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617
성명
한자 金福漢
이명 字:元五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63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05년 03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을미(乙未)(1895) 홍주 의병장(洪州義兵將)으로 활약. 홍천시찰사(洪川視察使)의 변절로 감금 투옥(監禁投獄) 당함 1886. 3. 특지몽방(特旨蒙放)

2. 127(人)과 함께 파리(巴里) 평화회의(平和會議)독립청원서(獨立請願書)제출(提出)하다가 피체(被逮)

3. 서울 서대문옥(西大門獄)에서 순국(殉國)(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熱士傳) 273,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220, 223) (한국통사(韓國痛史) 100,기려수필(騎驢隋筆) 43, 매천야록(梅泉野錄) 193, 200, 399)

4.명치지상(明治之喪) 불복(不服)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김복한의 본은 안동(安東)으로 사람됨이 헌앙(軒昻)하고 지조가 굳었다. 1892년에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와 양사(兩司)에 제수되었고, 다음 해에 사서(司書)에 제수되고 통정(通政)으로 승임되었으며, 이어서 대사성, 형조참의(大司成, 刑曹參議)를 거쳐 1894년 승지(承旨)에 제수되었다. 그 해 6월에 갑오개혁이 시작되고 모든 제도를 고쳐 일본식의 신제도가 채택되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 충남 홍주(洪州)로 귀향하여 스스로 지조를 지키고자 하였다. 1895년 이른바 을미사변과 단발령(斷髮令)이 내려졌다. 김복한은 이대로 수수방관(袖手傍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그의 내종형이 되는 전 승지 이설(李偰)과 함께 동학농민운동을 수습하는데 공이 컸으므로 관찰사로 임용된 이승우(李勝宇)를 설득하여 창의할 것을 권유하였다. 그러나 승우는 의병 일으키는 일에 대하여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국정 개혁을 반대하는 일은 동학농민운동을 수습하는 일과는 다른 일일 뿐더러 자신의 이해관계에 상반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한편 같은 홍주 땅에 살고 있던 안병찬(安炳瓚)과 임한주(林翰周), 그리고 임피현령(臨陂縣令) 오영석(吳榮錫)도 거병할 생각을 갖고 이승우에게 의향을 떠보았으나 역시 실패하였다. 이때에 홍주 남쪽에 살고 있던 안병찬의 부친 안창식(安昌植)은 박창로(朴昌魯)·이봉학(李鳳學)·이세영(李世永)·정제기(鄭濟驥)·송병직(宋秉稷)·조병고(趙秉皐)·김정하(金正河) 등과 의논하여 민병 180명을 소집하여 채광묵(蔡光默)으로 하여금 거느려 아들과 함께 거사할 준비를 마쳤다. 이에 대중들의 뜻을 확인한 김복한은 홍주 입성 날짜를 1895년 12월 1일로 확정하고 성내에 있던 홍 건(洪楗)을 통하여 관찰사의 의중을 재차 확인하였다. 홍 건은 관찰사 이승우가 자진하여 먼저 군사를 발동할 인물이 아니니 의진의 뜻대로 일을 추진할 것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홍 건 역시 일이 닥치자 마음이 흔들려 믿을 만 하지 못하였다. 이렇게 규합되지 못하고 있을 때 박창로, 청양(靑陽) 현감 정인희(鄭寅羲) 등이 의병 수백 명씩을 보내어 후원하였다. 이에 용기 백배하여 송병직(宋秉稷)·이세영(李世永) 등이 관문으로 들어가 새로이 설치한 경무청을 부수고 참서관(參書官) 함인학(咸仁鶴)·경무관(警務官) 강인선(姜仁善)을 포박하고 죽이고자 하였다. 일이 이쯤 발전되자 이승우가 만류하면서 창의하는 데에 협조할 것을 약조하였다. 스스로 관찰사라는 일본식의 관명을 버리고 홍주목사 겸 창의대장이 되어 각 포구와 열읍에 창의한 것을 알렸다. 12월 3일 각 의병진의 대표들이 김복한을 수석으로 삼고, 홍주 관하의 각 고을과 공주부(公州府)의 각 면으로 통문을 보내어 독자·노약자를 제외하고 집마다 군정 1명씩을 징집케 하였다. 이 일을 추진하기 위하여 송병직을 서면 소모관으로, 채광묵·이창서를 남면 소모관으로, 그리고 이세영·이봉학·이병승을 공주(公州)로 파견하였으며, 박창로·정제기는 임존산성(任存山城)을 수비하도록 내보냈다. 오직 성안에는 김복한·홍 건·안병찬·이상린이 남아서 창의소 일을 관장하고 있었다. 거의한지 며칠이 되지도 않았는데 홍 건과 이승우는 내외의 명망가의 호응이 없음을 초조히 여겨서 김복한을 힐문하였다. 한편 청양현감 정인희는 창의소를 본읍에 설치하고 포군(砲軍) 5백 명과 화포(火砲) 천 자루를 보내 달라고 요청해 왔다. 그러나 홍주의진의 본부에는 그만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보내 주지 못하였다. 12월 4일 김복한과 이 설이 성중 본부에 있는데 관찰사 이승우의 초청을 받았다. 수상하게 여겨 여러 사람이 구하려고 하는데 강호선(姜浩善)이 순검들을 데리고 와서 체포하여 구금하였다. 안병찬·이상린 등이 관문을 부수고 구하고자 하였으나 그들 역시 체포당하였다. 이리하여 의진의 수뇌격 인사들이 차례로 구금되었다. 그후에 홍주의진의 기치 아래에 의거를 일으키고자 서산군수(瑞山郡守) 성하영(聖夏永)·남양부사(南陽府使) 남백희(南百熙)·대흥군수(大興郡守) 이창세(李昌世)·전 승지 김병억(金炳億)·정인희 등이 군사를 발동하여 홍주 근처까지 이르렀을 때 이 소식을 듣고 모두 돌아가 버렸다. 그 중에 정인희는 이웃 고을과 연합하여 관군과 접전하였으나 경무관 강호선에게 패하였다. 김복한은 체포되자 함께 수감된 안병찬에게 "일이 이미 실패되었으니 죽을 따름이다" 하고 죽음을 각오하고 장례 및 후사까지 유언하였다. 그리고 절조 없는 이승우에게 기대하였던 자신을 자책하였다. 끝내 이승우도 경무관 강호선의 모함에 빠지고 말았다. 을미 홍주의병에 관련되어 체포된 23명중 6명이 서울로 압송되어 갔다. 즉 김복한을 위시하여 이 설·안병찬·송병직·이상린·홍 건 이었다. 이들은 1896년 2월 고등재판소 재판장 이범진(李範晋)에게 문초를 받았는데 김복한은 의병 일으킨 의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공술하였다.

"복한은 대대로 녹을 먹은 집안으로 남달리 나라 은혜를 입었사오니 죽음을 맹서하고 나라에 보답해야 하겠다는 생각은 본래부터 축적된 것입니다. 갑오(甲午)년 6월 이후 시골에 엎드려 그대로 죽으려고 했던 것이온데 지난 8월에 큰 변을 보고서는 너무도 원통하고 더 살고 싶지 않은데다 다시 또 11월 15일 사건이 생겼으니 이것이 모두 흉역(凶逆)의 행위가 아닙니까. 임금님의 욕되심이 극도에 달하자 신자의 충정이 더욱 격하여 마침내 시국 형세와 자기 역량을 계산하지 않고 다만 원수를 갚고 부끄러움을 씻어 보겠다는 목표 하에 의거를 제창했던 것이 온데. 모사가 치밀하지 못하여 마침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만약 경솔히 거사했다는 이유로써 죄를 주신다면 실로 달게 받겠으며, 본시 의리를 망각하고 당을 모아 변을 일으키자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2월 25일 김복한은 10년 유형을 선고받았다. 홍건·이상린·송병직·안병찬은 3년 유형 그리고 이 설은 곤장 80대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그날 밤으로 고종은 이들의 충성심을 감안하여 모두 석방하고, 아울러 홍주의진에 관련되어 홍주성에 수감된 17인도 모두 석방하도록 특지(特旨)를 내렸다. 김복한은 즉시 고향으로 돌아와서 짐을 꾸려 보령(保寧)산중으로 들어가 학도들과 강론하여 지냈다. 그의 재능을 아끼는 신기선(申箕善)의 추천으로 성균관장(成均·長)에 제수되었으나 "···학식 없는 몸이 이 직책을 맡을 수도 없거니와 더구나 받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본다. 지금 의리가 없어지고 강상이 무너져서 원수놈도 아직 물리지 못했고 역적도 다 처벌되지 못했는데 만약 이때에 은혜를 느끼고 위엄을 두려워하여 명령을 받게 된다면 소신을 어김과 동시에 교화에 대한 죄가 어떠하겠는가. 은명(恩命)을 거역하는 것이 극히 불안스러움을 모르는 바 아니나 천성이 변할 수도 없고 소신을 굽힐 수도 없다···"하여 사양하였다. 1897년에 다시 중추원(中樞院) 의관(議官)을 제수받았으나, 지병인 각기병을 핑계하여 사양하였다. 그 해에 명성황후를 복위(復位)하고 예장(禮葬)을 시행하게 되자, 그의 족형인 판서 김종한(金宗漢)이 편지를 보내어 관직에 나갈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김복한은 퇴계(退溪)와 도암(陶庵)도 인산(因山)에 참여하지 않았으나 후세의 군자들이 그것을 비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현재의 정황을 감당할 능력이 없음을 들어 여전히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늑결되자 을사의병이 거국적으로 일어났다. 을미의병의 동지인 안병찬이 민종식(閔宗植)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켜 일군과 크게 접전하다가 1906년 2월 23일 체포되었다.앞서 이 설은 김복한이 신병으로 누워 있으므로 의거할 짝이 없음을 한탄하고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홀로 누워 있을 수만은 없었다. 마침내 이 설과 함께 병든 몸을 이끌고 서울에 올라와 상소하여 역적을 성토했다. 이일로 1개월간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다. 그 이후 안병찬과 함께 의거한 민종식은 홍주 방면으로 진출 유준근(柳濬根)·이식(李侙) 등의 추대로 의병대장이 되어서 1906년 4월 26일 홍주성에 입성하였으며, 만여 명의 연합의진이 구성되었다. 그러나 윤 4월 7일 일진회원의 내통으로 홍주성은 함락 당하고, 이어서 일제는 의병관계자 소탕전을 전개하였다. 겨우 피신하여 의병운동을 전개하던 민종식·이용규 등이 모두 체포당하였다. 김복한은 이들 민종식 등 홍주의진과 연루되었다 하여 10월 28일 공주부(公州府)의 관헌들에 의해 체포되어 11월 1일 서울로 압송되었다. 여기에서는 일인 보조원 단우현태랑(丹羽賢太郞)의 문초를 받았다. 문초과정에서 단우는 오히려 김복한을 숭배하는 마음이 생겨 신병으로 고생하는 그를 위하여 편의를 봐 주고자 하였으나 여러 가지 방해가 있어 형용할 수 없는 고초를 겪었다. 문초의 내용은 민종식과 을미의병과의 관계 등이었다. 그러나 만나고 싶어하던 만종식을 보지 못하여 한스럽게 여겼다. 결국 민종식과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는 증거를 찾지 못한 일제는 11월 26일 김복한을 석방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풀려 나오면서 민종식에게 시 한 수를 부쳤다. 민종식은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후에 특사로 풀려났다. 1907년 10월 또다시 홍주의진의 인물들에 대한 체포령이 내려졌다. 10월 1일 안병찬 형제와 윤난수(尹蘭秀)·이필한(李弼漢)·조광희(趙光熙) 등 5인이 홍주에서 체포 구금되었다가 공주부로 압송되었다. 그리고 13일에는 김복한·박홍양(朴鴻陽)·이훈영(李薰榮)이 보령(保寧)에서 체포되어 공주부로 압송되었다. 김복한은 압송되던 길에 조현(槽峴)에 이르러 일인 순사에게 곤장으로 두들겨 맞고 또 총으로 위협 사격까지 받았다. 그들은 복한에게 군사를 주둔시켜 둔 곳을 대라고 위협한 것이다. 왜냐하면 전에 복한이 청양 서평(靑陽黍坪)의 명정진(明鼎鎭)의 집에 들렀을 때 강도 5, 6명의 습격을 받은 일이 있었는데 그때 복한의 신분을 알고 그들 중 한 사람이 "왜 창의를 하지 않느냐"고 질문하여 "지모도 재물도 없어서 창의하지 못한다"고 대답하니 "포군 천 명과 돈 만냥을 드릴 터이니 원수를 갚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하였던 일이 있었다. 이 일이 후에 누설되어 체포 선풍이 일게 된 것이다. 공주부에 수감되는 사람들은 모두 머리카락을 잘리우는데 경무관 황종복(黃鍾復)의 노력으로 면할 수 있었다. 온갖 수욕을 받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복한은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어째서 해마다 횡액을 당하느냐

남에게 못지 않는 수구심(守舊心)때문이야죽고 삶은 마침내 운명이 있어 병든 몸 간신히 공주를 벗어났네.

갖가지 치욕이 연전보다 더하거니 외로운 신하 산다는 것 부끄럽구려

깨끗이 몸 갖기도 쉽지 않으니

오히려 도연명이 부러워진다.

(年年橫逆問何因 守舊一心讓人

·覺死生終有命 殘骸收拾渡熊津

萬端危辱倍前年 只愧孤臣尙苟全此時自靖非容易 却羨淵明臥葛天)

이러한 피를 토하는 충절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침략 야욕을 불식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해를 거듭할수록 심화되어 갔다. 그러한 마지막 고비에 안중근(安重根)의 의거를 보고, 홍주의거에 대한 반성인 듯 다음과 같은 시 한 수를 읊었다.

제갈량은 유씨를 돕고 장량은 한(韓)을 도와

고심한 대의는 불꽃같이 빛났으나 골짜기에서 불이 꺼지고 철퇴를 헛날렸으니

이 모두 하얼빈의 총알만도 못하였구나

(諸葛扶劉張報韓 苦心大義炳如丹谷中火熄椎虛擲 總讓爾賓一砲丸)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다시 파리 평화회의에 보내는 독립청원서를 작성, 서명하였으며 서명자 137명이 모두 일경에 체포되었고 그는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결국 순국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매천야록 193면
  • 항일민족시집 2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1권 335·336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20~223면
  • 기려수필 43·23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13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2권 257·258·259·260·261·263·264·265·266·267·274·275·278·279·280·282·283·284·299·300·301·302·303·304·305·306·81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복한 자 : 원오(元吾), 호 : 지산(志山) 충청남도 홍성(洪城) 을미사변, 단발령, 을사늑약, 제1차 유림단운동
본문
1860년 7월 24일 충청남도 홍주군(洪州郡) 조휘곡(현 충남 홍성군 갈산면 소향리 조실)에서 부친 봉진(鳳鎭)과 모친 연안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원오(元吾), 호는 지산(志山)이며, 본관은 안동(安東), 당색은 노론이다. 문충공 김상용(金尙容)의 12대손이다. 김상용은 병자호란 때 우의정의 직임을 띠고 빈궁과 원손을 수행, 강화도에 피란 갔다가 강화성이 함락되자 순절하였다. 척화파의 거두였던 김상헌(호 ; 淸陰)이 김상용의 친동생이니, 이들의 절의정신과 척화정신은 후손에 의병 정신으로 계승되었다. 집안은 대대로 혁혁한 양반 가문이었으나 개인적으로 불운한 가정에서 성장하였다. 6세 어린 나이에 부친을 여의었으며 1년도 채 안되어 모친마저 잃었다. 12세 때인 1871년부터는 예산군 덕산면의 송애에 거주하던 이돈필(李敦弼)의 문하에 들어가 내종형 이설(李偰)과 함께 수학하였다. 그 후 이설과는 관직에 앞뒤를 다투며 나갔으며, 홍주에서 을미의병을 일으킨 동지가 되기도 하였다. 관직에 진출한 것은 31세 때인 1890년 9월 음직으로 선릉참봉에 제수되면서부터이다. 1892년 2월 문과 특별시인 경시(慶試)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1893년 2월에 홍문관부교리, 5월에 홍문관 부수찬, 사간원 헌납, 7월에 홍문관수찬, 9월에 홍문관 응교지제교 겸 경연시강관, 춘추관 편수관, 시강원 사서, 통례원 상례 겸 시강원 사서지제교 등에 제수되었다. 10월에는 정3품 통정대부에 올라 승정원 동부승지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 형조 참의, 부호군, 성균관 대사성 등을 차례로 제수받았다. 1894년 3월에는 우부승지에 올라 왕을 측근에서 보필하였다. 그해 6월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되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그동안 왕세자와 왕에게 유교정치 이념에 입각한 통치 철학을 강론하여, 왕정을 굳건히 하고 나아가 국가를 반석 위에 올려놓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주장과 이념이 조정에서는 받아들여질 여지가 없어졌음을 절감하게 됨에 따라, 조정에 남아 국록을 축내는 것을 국가의 죄인이 되는 것으로 여기고, 낙향하여 다른 방도를 찾고자 하였던 것이다. 낙향하자마자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이 점령되는 갑오변란(甲午變亂) 소식을 접하였다. 이 사건을 국망의 시초로 여겨 두문불출하였다. 그러나 이듬해인 1895년 8월 을미사변과 11월 단발령 공포를 계기로, 무력 투쟁의 노선을 택하여 반개화 반침략의 의병 투쟁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단발령 공포 직후, 홍주 지역 유생들과 잦은 접촉을 하였다. 마침 홍주와 청양(靑陽)의 안창식(安昌植)과 박창로(朴昌魯) 등 선비들이 1894년 여름부터 의병 봉기를 계획해왔었기 때문에, 거의 선포는 곧 군사 활동에 옮겨질 수 있었다. 이설에게 자신의 뜻을 밝히고 동참을 요청하였으며, 홍주부(洪州府) 전영장 홍건(洪建)과 함께 관찰사 이승우(李勝宇)의 의병 참여 문제에 대하여 협의하였다. 11월 27일 홍주향교 전교인 안병찬(安炳瓚)과 만나 의병을 일으키자는 뜻을 같이 하였고, 이상린(李相麟)·이봉학(李鳳學) 등과 연락을 취하였으며, 청양군수 정인희(鄭寅羲)에게도 글을 보내 기병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였다. 12월 1일 저녁 이봉학과 연락을 취해, 이봉학·이세영(李世榮)·김정하(金正河) 등이 이끄는 정산과 청양의 민병 수백 명이 나그네 또는 장사꾼으로 가장하고 성안에 들어오도록 하여 이승우의 동참을 이끌어냈다. 거병한 지 3일째 되는 12월 3일, 홍주부 내에 창의소를 설치하고 의병 총수에 추대되었다. 당시 ‘존화복수(尊華復讎)’라 쓴 기를 세우고, 홍주부 관할 22개 군과 홍주군 27개 면에 통문을 띄워 각 고을 대표로 하여금 노약자와 독자를 제외하고 매호에 한 사람씩 응모하기를 청하도록 하였다. 홍건·안병찬·이상린과 함께 창의소에서 대책을 세우는 한편, 송병직(宋秉稷) 등을 소모장으로 임명하여 의병 모집을 독려 하였다. 또 정제기 등에게는 관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대흥의 임존산성 수리를 지시하였다. 그러나 창의소를 설치한 지 하루만인 12월 4일, 관찰사 이승우의 배반으로 이승우와의 연대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설을 비롯하여 홍건·안병찬·이상린·송병직·임승주(林承周) 등 22명과 함께 이승우에 의해 구금되었다. 홍주부는 서울에서 내려 온 친위대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친위대는 신우균이 이끄는 1개 중대로 250여 명에 달했다. 12월 7일 신우균의 취조를 받고 홍주부에 수감되었으며, 12월 30일 칼을 쓰고 결박당한 채 서울로 압송되던 중 1896년 1월 1일 신례원에서 되돌아와 홍주감옥에 재구금되었다. 이후 이설·안병찬 등과 함께 1896년 1월 17일 서울로 재압송되어 유배 10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그날 자정 고종의 특지로 석방되었다. 출옥 후에는 후학 양성에 힘쓰는 한편, 향음례를 실시하고 향약을 베풀면서 주자학 보급에 주력하였다. 5월에는 성균관장을 제수받았으나 부임하지 않고 상소를 통하여 ‘전장문물’을 바로잡고 일제의 침략 무리와 개화파 역당들을 물리칠 것을 주청하였다. 다음해 중추원 의관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898년 3월 인근 유생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향회를 실시하였으며, 이해 9월과 1899년 4월에는 주자와 우암 송시열(宋時烈)을 모신 보령 남포의 집성당에서 유호근 등 인근의 유생들과 향음례를 개최하였다. 1905년 부인 이씨를 잃는 슬픔을 잊기도 전에 을사조약의 늑결 소식을 들었다. 이설에게 글을 띄워 어찌 한탄만 할 수 있느냐면서 진신(縉紳)의 뜻을 모아 연명소를 올릴 것을 상의하였다. 이에 이설은 진신의 뜻을 모아 상소를 지을 여가가 없다면서 바로 서울로 올라가자며 재촉하였다. 병든 몸을 이끌고 이설과 함께 상경하여 5적을 처벌할 것과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 세력을 축출하고 왕실을 회복할 것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상소를 올린 지 이틀만인 12월 29일 일본 헌병과 순사들에 의해 붙잡혀 경무청에 구금되었다. 다음 날 고문관 와타나베(渡邊)의 공초를 받았으나, 의리의 정신으로 상소를 올렸음을 밝혔다. 12월 그믐날 풀려나 홍주로 내려가서는 안병찬 등에게 의병을 일으킬 것을 독려하였다. 안병찬을 중심으로 홍주 지역 인사들은 민종식(閔宗植)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1906년 3월 예산(禮山)의 광시장터에서 의병의 기치를 올렸다. 이들은 5월 19일 홍주성을 점령하고 기세를 떨쳤으나, 5월 31일 새벽 일본군의 기습으로 수백 명의 희생자를 내고 성마저 빼앗기고 말았다. 의병장 민종식은 이남규(李南珪)의 도움으로 재기를 꾀하다가 체포되었다. 이때 민종식과 더불어 의병을 계획했다는 혐의로 일본군에 붙잡혔다. 공주감옥에 구금되었다가 11월 서울 경무청으로 이송되었다. 그해 11월 말 풀려났으나, 1907년 10월 13일 보령군의 순사보조원 2인과 순검 1인에 의해 또다시 붙잡혀 보령군의 관노청에 구금되었다. 죄명은 ‘민심 선동죄’였다. 공주감옥으로 이송당하던 도중 조현에 이르러서는 순사보조원 2인이 의병의 소재지를 대라며 구타하고 총을 쏘며 위협하였는데, 순검 정원조가 총대를 밀쳐 탄환이 빗나가 위기를 모면하기도 하였다. 10월 22일 풀려나서 12월에는 홍주군 결성면 산수동으로 이거하여 자정(自靖)의 길로 들어섰다. 이때의 일로 인해 중풍에 걸려 밥을 먹고 책을 넘기는 일도 어렵게 되었다. 1910년 8월 국망의 소식을 접하고는 죄인을 자처하여 음식을 거부하고 모든 가사는 장자인 은동(殷東)에게 맡기고 손님도 접견하지 않았다. 1919년 거족적인 3·1운동이 일어나자, 홍주에서도 만세 시위 운동이 전개되었다. 만세 시위에는 참여할 수는 없었으나, 파리에서 제1차 세계대전 승전국들이 강화회의를 개최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강화회의에 독립을 청원하는 장서운동을 계획하였다. 장서를 작성한 후 임한주(林翰周)를 비롯하여 의병 동지였던 안병찬 등의 서명을 받았다. 이어서 김덕진(金德鎭)·임한주, 홍성의 최중식(崔仲軾)·전양진(田穰鎭)·이길성(李吉性)·전석윤(全錫允), 서산의 김상무(金商武)·김봉제(金鳳濟), 보령의 백관형(白觀亨)·유호근(柳浩根)·전병식·신직선(申稷善)·김지정(金智貞), 논산의 이내수(李來修), 부여의 김학진(金鶴鎭) 등 17명으로부터 서명을 받았다. 그러고는 제자인 황일성·이영규·전용학 등을 서울로 보내 제자 임경호(林敬鎬)와 협의하여 파리로 장서를 보내고자 하는 장서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때 김창숙(金昌淑)을 비롯한 영남 지역 유생들도 곽종석을 수반으로 하여 같은 장서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전국의 유림과 연락을 취하던 중에 임경호와 만나게 되었다. 이들은 계획과 목적이 같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양 지역 유림의 장서 운동은 통합되기에 이르렀다. 다만 장서의 내용을 비교 검토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영남본의 뜻이 간명하다 하여, 김창숙이 영남본을 가지고 상하이(上海)로 떠났다. 서명 순서는 곽종석을 첫째로 하고, 그 다음에 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이 장서사건은 송준필(宋浚弼)의 자제인 송회근(宋晦根)이 4월초 성주장터에서 3·1운동을 주동하다 체포됨으로써 일제 경찰에 탐지되었다. 이어서 곽종석 등이 붙잡혔고, 그해 8월 공주감옥에 구금되었다. 구속되기 전인 7월 대구감옥에서 열린 궐석재판에서 징역 1년 형을 선고받고 7월 31일 형이 확정되었다. 8월 6일 체포되어 공주감옥에 구속되었다가 12월에 출옥한 뒤에는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인지서재를 짓고 백록동서원의 규약으로 과정을 만들어 후학을 지도하였다. 또 주위의 사우들에게 유교의 진작을 통하여 ‘내수(內修)의 장책(長策)’을 마련할 것을 권하였는데, 그 일환으로 설립된 것이 1920년 5월 인도공의소(人道公議所)였다. 저술로는 『지산집(志山集)』이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1년 대구지방법원 1919-07-29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충청남도 홍성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 대구광역시 달서구
2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3 비석 파리장서 비 경상남도 거창군
4 사당 추양사 충청남도 홍성군
5 비석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 서울특별시 중구
6 비석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비 전라북도 정읍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복한(관리번호:61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