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890
성명
한자 崔榮九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4.3 강원도(水原道) 양구읍내(楊口邑內) 천도교인(天道敎人)에게 시위거사를 알려주며 활동하고 거사당일에는 태극기를 앞세워 양구군청(楊口郡廳)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창(高唱) : 노래, 구호, 만세따위를 큰 소리로 부르거나 외침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강원도 양구(楊口) 사람으로, 천도교인(天道敎人)이다.

1919년 4월 같은 천도교인이 주동이 된 독립만세운동에서 용호리(龍湖里)에 사는 정승원(鄭昇源)으로부터, 독립만세운동에 각지의 모든 신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통고해 줄 것을 부탁받고 신자들에게 참석할 것을 권유하였다. 특히 일본 관헌의 감시가 심해지자 팔랑리(八郞里)의 김명옥(金明玉)과 함께 변경사항을 신자들에게 통지해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4월 3일의 양구읍의 독립만세운동에 직접 참여하여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다가 체포되어 그해 8월 14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1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판결문(1919. 8. 14 고등법원)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55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943·944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영구 최암회(崔岩回) 강원 양구(楊口) 1919년 양구군 양구면 만세운동
본문
1901년 1월 22일 강원도 양구군(楊口郡) 양구면(楊口面) 송청리(松靑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최암회(崔岩回)이다. 천도교인이며, 1919년 4월 3일 양구읍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 날 만세시위는 양구군의 천도교인이 주축이 되어 계획하고 전개된 만세시위였다. 처음 계획한 인물은 양구면 용호리(龍湖里)에 사는 정승원(鄭承源)과 죽곡리(竹谷里)의 최우명(崔遇明), 함춘리(含春里)의 김병하(金炳夏) 세 사람이었다. 정승원 등 주동자들은 3월 30일 천도교구실에서 만나 양구군에서 만세운동을 펼치기로 결의하고 4월 5일에 의거를 실행에 옮기기로 하였다. 이후 정승원으로부터 만세운동 계획을 듣고 양구군의 천도교인들에게 전할 것을 부탁받았다. 정승원의 권유에 만세운동에 동참하여 마을의 천도교인들을 찾아다니며 시위 계획을 알리며 참여를 촉구하였다. 또한 만세시위에 쓸 태극기를 직접 만들며 만세시위가 일어나기만을 기다렸다.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자 주동자들은 논의 끝에 거사일을 4월 5일에서 2일로 앞당겼다. 또다시 변경된 날짜를 천도교인들에게 전하는 임무를 띠고 마을의 천도교인들을 찾아가 변경 사실을 알렸다. 그리고 2일 거사 당일 아침, 지난밤부터 내린 눈으로 시위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주동자들은 부득이 거사일을 다음날로 늦추기로 하였다. 4월 3일 아침, 죽곡리에 있는 최우명의 집으로 향하였다. 그곳에는 주동자들을 포함하여 동면(東面) 팔랑리(八郞里)의 장호면(張鎬眠)ㆍ장흥도(張興道)ㆍ김창헌(金昌憲), 양구면 동수리(東水里)의 최기호(崔寄浩), 용호리(龍湖里)의 박의순(朴義淳) 등이 자리를 함께하고 있었다. 직접 만든 태극기를 앞세우고 죽곡리를 지나 읍내로 향하였다. 읍내 군청 앞에 이른 시위대와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연호하며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만세운동 소식을 접한 일경이 급파되면서 만세운동을 무력으로 저지하였고 만세운동 참여자 17명과 함께 모두 현장에서 붙잡히고 태극기도 몰수당하였다. 1919년 5월 2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을 받았다. 재판 결과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지만 6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다. 다시 상고하였지만 8월 14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면서 형이 확정되었다. 서대문감옥에서 수감 중 이듬해 4월 28일 영친왕(英親王)의 결혼을 기념한 특면사면으로 풀려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1년 경성지방법원 1919-05-2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 1919-06-27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19-08-14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징역1년 경성복심법원 1919-08-14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산골 유골을 화장하여 산이나 강, 바다 등에 흩뿌려 묘소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영구(관리번호:389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