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515
성명
한자 尹炳漢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4.2 광혜원(廣惠院) 지방의 3.1운동 시 동원된 군중에게 태극기 등을 배포하며 선봉에 서서 시위운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3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충청북도 진천(鎭川) 사람이다.

대한제국의 육군참위(陸軍參尉)로서 일제의 강압에 의해 군대가 강제해산을 당하자 의병에 참여하여 일제에 항쟁하였다.

경술국치(庚戌國恥)를 당하여 국권이 침탈되자 고향인 진천으로 내려와 농민계몽의 몸바쳐 오던 중 전국적으로 3·1독립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광혜원(廣惠院)의 정관옥(鄭寬玉)·오은영(吳殷泳)과 의논하여 자신이 경영해 오던 회죽리(會竹里) 일대의 면유림(面有林)에 식목하는 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여 거사일인 4월 2일 식목작업중에 독립만세를 부르자고 제의하고, 제일 먼저 앞장서서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외치자, 정운화(鄭雲和)·남계홍(南啓弘)·백선옥(白先玉)·이영호(李榮鎬) 등 200여명이 독립만세를 따라서 외쳤다.

이에 많은 시위군중의 선두에 서서 마을 안을 행진하다가 만승면(萬升面) 사무소에 이르 러 면서기에게 같은 조선사람으로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할 것을 요구하면서 면사무소에 투석하고 곡괭이 등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인근에 새로이 건설 중이던 헌병주재소로 달려가 공사 현장의 건축자재 등을 폐기시키고 벽을 곡괭이로 헐어버리는 등 격렬하게 독립만세시위를 벌였다.

이튿날인 4월 3일 광혜원 장날을 이용하여 계속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꾀하여, 4월 2일 저녁에 면사무소를 찾아가 등사판과 백지를 제공받아 광신사(廣信社)에서 만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라는 경고문 등을 면사무소 소사인 박수문(朴壽文)에게 20여 매를 인쇄하게 하여 이날 밤 장터 요소 요소에 붙여놓게 하였다.

4월 3일 장터에 모인 2천여명의 군중의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를 하던 중, 진천에서 온 10여명의 일본 헌병이 무차별 발포함으로써 유치선(柳致先)과 그의 어머니가 적탄에 맞아 현장에서 희생된 것을 비롯하여 10여명이 순국하고 많은 부상자를 낸 채 시위군중이 해산하였다.

4월 4일에는 진천으로부터 일본 헌병 20명이 증파되어, 광혜원 독립만세시위 주동자의 검거가 시작되어, 그도 동지들과 함께 체포되었으며, 이해 9월 18일 고등법원에서 징역 3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69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7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088·108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윤병한 - 충북 진천(鎭川) 만승면 만세시위
본문
1873년 6월 20일 충청북도 진천군(鎭川郡) 만승면(萬升面, 현 廣惠院面) 광혜원리(廣惠院里)에서 태어났다. 대한제국의 육군 참위(參尉)로 근무하였다.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 해산당하자, 의병에 참여하여 일제에 대항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로 국권이 상실되자, 고향인 진천으로 귀향하여 농민 계몽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4월 2일에서 3일까지 전개된 만승면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진천에서 농민 계몽 활동 중, 3월 1일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만승면에서도 만세운동을 전개할 생각으로 우선 진천읍(鎭川邑)의 이상직(李相稷)과 연락하여 만세운동을 결의하였다. 그 후 동지를 규합하여 4월 1일 이상직 및 정관옥(鄭寬玉)·오은영(吳殷泳) 등과 상의하여 만세운동의 거사일을 다음날인 2일로 결정하였다. 주민들의 참여에 대해서는 자신이 경영하고 있던 회죽리(會竹里) 일대의 면유림(面有林)에 식목을 실시한다는 명목으로 주민들을 모아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계획하였다.4월 2일 오후 면유림 작업에 많은 주민들이 모였다. 주민들에게 술을 돌리고 앞에 나서서 전국적인 만세운동의 상황을 설명하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독립만세’를 외치자고 호소한 뒤,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였다. 이 연설을 듣고 공감한 정운화(鄭雲和)·남계홍(南啓弘)·백선옥(白先玉)·이영호(李榮鎬)·신달용(申達用) 등 200여 명의 주민들이 호응하여 함께 만세시위에 동참하였다. 이상직 등과 만세시위대를 지휘하여 ‘대한독립만세’를 연창하면서 마을로 내려와 신축 중인 헌병주재소로 행진하여 공사장을 파괴하였다. 다시 면사무소로 행진하여 면서기 등에게 “너희도 같은 조선인이니, 시위대에 가담하여 함께 만세를 부르라”고 요구하였다. 면사무소 직원들이 불응하자, 시위대를 지휘하여 면사무소에 돌을 던지고 곡괭이와 몽둥이 등으로 유리창을 깨뜨리고 장지문을 부수는 등 면사무소를 파괴하였다.다음날에도 만세시위는 계속되었다. 4월 3일은 광혜원의 장날이었다. 전날 시위에 참여했던 주민들과 함께 광혜원장터로 나가 사람들에게 태극기를 나눠 주면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낮 12시를 전후해서는 음성(陰城)·죽산(竹山) 방면에서도 주민들이 동참하여 만세시위대는 2,000여 명의 규모가 되었다. 전날에 이어 재차 돌을 던져 면사무소를 공격하고, 헌병주재소로 행진하였다. 그 후 면사무소에서 탈취한 등사판과 백지, 철필 등을 가지고 면사무소의 소사 박수문(朴秀文)에게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만세를 부르자”는 내용의 경고문 20여 장을 인쇄하게 하여 이날 밤 광혜원장터 일대에 부착하도록 하였다.이와 같은 격렬한 만세시위에 대응하여 광혜원의 헌병분견소장 이리에(入江)는 진천읍으로 연락하여 지원 병력을 요청하였다. 광혜원에 도착한 일제 헌병들은 만세시위의 해산을 명령하였으나, 시위대가 불응하자, 곧바로 발포하여 유치선(柳致先) 등 10여 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만세시위는 해산되었다.4월 4일 정관옥·오은영 등과 함께 일제 헌병에 붙잡혔다. 일제 헌병의 조사 과정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한 사실이 인정되어 법원으로 송치되었다. 1919년 5월 13일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에서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등으로 징역 3년을 받았다.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나, 그 해 7월 1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마찬가지로 징역 3년을 받았다. 재차 상고하였으나 같은 해 9월 18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겪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소요, 출판법위반 징역 3년 공주지방법원청주지청 1919-05-13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소요, 출판법위반 원판결취소, 징역 3년 경성복심법원 1919-07-10 국가기록원
3 판결문 소요, 출판법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19-09-18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윤병한(관리번호:351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