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660
성명
한자 慶賢秀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91 훈격 애국장
1895년 강원도(江原道) 원주(原州)에서 기의(起義)하여 의병활동(義兵活動)을 하고 1905년 을사오조약(乙巳五條約)강제 체결(强制締結)되자 서울에 13도유약소(道儒約所)설치(設置)하고 상소(上疏)항거(抗拒)하였으며 각국(各國) 공사관(公使館)공함(公函)을 보내 조약(條約)무효화(無效化) 시키기 위한 활동(活動)계획(計劃)하던 중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르고 1908. 2. 허위(許蔿)중심(中心)이된 임진강(臨津江) 유역(流域)연합 의병 부대(聯合義兵部隊)배속(配屬)되어 군사원조(軍事援助)(請)하는 내용(內容)밀서(密書)휴대(携帶)하고 중국(中國)으로 건너가 중국혁명당(中國革命黨)전달(傳達)하였으며 1920. 2. 「3·1운동(運動) 1주년기념항쟁(周年紀念抗爭)」을 계획(計劃)하고 노동단(勞動團)조직(組織)하는 등의 활동(活動)을 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평북(平北)에서 살았으며 성균관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2차 의병전쟁 때에 허위(許蔿)의 의병진에 소속하였다. 1905년 11월 18일 소위 을사조약이 체결될 때에 경현수는 그해 봄 전국의 뜻 있는 유학자들로 조직된 13도 유약소(儒約所)에 가담하여 국왕께 상소하고 대신들에게 국정을 바로잡을 것을 권고하는 등 여론 조성에 앞장섰던 김동필(金東弼)과 이봉학(李鳳學)·강원형(姜遠馨) 등과 함께 궁문 앞에 나가 글을 올려, 일인들의 횡포와 을사5조약의 무효를 주장하였으니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지금 이 5조약이라는 것은 한 나라를 영영 망하게 하는 기틀입니다. 더구나, 황상께서 불가(不可)라 하고, 정부 주무의 참정 대신이 불가라 하고, 국민이 모두 불가라 하는데, 가(可)자를 쓰는 대신을 어찌 폐하의 신하라 하고 정부 대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외부대신 박제순(朴齊純)은 외교를 맡은 주무 대신으로서 압제에 의하여서라고는 하지만 머리를 숙이고 인장을 찍었으니 어찌 매국의 죄목을 면할 수 있겠습니까. 그 외의 여러 대신도 처음부터 저들의 앞잡이가 되어 오다가 오늘의 화를 조성하였고, 반역의 행동이 결국은 가(可)자를 쓰는 자리에서 드러났으니 후안무치(厚顔無恥)도 어찌 이럴 수가 있겠습니까. 이것은 모두 열성조(列聖朝)와 황상폐하의 역신(逆臣)이오니 국법이 있는데 어찌 법을 어길 수 있겠습니까. 이것을 만일 그대로 둔다면 3천리 강토가 다시 대한의 소유가 될 수 없사오니, 폐하는 장차 종묘 사직을 어느 곳에 두시렵니까. 억만 백성을 뉘 집으로 보내어 노예를 만들려는 것입니까……."

아울러 이들은 역적의 무리들을 머리 베어 거리에 달아서 백성들의 경각심을 촉구하고 각국 공사관에 통고하여 조약을 무효화할 것을 요청하며, 한편으로는 직접 공함(公函)을 각국 공사관에 보내어서 조약의 무효화를 위한 투쟁을 벌이려고 계획하였다. 그는 용천(龍川)을 중심으로 의병 운동을 전개하던 전덕원(全德元)과 함께 활약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활약하던 평안도 방면에는 일찍이 초기 의병 때에 의암 유인석(毅菴 柳麟錫)이 지방의 충용(忠勇)한 인사들을 모아 재거(再擧)할 것을 계획하였던 곳이며, 의암의 의병진이 이 지방을 지나 국내로 왕래하는 중에도 많은 지방 인사들의 동조(同調)를 얻었던 곳이다. 더구나 개천(价川)의 숭화재(崇華齋), 용천(龍川)의 옥전재(玉田齋) 등을 중심으로 의암에게 사사(師事)받은 선비들이 모여서 도학을 강론하고 국가 대사를 논의하던 전통의 고장이다. 그와 같은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활약하던 경현수는 1908년 13도 연합 의병 부대의 총대장인 허 위(許蔿)의 부대에 종군하게 되었다. 그 해 2월 경현수는 대장 허위의 지시에 따라 청국혁명단(淸國革命團)에 군사원조를 청하는 밀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대한계년사 7권 광무9년 을사 11월 18일
  • 동유록
  • 왕산 허위 선생 거의사실대략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권 342 343 55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권 568 56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2권 24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경현수 저: 희백(希伯), 호: 오암(悟庵) 경기 파주(坡州) 후기의병
본문
1861년 1월 28일 경기도 파주군(坡州郡) 적성면(積城面) 구읍리(舊邑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희백(希伯), 호는 오암(悟庵)이다. 김평묵(金平黙)의 제자로서 화서 이항로(李恒老)의 학통을 이었다. 1897년 성균관 교수, 1898년 박사를 제수받았다. 1898년 김운락(金雲洛)·송수만(宋秀晚)·이상천(李相天)·채광묵(蔡光默) 등과 함께 건의소청(建議疏廳)과 도약소(都約所)를 만들어 반침략·반개화 운동을 주도하였다. 1898년 8월 상소를 올려 독립협회(獨立協會)의 혁파를 주장하였다. 상소에서 중추원이 연좌법·나륙법 등을 복구하자고 하였는데 독립협회가 이를 반대하고 역적의 무리를 비호한다고 비난하였다. 또한, 독립협회는 갑신정변의 괴수인 서재필(徐載弼)과 흉당 안경수(安駉壽)가 세웠고 그들 때문에 조정이 편할 날이 없으니 협회를 혁파하고 회원은 유배하고 연좌법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나아가 1894년 갑오개혁 때 제정한 신법들은 모두 혁파하고 선왕의 법도, 즉 구법의 복구를 청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대한십삼도유약소(大韓十三道儒約所)에 가담하여 강원형(姜遠馨)·김동필(金東弼) 등과 함께 궁궐 앞에서 조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복합 상소를 올렸다. 「십삼도유생연명소(十三道儒生聯名疏)」에서는 조약에 가(可)자를 쓴 역적 무리의 머리를 베어 백성들이 경각심을 갖게 할 것을 주청하였다. 각국 공사관에는 공함(公函)을 보내 조약의 무효를 주장하였다. 특히 일본 공사관에 항의 공함을 보내 일본의 침략 정책과 내정간섭을 규탄하였다. 1907년 일본의 강요에 의해 고종이 강제 퇴위하고 군대가 해산되자, 전국의 지사들이 의병을 일으켜 마침내 1908년 13도의병연합부대를 편성하였다. 평안·황해·경기·강원·충북 등지에서 활동하던 의병들이 연락을 주고받으며 연합 항쟁을 모색한 결과였다. 전국 각지에서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의병부대들이 1만 명 군사로 구성된 ‘13도창의대진소(十三道倡義大陣所)’를 결성한 것이다. 연합 의병의 군사장 허위(許蔿)는 경기도 의병을 대표하면서 13도창의대진소의 모든 군사 활동을 지휘하였다. 연합 의병은 서울 공략을 목표로 진격하여 1908년 2월 초 동대문 밖 30리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방어선을 뚫지 못하고 퇴군하였다. 이들은 서울로 진격하여 통감부를 점령한 후 외교적 담판을 벌이려 하였다. 열강의 지원을 받아 국제법상 유리한 입장에서 국권 회복 문제를 통감부와 담판하려 한 것이다. 이후 허위는 통감부에 고종황제 복위, 외교권 반환, 통감부 폐지 등 30개 항목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재차 공격을 위해 김창식(金昌植)을 보내 화약과 총기를 구하게 하였다. 이때 허위 부대에 가담하여 활동하며 중국혁명당(中國革命黨)에 밀서를 가지고 가서 원조를 요청하였다. 이후 1920년 3·1운동 1주년 의거를 꾀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기도 하였다. 아들 경구현(慶九顯)도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보낸 항일 격문 200여 매를 경기도를 일대에 배포한 바 있다. 1925년 스승 김평묵의 『중암집(重菴集)』 행장을 정리하고, 1928년 10월 9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조형물 항일독립운동기념비 경기도 파주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경현수(관리번호:766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