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0097
성명
한자 金宇鎭
이명 金宇震, 金宇鐘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5 훈격 애국장
김좌진(金佐鎭)친족(親族)으로서 1919년 서울에서 3.1독립운동(獨立運動)에 가담하였다가 옥고를 치렀고 그 후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도항하여 1919년 4월 대한국민(大韓國民) 임시정부(臨時政府) 의정원(議政院) 의원(議員)으로 선임(選任)되어 각부위원(各部委員)인선(人選)에 관여하였고 1920년대 초에는 북경(北京)에서 학생회(學生會)를 조직하고 조사부(調査部) 위원(委員)으로서 새로 오는 학생들에게 항일(抗日), 민족의식(民族意識)을 심어주었고, 1924년 대한청년동맹회(大韓靑年同盟會)후보(候補) 감찰원(監察員)의경대원(義警隊員)으로 활동하였으며 1925년까지 의정원(議政院) 의원(議員)의열단원(義烈團員)으로 김원봉(金元鳳)과 함께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충남 홍성(洪城) 사람이다. 백야(白冶) 김좌진(金佐鎭)의 친족으로 1919년 3월 서울에서 3·1운동이 전개되자 이에 참가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붙잡혀 옥고를 치렀다. 그 후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동년 4월 탄생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입법기관이자 독립운동 방략을 논의·결정하는 기구인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제3차 회의에서 의정원 의원으로 선임되어 임시의정원법(臨時議政院法)을 통과시키는 등 1925년까지 약 7년간 임시정부 기본법의 기초 수립 활동과 함께 조국 광복에 필요한 각 부 위원의 인선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1924년 1월 상해에서 임시정부의 후원조직으로 결성된 대한청년동맹회(大韓靑年同盟會)의 후보감찰위원(候補監察委員)으로 선임된 그는 당시 상해 근교가 중국 내전으로 인해 혼란해지자, 상해 불란서 조계(租界)에 위치한 임시정부와 그 요인들을 보호할 목적으로 의경대(義警隊)를 조직하여 불란서 관헌의 조계 경비를 돕는 등 불란서와 원만한 관계를 맺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그 후 김원봉(金元鳳)이 이끄는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여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1925년 8월경 중국 북경(北京)으로 건너가 한인 학생들을 규합하여 학생회를 조직하고 조사부 위원으로서 새로 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를 제공하고 항일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등 민족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다가 일제의 요주의 인물로 선정되어 체포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6·480·537·544·546면
  • 조선민족운동연감 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4권 162면
  • 국외용의조선인명부(총독부경무국) 61면
  • 요시찰인명부(국가보훈처) 250∼252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2∼44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9집 14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우진 김무(金武), 김우종(金宇鐘), 김우진(金宇震) 충청남도 홍성(洪城) -
본문
1890년 4월 27일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 고도면(高道面) 상촌리(上村里)에서 아버지 김희규(金羲圭)와 어머니 이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김좌진(金佐鎭)의 친족이다. 이명으로 김무(金武), 김우종(金宇鐘), 김우진(金宇震) 등을 사용하였다.어렸을 때 서당에서 한문을 익혔으며, 1916년 3월경 경성공업전습소(京城工業傳習所)에 입학하였다. 1919년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서울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하여 구류 처분을 받았다. 이후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가담하였다.1919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제 2·3차 임시의정원 회의에 참석하였다. 제2차 회의에서는 국무원 비서장과 4부 차장의 사면 청원을 수리하고, 차장제를 폐지하고 위원제를 실시하는 법규 개정에 참여하였다. 또한 임시정부 각 부 위원을 선임하였다. 제3회 회의에도 출석하여 「임시의정원법」 의결에 관여하였고, ‘의원 선거의 건’과 ‘선거세칙’, ‘임시정부관제 제정에 관한 건’에 대해 임시정부 국무원에 위임할 것을 의결하였다. 1920년 1월 28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서기에 임명되어 그 해 6월 10일까지 활동하였다.1923년 말 상하이 대한인교민단의 치안 조직인 의경대(義警隊)의 대원으로 활동하였다. 상하이 대한인교민단은 1920년 10월 7일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에 설립된 한인 교민 단체로, 한인 교민들의 생활 보호와 임시정부의 기반 조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립된 단체였다. 의경대는 당시 상하이 인근 지역이 중국 내전으로 인해 혼란에 빠지자 독립운동자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프랑스 경찰을 도와 상하이 교민사회의 치안유지 활동을 전개하였다. 의경단원 19명은 모두 3조로 편성되었는데, 그 중 1조에 편성되어 근무하였다.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결렬된 이후 1924년 4월 5일 창립된 단체인 상하이 한인청년동맹(上海韓人靑年同盟)에서 후보감찰위원을 맡아 적극 활동하였다. 이 단체의 설립 목표는 청년들의 혁명정신을 고취하고 단합적 행동을 훈련함으로써 민족독립을 완성하는 데 두고 있었다.1925년 1월 초순 김구(金九)·윤기섭(尹琦燮) 등이 조직한 의열단체인 한혈단(韓血團)에 입단하였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베이징으로 옮겨 새로 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를 제공하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학생회가 조직되자 조사부 위원을 맡아 참여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1925년 작성된 조선총독부의 요시찰인 명부에 이름이 올라 체포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이후 상하이로 이동했던 것으로 보이며, 1933년 6월경에는 상하이에서 설립된 한인 친목 단체의 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는 1934년까지 이른바 ‘용의조선인’으로 분류하고 끊임없이 감시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기념관 의열기념관 경상남도 밀양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우진(관리번호:8009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