일청(高一淸), 위원은 이규갑(李奎甲)으로 함께 활동하였다. 1919년 8월 18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구로 개회한 제6회 임시의정원 회기를 끝으로 신익희(申翼熙)·최창식(崔昌植)과 함께 의원직에서 해임되었다.또한 1919년 7월 임시정부 내무부 총장 안창호(安昌浩) 등이 발기하고 내무부로부터 인가를 받아 조직된 대한적십자회에 가입하여 1921년 11월까지 상의원(常議員)으로 활동하였다. 대한적십자회는 전쟁 혹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부상자를 구호하기 위해 조직한 보건후생단체로 회장은 이희경(李喜儆), 부회장은 김성겸(金聖謙), 이사에는 여운형(呂運亨)이 임명되었다.1921년 10월에 국민대표회의 개최가 제기되자 “임시정부가 성립된 지 3년도 안되었는데, 이를 근본적으로 개조하는 것은 한 두 사람 야심가의 사욕에 기인한 것이며 믿음을 중외에 잃는 행동”이라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였다.1922년 7월 13일 국민대표회의 개최 등 현안으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녕 주재 하에 조직된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에 가입하였다. 시사책진회는 단체를 통할할 만한 최고 단체로서 임시정부 이상의 기관으로 하여 시국을 수습할 권위를 갖도록 하는데 목표가 있었다. 그러나 시사책진회의 분쟁이 계속되자, 같은 달 26일 개최된 회의에서 조소앙(趙索昻)·연병호(延秉昊)·이필규(李駜珪)·김용철(金容喆)·조완(趙完) 등과 함께 의사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를 들어 탈퇴하였다.광복 후 귀국하여 1945년 10월 18일부터 다음 해 12월까지 제2대 이천군수를 지냈다. 1949년 1월 12일 국회에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의 경기도 조사책임자로 선임되었으나, 특위활동이 성과 없이 끝나자 공직에서 물러나 칩거생활을 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기룡(관리번호:821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