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1578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白圭三
이명 白奎三, 白圭復, 白奎復, 東山(號)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가족관계창설일 2022-07-27 도움말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년도 2008 훈격 애국장
1909년 노령 연해주 연추(煙秋)에서 안중근(安重根)·김기룡(金起龍) 등과 단지동맹(斷指同盟)을 맺고, 동의회(同義會) 결성에 참여하여 서기(書記)로 활동하면서, 경원(慶源) · 회령(會寧) 등 두만강 연안의 일본군 초소를 습격하는 활동에 가담하였고 이후 훈춘(琿春), 연추(煙秋), 블라디보스톡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일본영사관 및 헌병대에 대한 습격을 계획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16년 순치동제당(脣齒同濟黨)을 조직하고 훈춘선인기독교우회(琿春鮮人基督敎友會)를 거점으로 배일사상을 고취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1917년 폐병으로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취(鼓吹) : 의견이나 사상 따위를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 넣음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8권(2010년 발간)

백규삼은 1909년 노령 연해주·연추(煙秋)에서 안중근(安重根)·김기룡(金起龍) 등과 단지동맹(斷指同盟)을 결성하였다. 이위종(李瑋鍾)이 결성한 동의회(同義會)에 참여하여 서기(書記)로 활동하면서 경원(慶源)·회령(會寧) 등 두만강 연안의 일본군 초소를 습격하는 활동에 가담하였다.

이후 혼춘(琿春)·연추·블라디보스톡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일본영사관 및 헌병대에 대한 습격을 계획하는 등의 활동을 했으며, 1916년 한인독립운동 세력을 모아 순치동제당(脣齒同濟黨)을 조직하고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혼춘선인기독교우회(琿春鮮人基督敎友會)의 부회장 및 회장을 지냈으며 기독교세력을 거점으로 배일사상을 고취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다 1917년 폐병으로 사망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8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권업신문(1914. 4. 12)
  • 排日鮮人에 관한 情報(1914. 11. 13)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4)
  • 排日鮮人 退露처분에 관한 건(李瑋鍾 건)(1915. 5. 17)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5)
  • 琿春鮮人基督敎友會 役員名簿에 관한 건(1916. 3. 13)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5)
  • 韓國獨立史(金承學, 1970) 하권 159면
  • 한국독립운동사 자료(국사편찬위원회) 제7권, 제13권, 제15권
  • 獨立新聞(1920. 5. 15)
  • 琿春方面 不逞者의 行動, 斷指者의 所在(1914. 10. 29)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4)
  • 排日鮮人의 動靜에 관한 건(1915. 2. 16)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4)
  • 排日鮮人에 관한 名簿 送付의 건(1915. 11. 1)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5)
  • 不逞鮮人 名簿에 관한 건(1916. 2. 8)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5)
  • 圖們江對岸中國領情況彙報(1917. 1. 24)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6)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1956) 50면
  • 當地 鮮人의 北鮮 습격계획에 관한 건(1913. 7. 24)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4)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백규삼 호 : 동산(東山), 백규삼(白奎三), 백규복(白圭復, 白奎復) 함북 명천(明川) -
본문
함경북도 명천군(明川郡) 하고면(下古面) 출신이다. 자료에 따르면 1873년생으로 추정된다. 호는 동산(東山)이며, 이명은 한자가 다른 백규삼(白奎三), 백규복(白圭復, 白奎復)을 사용하였다. 정식 교육을 받지는 않았으나 러시아, 중국어 회화와 해독이 가능해 중국과 러시아 지역을 무대로 폭넓게 활동하였다.1908년 7월 안중근(安重根)이 러시아 연해주에서 의병부대를 결성할 때 장봉한(張鳳漢)·최병준(崔丙俊)·강만국(姜晩菊)·오하영(吳夏泳) 등과 함께 참가하여 지휘 업무를 맡았다. 같은 해 8월 안중근이 이끄는 2백여 명의 의병부대와 함께 국내 진입작전을 벌여 경원군(慶源郡) 신아산리(新阿山里, 현 경흥군 신아산리) 등지에서 일본군을 공격해 전과를 거두었다. 그러다가 회령(會寧) 영산(永山) 전투에서 패한 뒤 연해주지역으로 귀환하였다. 의병 재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1909년 초 연해주 연추(煙秋, 크라스키노 부근)에서 안중근·김기룡(金起龍) 등이 단지동맹(斷指同盟)을 결성할 때 참가했다. 이위종(李瑋鍾) 등이 결성한 동의회(同義會)에도 참가하여 서기로 활동하였다.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의 하얼빈의거가 일어나자, 유진률(俞鎭律)·엄인섭(嚴仁燮)·김하석(金河錫)·이종만(李鍾萬) 등과 협의하여 안중근유족구제회를 조직하여 유족을 위한 의연금을 모집하고 안중근 구명운동을 전개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의 집에서 안중근의사가 단지(斷指)하고 결의한 동맹서와 혈서로 쓴 대한독립기, 그리고 안중근의 단지 등 유품과 중요 문서들을 간직하고 있었는데, 이곳을 찾아와 경건하게 참배하는 한인들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다.이후 훈춘(琿春)·연추(煙秋)·블라디보스토크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일본영사관과 헌병대 습격을 계획하는 한편 1911년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이에 뜻을 같이하는 순치동제당(脣齒同濟黨)을 조직하고 발기인으로 참가하였다. 1911년 권업회(勸業會) 설립에 참가했으며, 동회의 연추 파견원으로 활동하였다. 또 홍범도(洪範圖) 독립군의 주축을 이루었던 전제익(全濟益)과 함께 훈춘과 연추지역의 민족운동을 주도해 갔다.1912년 훈춘에 한인기독청년회가 설립될 때 교육과장을 맡았다. 기독청년회는 단지동맹의 동지였던 황병길(黃炳吉)이 회장을 맡았다. 1914년 훈춘의 신풍촌 종명학교 개교기념일에 축하회를 개최할 때 이동휘(李東輝)·황병길 등과 함께 참석하여 민족교육을 강조하는 등 훈춘지역 독립운동의 지도자로 활발한 활동을 펴나갔다. 그 일환으로 1915년 기독청년회 부회장, 1916년에는 회장을 맡으며 한인기독청년회를 이끌어 갔다.이 무렵 이동휘·오병묵 등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 훈춘 등지에서 독립군 양성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힘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17년 1월 7일 훈춘에서 병을 얻어 사망하였했다.대한민국 정부는 2008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백규삼(관리번호:7157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