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889
성명
한자 文昌學
이명 文彦俊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년도 1968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16년 0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1919 3.1운동에 참가하였음.

2. 1921. 12. 2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김학섭(金學燮) 인솔하(引率下)에 소총 1정, 탄약 150발, 폭탄 2개씩 각 단원(各團員)이 무장하고 웅기항(雄基港)을 습격하고자 계획하였으나 단원중 득병자(得病者)가 다수발생되자 동계획(同計劃)을 취소하고 신간원 주재소(新乾源駐在所)를 습격하기로 하였음.(동아일보(東亞日報) 1923. 6. 23)

3. 1921. 12. 5. 오후 8시 화룡현(和龍縣)을 떠나 밤이 깊기를 기다려 오전 1시에 문창학(文昌學)이 전에 헌병보조원(憲兵補助員)을 지내 동 지역(同地域) 지리에 밝으므로 문창학(文昌學)이 잠입하여 불빛으로 신호(信號)함을 목표(目標)로 일제 사격을 개시하여 송기순사(巡査)사살(射殺)하고 숙소를 파괴하였으며 주재소에 폭탄 2개를 투척하고 도주하였음(동아일보 1923. 6. 23)

4. 1923. 5. 25 김학섭(金學燮) 이하(以下) 13명이 체포되어 1(審)에서 문창학(文昌學)등 4명이 사형언도를 받음(무기(無期) 9명, 10년형(年刑) 1명) (동아일보(東亞日報) 1923. 6. 2)

5. 1923. 9. 28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김학섭(金學燮), 문창학(文昌學)공소기각(控訴棄却)이 됨(동아일보(東亞日報) 1923. 9. 29)

6. 1923. 11. 13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도 공소기각(控訴棄却)되어 사형이 확정됨(동아일보(東亞日報) 1923. 11. 15)

7. 1923. 미상일(未詳日) 사형(死刑)집행(執行)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4권(1987년 발간)

함북 온성(穩城) 사람이다.

1919년 3·1독립운동에 참가한 뒤, 1921년 12월 2일에는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김학섭(金學燮) 인솔하에 소총 10정, 탄약 150발, 폭탄 2개씩을 가지고 웅기항(雄基港)을 습격하고자 하였으나 연말연시중 일군경의 특별경계가 심하여 이 계획을 취소하고 신건원(新乾源)주재소를 습격하기로 하였다. 동년 12월 5일 오후 8시 화룡현(和龍縣)을 떠나 밤이 깊기를 기다려 오전 1시에 그곳의 지리에 밝은 그가 먼저 도착하여 불빛으로 신호하는 것을 목표로 일제히 사격을 시작, 순사 송기안태랑(松岐安太郞)을 사살하고 숙소를 파괴하였으며 주재소에 폭탄 2개를 투척하고 일군경과 교전후 피신하였다. 그후 만주 혼춘(琿春)에서 일경 습격과 밀정처단 등 맹렬한 활동을 하다가 김학섭(金學燮) 등과 함께 일영사관 경찰에 체포되어 청진으로 압송되었다. 김학섭 이하 13명은 1923년 5월 25일 함흥지방법원 청진지청에서 사형, 무기징역, 10년 징역형 등 중형을 선고받았다. 동년 9월 2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김학섭과 그의 공소가 기각되어 고등법원에 상고하였으나 1923년 11월 8일 역시 기각되어 사형이 확정됨에 따라 1923년 12월 20일 사형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8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40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97면
  • 동아일보(1923. 6. 2, 6. 23, 9. 29, 11. 15, 12. 21)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90·39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문창학 문언준(文彦俊) 함북 온성(穩城) 신건원주재소 습격 사건
본문
함경북도 온성군(穩城郡) 미포면(美浦面) 미산리(美山里) 출신이다. 판결문에 따르면 1882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본관은 남평(南平)이고, 문언준(文彦俊)이라는 이명이 있다. 러시아 연해주에서 항일운동을 주도하고 대한국민의회 의장을 지낸 문창범(文昌範)이 사촌형이다. 어렸을 때 집안은 여관을 하던 집을 구입할 만큼 부유하였다. 1911년부터 1918년까지는 헌병보조원을 하였다. 선배인 김학섭(金學燮)이 조직한 임시대한독립군(臨時大韓獨立軍)[대한독립군결사대(大韓獨立軍決死隊)]에 대원으로 활동하였다.임시대한독립군은 1920년 12월 시베리아에서 결성되었다. 1920년 9월 만주에서 무장투쟁을 하다가 러시아로 들어간 김학섭·강병관(姜秉官)·강석훈(姜錫勳) 등은 청산리전투 이후 군사행동을 대규모하는 것이 불리하기 때문에 직접 국내로 잠입해 일제의 기관 폭파나 주구 등을 직접 처단하는 것이 더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12월 초 강용관(姜龍官)의 집에서 단체를 조직하였고, 그를 포함하여 김병관·강석훈·최시능(崔時能)·최영찬(崔英燦)·강용관 등 15인이 대원으로 참여하였다. 이들은 워싱턴회의에 대표를 파견하는 것도 논의하였으나, 국내에서의 실질적인 투쟁을 수행하기로 하고 함경북도에 위치한 웅기항(雄基港)을 1차 목표로 설정하였다.웅기항 공격을 위해 무기 구입을 마치고, 1921년 11월 26일 10여 명의 동지들과 함께 각자 소총 1정, 실탄 150~200발, 수류탄 1~2개, 7인에 권정 1정 등을 휴대하고 우수리강(烏蘇里江)을 넘어갔다. 1922년 1월 2일 중국 훈춘현(琿春縣) 홍룡구(紅龍溝)에 도착하였으나 일본 군경의 국경 경비가 삼엄하여 웅기항 공격 계획을 포기하고, 대신 목표를 웅기군에 위치한 신건원경찰관주재소로 변경하였다.이들은 1922년 1월 4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병력을 3대로 나누어, 김학섭이 제1대장, 김병관이 제2대장, 강석훈이 제3대장을 맡기로 하였다. 그리고 제1·2대는 신건원의 입구 고지에서 신건수비대(新乾守備隊)의 출동을 막고, 제3대는 직접 주재소를 공격하기로 하였다. 이때 신건원주재소에서 헌병보조원을 한 경험을 토대로 동료들에게 주재소 건물의 위치와 순사 배치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강석훈과 함께 4명을 이끌고 선봉대로 1월 5일 새벽 제일 먼저 신건원주재소에 도착하였다. 김학섭은 강병관과 각각 3명을 인솔해 신건수비대를 습격하기로 하고, 4일 밤 두만강을 건너 신건동에 도착하였다. 오전 1시 불빛을 신호로 주재소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었다. 교전 40분 만에 일본 순사 마츠키(松岐安太郞)를 사살하고 주재소 건물도 파괴하였으며, 제1·2대가 수비대를 공격해 큰 피해를 입혔다. 그리고 모두 두만강을 건너 피신하였다.이후 훈춘에서 무장항일투쟁을 지속하다가 1922년 12월 중순 밀정의 밀고로 훈춘영사관 경찰에 붙잡혀 청진으로 끌려왔다. 1923년 5월 25일 함흥지방법원 청진지청에서 사형을 받고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지만, 같은 해 9월 2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다. 다시 상고하였으나 1923년 11월 8일 고등법원에서 최종 기각되고 형이 확정되었다. 서대문형무소 수감 중, 1923년 12월 20일 사형 집행으로 순국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살인, 폭발물취체벌칙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 1923-09-28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살인, 폭발물취체벌칙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23-11-08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문창학(관리번호:188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