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49
성명
한자 柳時薰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42. 8. 13 광복군 제1구대에 입대 후 소모공작 및 대적선전 등 활동을 하다가 8.15 광복을 맞이한 자로서 3년 2월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북 안동(安東) 사람이다. 하남성(河南省) 개봉(開封)에서 숙부인 유원해(柳原海)의 인솔로 광복군 제1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32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374·376·61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유시훈 - 경북 안동(安東) -
본문
1917년 10월 2일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풍천면(豊川面) 하회리(河回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1지대에서 활동한 유소우(柳炤佑, 이명 유원해(柳原海))가 숙부이며, 광복군으로 활동한 유시보(柳時保)는 사촌동생이다.1940년 중국의 카이펑(開封)에서 숙부였던 유소우를 통해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의 공작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1942년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가 한국광복군으로 편입될 때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에 배속되어 초모(招募) 공작 등의 임무를 맡아 활동하였다. 1944년 일본군이 정저우(鄭州)·뤄양(洛陽) 등지를 침공하자 중국 제5전구사령관의 요청으로 소속되어 있던 1구대가 출동하여 전방에서 대적 선전 공작, 적정 및 첩보 수집, 포로 심문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때 구대장이었던 김용재(金容宰)의 명령을 받고 신샹현(新鄕縣)(중국 허난성 신샹시의 행정구역)에 침투하여 대적 선전과 초모 공작 등을 수행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위패)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유시훈(관리번호:44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