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337
성명
한자 秦熙昌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80 훈격 독립장
상해(上海)로 망명 임시정부수립에 참여하고 의정원 의원(議政院議員)으로 사망시까지 계속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서울 종로(鍾路) 사람이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게 되자, 나라를 되찾기 위해 다음해인 1911년에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영국(英國)에서 경영하는 전차회사(電車會社)의 감독으로 종사하면서 독립운동과 교육사업을 전개, 후진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켰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난 후 많은 애국지사들은 상해로 모여 상해(上海)의 불란서조계(租界) 보창로(寶昌路)에 임시사무소를 정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많은 의견들을 서로 교환한 뒤 4월 10일부터는 상해에 모인 각 지방 출신과 대표자들을 의원으로 하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회의를 열고 국호, 관제(官制), 정부관원 및 임시 헌장(憲章) 등을 의결 선포함으로써 역사적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탄생을 보게 된 것이다.

그는 임시정부 수립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임시의정원 회의의 의원으로 피선되어 임정수립에 기여하였다.

1919년 5월에는 상해대한인거류민단(上海大韓人居留民團)을 조직하여 독립운동 및 교민자치를 목적으로 활동하였는데, 1920년 7월 26일에는 거류민단이 임시정부의 정식 인가를 받게 되었으며, 그는 의사원(議事員)에 선출되어 인성학교(仁成學校)설립, 운영 등을 지원하였다.

임시정부의 재정운영이 어려워지자 1926년 7월에 그는 안창호(安昌浩)·김종상(金鍾商) 등과 임시정부경제후원회(臨時政府經濟後援會)를 조직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여 임시정부를 지원하였는데 그는 재무위원(財務委員)에 임명되어 1933년 별세할 때까지 임정의 재정적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8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민족운동연감 4 8 56 84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60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4 34 192면
  • 벽옹김창숙일대기 109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8권 204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39·42·44면
  • 동아일보(1926. 7. 28)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73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137·142·145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3 48 66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33, 36, 603, 604, 605, 76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159 16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진희창 호 : 경림(景林) 서울 -
본문
1874년 10월 9일 서울 종로구(鐘路區) 인의동(仁義洞)에서 태어났다. 호는 경림(景林)이다. 1911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갔다. 영국 전차회사에 취직하여 감독으로 근무하였다. 1919년 4월 10일 상하이 프랑스 조계 내에서 개최된 제1회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회의에 참석하였다. 29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동녕(李東寧)과 손정도(孫貞道)가 각각 의장과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현순(玄楯)·신익희(申翼熙) 등과 함께 임시의정원 의원에 피선되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대한민국의 국호를 정하고 국가를 운영할 정부 조직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또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였다. 1920년 상하이 교민조직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거류민단제」 공포에 따라 상해대한인거류민단(上海大韓人居留民團)이 되었다. 7월 26일 상해대한인거류민단 단장 및 의원 선거에서 장붕(張鵬)·고일청(高一淸)·최창식(崔昌植) 등과 함께 의사원(議事員)으로 선출되었다. 민단장은 여운형(呂運亨), 총무는 선우혁(鮮于赫)이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감독을 받으면서 자치기관의 기능을 가진 상해대한인거류민단은 산하에 교민 자녀들을 위한 인성학교(仁成學校)와 자치경찰 조직인 의경대(義警隊)를 운영하였다. 1923년 12월 의사원 직을 사직하였다. 1926년 7월 19일 상하이 프랑스 조계 내 삼일당(三一黨)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정 지원을 목적으로 임시정부경제후원회(臨時政府經濟後援會)가 창립되자 안창호(安昌浩)‧조상섭(曺相燮)‧김순애(金淳愛) 등과 함께 진행위원에 임명되었다. 이때 위원들의 호선으로 재무원이 되었다. 위원장은 안창호가 맡았다. 임시정부경제후원회는 임시정부가 마당로 보경리에 청사를 마련할 때 자금을 지원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의 재무위원(財務委員)에 임명되어 활동하던 중 1933년 2월 9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진희창(관리번호:333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