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556
성명
한자 李源熙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격 대통령표창
1919.4.3 강원도(水原道) 양양군(襄陽郡) 양양읍(襄陽邑)에서 동읍(同邑) 감곡리(甘谷里)의 만세시위책임자로 활동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0권(1993년 발간)

강원도 양양(襄陽) 사람이다.

1919년 4월 3일 양양군 양양면(襄陽面) 감곡리(甘谷里) 장날에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고 인근 주민 수백명을 규합하여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행진을 벌이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이해 4월 21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제4권 42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61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원희 - 강원 양양(襄陽) 1919년 양양군 양양면 만세운동
본문
1862년 9월 18일 강원도 양양군(襄陽郡) 양양면(襄陽面) 감곡리(甘谷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4일 양양군 양양면 감곡리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양양군 양양면 만세시위는 이석범(李錫範)·이교정(李敎貞)·이교완(李敎完)·최인식(崔寅植) 등이 중심이 된 유학자 계열과 조화벽(趙和璧)·김필선(金弼善)·김재구(金在龜)·김규용(金圭容)·김계호(金啓鎬) 등 기독교 감리교 계열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유학자들은 이석범이 3·1운동 당시 가지고 온 독립선언서를 계기로 만세시위를 계획하였고, 감리교인들은 조화벽이 버선 속에 숨겨온 독립선언서를 양양교회 청년부 소속 김필선에게 전달한 것을 계기로 만세시위를 준비하였다. 이들은 4월 4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비밀리에 만세시위를 추진하다가, 거사 하루전인 3일 김필선과 최인식이 만나면서 연합하게 되었다. 두 세력이 통합되면서 만세시위 참여 확대를 위해 마을마다 책임자를 두었다. 이때 아버지 이관진(李冠鎭)·형 이원도(李源燾)와 함께 감곡리의 책임자가 되었고, 마을 주민들에게 만세시위 계획을 알리며 적극적으로 참여를 권유하였다. 4월 4일 아침 일찍 아버지·형과 함께 감곡리 주민들을 모아 양양면 읍내로 향하였다. 세 부자가 나란히 선두에서 태극기를 들고 약속장소인 장터로 나아갔다. 마을사람들과 장터에 이르자, 만세시위를 위해 모인 거마리(車馬里)·임천리(林泉里)·상평리(上坪里)·북평리(北坪里)·조산리(造山里), 손양면(巽陽面) 가평리(柯平里), 서면(西面) 용천리(龍泉里) 등의 주민들과 장꾼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오전 11시경 최인식이 앞으로 나와 “독립만세”를 외치자 군중과 같이 “독립만세”를 연호하였고,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장터를 행진하였다. 오후에는 양양경찰서 앞으로 이동하고, 어제 만세시위를 준비하다가 구속된 이석범·이건충(李建忠) 등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경찰서장은 완강한 입장을 보였고, 이 과정에서 손양면 가평리 구장(區長)인 함홍기(咸鴻基)가 사범주임의 칼에 맞아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함홍기가 끝까지 경찰서장을 꾸짖으며 죽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분노한 시위대와 함께 돌과 몽둥이로 경찰서와 군청을 부수며 무력으로 대항하였다. 밤늦도록 계속된 만세시위에 일제 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하며 해산을 시도하였다. 일제 경찰의 무차별적인 사격으로 권병연(權炳淵)·김학구(金鶴九)가 그 자리에서 사망하고, 서면 용천리 구장 노병우(盧炳禹)·남순극(南淳極)·최명옥(崔明玉) 등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때 아버지·형과 함께 피신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일제의 대대적인 수색과정에서 붙잡혔다. 이 일로 1919년 4월 21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아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양양 3·1운동 기념비 강원도 양양군
2 사당 충렬사 강원도 양양군
3 비석 양양 3·1만세운동 유적비 강원도 양양군
4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원희(관리번호:555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