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852
성명
한자 尹圭鉉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8 훈격 애족장
1919. 2월말(月末) 부친(父親)의 지시를 받고 상경하여 고종 인산(高宗因山)과 서울 3·1만세 시위(萬歲示威)에 참가한 후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지참하고 귀향하여 동년 3월 23일 합천군(陜川郡) 삼가읍(三嘉邑)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경남 합천(陜川) 사람이다.

1919년 3월 23일 삼가면(三嘉面)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김상준(金相峻)과 함께 광무황제의 인산에 참예하기 위해 상경하였다가, 서울의 3·1운동에 참가한 후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각자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만세시위운동을 추진하였다.

김상준은 고향인 산청군 신동면 평지리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주도하였으며, 윤규현도 독립만세운동을 벌이기로 하고 동지들을 규합해 갔다. 그는 한필동(韓弼東)·허동규(許東奎)·한식동(韓湜東)·윤구현(尹求鉉)·윤승현(尹承鉉)·허장(許鏘) 등과 더불어 삼가면·가회면(佳會面)·상백면(上栢面) 등 각면의 동지를 규합하면서 거사 준비를 해 나갔다. 그들은 3월 23일 삼가시장에서 거사하기로 합의하고, 면민들로 하여금 그곳으로 모이도록 하였다.

3월 23일 상백면에서는 약 4,000여 명의 군중이 봉기하여 그곳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여 면사무소를 불태운 후 통신을 차단하기 위하여 전신주 2개를 절단하면서 약 10리 되는 삼가시장으로 모여들었다. 가회면민들은 농악을 울리면서 속속 삼가시장으로 몰려왔다. 이렇게 모인 군중은 12,000∼13,000명에 달하였다. 이를 심상치 않게 여기던 일경들이 요소 요소에 배치되었으나 군중들은 위세 당당하게 몰려들었던 것이다.

드디어 오후 3시, 정금당(正衿堂) 앞 광장에서 주도 인물들에 의해 일제 규탄의 성토대회가 개최되었다. 임종봉이 열띤 연설을 하고 있는 도중, 일본 헌병이 쏜 총탄에 대퇴(大腿)를 맞아 단상 아래로 떨어졌다. 이를 본 군중들의 분노가 일시에 폭발하여 곤봉과 낫을 들고 경찰 주재소와 우체국으로 몰려갔다. 이에 놀란 일경들은 일제히 그들에게 총격을 가하여 순식간에 13명의 순국자와 3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일로 인해 윤규현은 붙잡혀, 이해 9월 23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陜川의 獨立運動史(陜川文化院, 1990) 32·33·36面
  • 陜川誌(故鄕文化社, 1994) 220∼222面
  • 抗日獨立有功者追慕碑(1995年 建立)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3卷 318·319面
  • 3·1運動實錄(李龍洛, 1969) 657·676·678面
  • 釜山·慶南 3·1運動史(3·1同志會, 1979) 491·494面
  •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 慶南獨立運動小史(卞志燮, 1966) 17·18·42·45面
  • 陜川郡誌(陜川郡誌編纂委員會, 1981) 638∼640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윤규현 - 경남 합천(陜川) 3.1운동
본문
1894년 11월 27일 경상남도 합천군(陜川郡) 가회면(佳會面) 함방리(含芳里)에서 지역 유림을 대표했던 현제(弦齊) 윤병모(尹炳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9년 합천군 만세운동의 시작점이었던 3월 18일 삼가면 읍내 만세시위와 정점이었던 3월 23일 삼가시장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가 붙잡혀 옥고를 겪었다.합천군 삼가면의 만세운동은 고종 장례에 참여하고 서울에서 만세운동을 접한 지역 인사들이 독립선언서를 전하면서 시작되었다. 김상준(金相峻)과 함께 상경하였다가 서울의 만세운동에 참가한 후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귀가하였다. 그리고 만세시위를 도모하기 위하여 한필동(韓弼東)·허동규(許東奎)·윤승현(尹承鉉)·허장(許鏘)·한식동(韓湜東) 등을 동지로 규합하고, 면내 각 마을의 대중 동원을 위해 움직였다. 만세운동 주도자들은 가회면의 김홍석(金洪錫)에게 자금을 지원받아 윤재현(尹在鉉)의 서재에서 거사 당일 군중들에게 배포할 독립선언서를 인쇄하였고, 태극기는 허장의 집에서 만들었다. 그리고 군중 동원을 위한 연락도 취하였다.1919년 3월 18일은 삼가시장의 장날이었다. 삼가시장 전면 중앙 언덕위에서 오후 1시경부터 만세시위가 시작되었다. 가회면과 백산면(栢山面), 상백면(上栢面)의 주민들을 중심으로 300~400명의 군중들과 함께 밤까지 치열하게 만세를 불렀다. 그러나 함안경찰서의 경찰병력과 일본인 재향 군인들이 시위 진압에 가세하면서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 시위를 함께 주도하였던 한필동 등이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으나 다행히 피신할 수 있었다.삼가면 만세시위가 해산된 이후에도 일본 군경의 검거를 피한 주도자들과 함께 다음 장날인 3월 23일 재차 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하였다. 그리고 보다 많은 주민들을 동원하기 위해 합천의 각 지역을 돌며 참여를 권유하는 등 조직적인 동원을 위해 노력하였다.거사 당일인 1919년 3월 23일, 만세시위는 이른 아침 백산면에서 시작되었다. 3,000여 명에 달하는 시위대는 백산면사무소를 불태운 후 상백면으로 이동하였고, 여기에서 합세한 면민들과 함께 다시 삼가면으로 나아갔다. 이때 가회면 시위군중을 이끌고 삼가면으로 행진하였다. 읍내 객사(客舍) 바깥채인 정금당(淨襟堂)에는 합천군 각 면에서 모인 군중과 인근 의령군 주민들까지 가세하여 13,000여 명이나 되었다. 이어서 군중 집회가 즉석에서 열렸고, 각 지역의 대표자와 시위 주도자들이 연단에 서서 일제의 만행을 성토하고 군중들과 호응하여 만세를 불렀다.엄청난 군중들이 집결하여 만세시위를 이어가자, 당황한 일본군 헌병이 연설을 진행하던 임종봉(林鍾鳳)에게 발포하였다. 이에 흥분한 시위 군중들은 물리력을 행사하며 주재소·우편소 등을 공격하였고, 이때 선두에 서서 시위대를 지휘하였다. 하지만 시위대의 위세에 눌린 일제 군경의 무차별적인 발포로 현장에서만 13명이 사망하고, 30여 명이 부상당하는 참극이 발생하였다. 일제 군경의 야만적인 진압 작전에 시위대는 해산할 수밖에 없었지만, 일부 시위 군중은 지역으로 돌아가 밤까지 시위를 이어가기도 하였다.시위 당일 일본군의 탄압은 다행히 피할 수 있었으나, 시위 주도자로 결국 일본 군경에게 붙잡혔고, 김태현(金台鉉)·이계엽(李啓燁) 등 다른 주도자들과 함께 가혹한 조사를 받은 후 기소되어 재판을 받게 되었다.이 일로 1919년 9월 23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를 겪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상남도 합천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삼가장터 3.1만세운동 기념탑 경상남도 합천군
2 3·1독립운동 기념탑 경상남도 합천군
3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4 비석 3·1운동 기념비(합천군) 경상남도 합천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윤규현(관리번호:585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