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6655
성명
한자 郭敏瑞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년도 1992 훈격 건국포장
1940.10월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함북(咸北) 회령 출신(會寧出身) 백신도(白信道)주도(主導)비밀리(秘密裡)회합(會合)을 거듭하고 취직상(就職上)차별(差別) 조선내(朝鮮內)의무교육(義務敎育)불비(不備), 조선(朝鮮) 농촌(農村)피폐(疲弊), 특별지원병제도(特別志願兵制度) 또한 소위(所謂) ‘내선일체’(內鮮一體)를 내걸면서 조선민족(朝鮮民族)착취(搾取) 압박(壓迫)하고 있으므로 조선(朝鮮)은 반드시 독립 국가(獨立國家)가 되어야 하며 이 사명(使命)추진(推進)하기 위하여 먼저 회령 출신자(會寧出身者)로서 친목회(親睦會)조직(組織)하고 단결(團結)촉구(促求)하며 활동(活動)하다가「우리조선독립운동(朝鮮獨立運動)클럽」의 현창석(玄昌碩)피체(被逮)됨으로서 친목회(親睦會) 백신도(白信道) (外) 4(名)피체(被逮)될때 피신(避身)하여 1년 6월간(月間)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0권(1993년 발간)

함북 경흥(慶興) 사람이다. 1940년 10월 일본 동경(東京)에서 백신도(白信道)의 주동으로 회령(會寧)출신 인사들이 비밀리에 회합을 거듭하면서 직업상의 차별, 일본 도항(渡航)의 불편, 한국내의 의무교육 불비, 한국농촌 피폐, 특별지원병제도 강제 등과, 기만정책인 소위 내선일체(內鮮一體) 등 일체의 모순을 타파하는 길은 오직 한국민족의 독립이라고 믿게 되었다. 이러한 사명을 추진하기 위해서 먼저 회령출신 십 수명으로 친목회(親睦會)를 조직하고 상호단결과 민족의식을 강화하면서 각 인에게 책임을 부여할 때, 중등학교 교원이 되어 장래 조선내에 특수대학을 창설하고 그 총장이 되어 인재양성을 할 수 있도록 연구 추진한다는 책무를 부여받아 활동하였다. 그러던 중 1942년 4월 '우리 조선독립(朝鮮獨立)그룹'의 현창석(玄昌碩)이 붙잡히는 바람에 이 친목회의 반일운동이 발각되어 백신도·이두곤(李斗坤)·김관춘(金寬春)·최태연(崔泰淵)·박용근(朴龍根) 등이 붙잡힐 때 중국으로 피신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소화특고탄압사(명석박륭) 제8권 97∼10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제3집 225∼22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3집 1363∼136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곽민서 창씨명 : 길촌태굉(吉村泰宏) 함경북도 경흥(慶興) -
본문
1917년 2월 12일 함경북도 경흥군(慶興郡) 웅기면(雄基面) 웅기리(雄基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길촌태굉(吉村泰宏)이다. 1934년 4월 함북 회령군(會寧郡)에 있는 회령상업학교(會寧商業學校)에 입학하였다. 1930년대 후반 일본 도쿄로 유학하였으며, 회령 출신자를 중심으로 조직된 비밀결사인 친목회(親睦會)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39년 2월 도쿄 니혼대학(日本大學)에 다니면서 고학(苦學)하던 함북 회령 출신의 백신도(白信道) 등과 교류하면서 민족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1939년 2월 하순부터 5월 중순 사이에 백신도·정재선(鄭宰善) 등과 함께 여러 차례 회합하였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우리 민족은 광영 있는 전통을 지닌 우수한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한일병합 이래 일본의 예속 아래서 자유와 행복을 빼앗기고 노예와 같은 생활을 계속해왔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같은 일제의 식민 지배의 굴레에서 벗어나 참된 행복을 구하려면 민족이 독립하는 길밖에 없으며, 이를 완수하려면 청년 학도의 의식을 고양해야 한다고 협의하였다. 1940년 9월 중순부터 12월 중순 2016년 11월 19일 사이에도 백신도·정재선·김유진(金有璡)·박수섭(朴壽燮) 등과 함께 여러 차례 회합하였다. 이들은 일제가 이른바 내선일체(內鮮一體)를 표방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취직 상의 불만, 일본 도항(渡航)의 불편, 의무교육의 불비(不備), 한국 농촌의 피폐, 특별지원병 제도 등 여러 차별 정책이 존재하는 기만적인 차별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한국을 독립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연구를 깊이 해서 대중의 지도자가 될 인격·식견을 함양하여 민중의 독립 의식 고양을 꾀할 것”을 결의하고, 한국 민족의 의식 고양과 장차 독립국가 건설에 필요한 여러 분야를 설정하여 서로 분담하여 민족 독립을 위한 실력 배양에 힘쓸 것을 결의하였다. 특히, 이들은 “중등교원이 되어 장래 특수대학을 창설하여 그 총장이 되어 인재 양성에 힘쓸 것” 등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하자고 하였다. 그래서 백신도는 사회학·경제학·철학 분야 연구와 노동조합 운동을, 정재선은 종교 특히 기독교를 통한 독립 의식 고양을, 김유진과 박수섭은 법학 연구와 활동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역할 분담 아래 이들은 매월 1~2회 회합하여 지식을 교환하고 계몽 자료를 작성하였다. 또한, 이들은 이두균(李斗均)·김관춘(金寬春)·최태연(崔泰淵)·박용근(朴龍根)·나병진(羅炳鎭)·김택진(金澤鎭)·남정수(南貞守)·탁운학(卓雲鶴)·엄수경(嚴守景) 등 다수의 한국인 고학생 청년을 규합하여, 우리 민족의 현상을 설명하고 한국 청년은 독립 정신을 강고히 하여 독립을 위해 궐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던 중 같은 해 10월경 우선 회령 출신자들을 중심으로 ‘친목회’를 조직하여 단결력을 강화하고 민족 의식을 고양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도쿄나 회령에서 매월 1회 정도의 회합하면서 위인 전기를 읽고 토론하는 등 서로 독립을 위한 지도자가 되고자 자질을 연마하였다. 한편, 백신도를 중심으로 한 친목회 활동의 영향으로, 신문 배달을 하면서 센슈대학(專修大學)에 다니던 고학생 현창석(玄昌錫) 등이 중심이 되어 1941년 11월 정식으로 ‘우리조선독립운동그룹’이라는 비밀결사가 조직되었다. 이 그룹은 무장봉기의 준비를 위해 매우 세부적인 계획까지 수립하면서 활동하던 전시 체제기 일본 지역의 대표적인 비밀결사 가운데 하나다. 일제가 패망하는 결정적인 기회가 오면 국내와 일본이 서로 연계하여 민중봉기를 통해 독립을 쟁취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처럼 친목회와 우리조선독립운동그룹이 함께 활동하던 중 1942년 3~4월경 현창석이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 이로 인해 우리조선독립운동그룹은 물론 친목회에까지 여파가 미쳐서 결국 백신도·이두균·김관춘·최태연·박용근 등이 경찰에 체포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행히 중국으로 피신하여 붙잡히지는 않았다. 이후 중국 동삼성(東三省) 목단강(牧丹江) 교외의 두도구(頭道溝)에 체류하다가 1945년 8·15 광복 이후 귀국하였다고 한다. 이후에는 서울에 거주하면서 『국도신문(國都新聞)』 편집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곽민서(관리번호:665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