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485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朴重緖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가족관계창설일 2022-07-27 도움말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년도 1963 훈격 독립장
1. 은율군수(慇栗郡守) 최병혁(崔丙赫)사살사건에 관련되어 1921. 8. 4일부터 1921. 8. 6일 까지의 공판을 거쳐 1921. 8. 19일 해주지방법원(海州地方法院)에서 징역 13년 언도를 받다. (1921. 8. 20일자 동아일보(東亞日報))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4권(1987년 발간)

평북 박천(博川) 사람이다.

1920년 6월 관전현(寬甸縣)에 있는 대한독립군단의 파견원인 이명서(李明瑞)·이근영(李根永)·박기수(朴基洙)·주의환(朱義煥)·이지표(李芝杓)·원사현(元士賢)·박지영(朴枝英)·민양기(閔良基) 등을 만나 황해도 송화군 구월산(松化郡九月山)에서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9월산대(九月山隊)를 조직 가담하였다.

특히 동년 8월에는 은율(殷栗) 군수 최병혁(崔丙赫)을 주살하는데 공헌하였으며 일경 주재소를 습격하는 등 활동하였다. 그러나 1920년 9월 신천군 초리면(草里面)에서 피신 중 일경에 포위되어 총격전 끝에 중상을 입고 체포되었다. 그는 결국 1921년 8월 19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3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동아일보(1921. 8. 20)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5권 25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0권 123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340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4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중서 - 평북 박천(博川) -
본문
평안북도 박천군(博川郡) 출신이다. 자료에 따르면, 1921년에 39세로 1883년생으로 추정된다. 자료의 한계로 정확한 출생일자와 만주로 이주한 시기 등은 확인할 수 없다. 1920년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참여하여 항일활동을 하다가 일제로부터 고초를 겪었다.대한독립단은 1919년 4월 15일 류허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서 박장호(朴長浩)·백삼규(白三圭)·조맹선(趙孟善)·전덕원(全德元) 등 한말의병들과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독립운동 단체였다. 부호들을 상대로 군자금 모집하고 일제 관료와 친일파, 밀정을 처단하는 등 무장독립투쟁을 활발히 전개하였다.1920년 만주 콴뎬현(寬甸縣)에 본부를 둔 대한독립단에서 군자금 모집과 친일파·밀정 등의 처단을 위해 국내로 파견된 민양기(閔良基)의 권유로 대한독립단에 입단하였다. 그 후 다른 단원들과 함께 박천에서 진남포(鎭南浦)로 향하던 중 평안남도 대동군(大東郡) 용산면(龍山面) 부근에서 불심검문을 받게 되자 일본인 경찰 모리모토(森本)를 사살하였다.곧이어 황해도 은율군(殷栗郡)에 살던 동료 황윤상(黃潤相)의 집에서 회합하였다. 이때 친일파로 독립운동을 방해해온 은율군수 최병혁(崔炳赫)과 군참사(郡參事) 고학륜(高學倫)을 처단하기로 결정하였다. 민양기는 경찰주재소를 파괴하고 이지표(李芝杓)는 최병혁을, 고두환(高斗煥)을 고학륜을 각각 사살하기로 하였다. 당일 동지 변춘식(邊春植)과 함께 은율읍(殷栗邑) 동쪽에서 망을 보아 최병혁처단과 일제 주재소 습격을 도왔다. 이날 이지표는 최병혁을 처단하였지만 고두환은 고학륜을 사살하지 못하였다. 민양기 역시 주재소 후문으로 나오는 일본 순사를 사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신천군(信川郡) 초리면(草里面) 도명리(道明里)에 사는 노성우(盧聖祐) 집에 피신하던 중이었던 1920년 9월 초순, 황해도 경찰부 경찰대에게 포위되었다. 치열한 교전을 벌였으나 결국 이지표를 비롯한 몇몇 동지들이 전사하였고, 이때 총상을 입고 민양기·고두환 등과 함께 붙잡혔다.1921년 8월 19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3년을 받고 옥고를 겪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중서(관리번호:248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