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기 이천(利川) 사람이다.
1919년 중국 상해(上海)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의 경기도 의원으로 선출되어 신석우(申錫雨), 정대호(鄭大鎬), 오의선(吳義善) 등과 함께 활약하는 한편, 임시의정원 청원위원회 이사로서 위원장 고일청(高一淸) 등과 함께 일하였다.
또한 동년 7월 1일 상해에서 조직된 대한적십자회의 상의원(常議員)으로서 회장인 이희경(李喜儆), 부회장 김성겸(金聖謙), 이사 여운형(呂運亨) 등을 보필하였다.
1921년 10월에는 국민대표회의 개최가 논의되자, "임시정부가 성립된 지 3년도 못되는데 다시 국민의 여론을 물어 임시정부를 근본적으로 개조하는 것은 야심가의 개인적인 뜻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이를 단연코 반대하였으며, 김홍식(金弘植) 민충식(閔忠植)과 함께 국민대표회의 여운형(呂運亨)을 방문하여 격론 끝에 여운형을 구타하기도 하였다. 이후 1922년 7월에는 안창호(安昌浩) 등과 같이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 조직에 가입하였으나 분쟁이 계속되자 이를 바로 탈퇴한 바도 있다.
광복 후에는 반민특위(反民特委) 서울 경기지구위원장을 지냈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인정하여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민족운동연감 6, 8, 16, 19, 22, 43, 167, 168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39, 364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33면
- 고등경찰요사 87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7, 24, 2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497, 499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2, 43, 44, 45, 51, 53, 54, 55, 56, 5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196, 202, 203, 21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143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5, 26, 36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34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36, 38, 42, 43, 46, 48, 54, 358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