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517
성명
한자 崔宗洙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 3. 16~19 임실군(任實郡) 청웅면(靑雄面)에서 시위군중 2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동리(洞里)순회(巡廻) 시위(示威)를 하다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전라북도 임실(任實) 사람이다.

1919년 3월 16·17·19일, 이강세(李康世)·박용식(朴庸植)·한도수(韓道洙)·한기수(韓淇洙)·이기섭(李起燮)·이성의(李聖儀) 등과 함께 청웅면 구고리(靑雄面九皐里) 일대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3월 16·17·19일의 3일간에 걸쳐 구고리 마을 한복판에 있는 큰 나무아래에서 2백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고 마을을 돌며 시위행진하였다. 그후 일제의 검속 때 체포되어, 이해 5월 16일 대구(大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50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48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종수 - 전북 임실(任實) 1919년 임실군 청웅면 만세운동
본문
1897년 4월 20일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청웅면(靑雄面) 구고리(九臯里)에서 태어났다.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19년 3월 16·17·19일 청웅면 구고리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청웅면 구고리 만세시위는 같은 마을 주민인 이강세(李康世)·박용식(朴庸植)·한도수(韓道洙)·한기수(韓淇洙) 등이 주도하였다. 이때 이기섭(李起燮)·이성의(李聖儀) 등과 함께 주도자들의 뜻에 따라 만세시위에 참여할 것을 결정하였다. 1919년 3월 16일 저녁 9시경 청웅면 구고리 중앙에 있는 큰 고목나무 아래에서 수백 명의 주민들과 함께 모여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다. 그리고 고목나무 주변과 구고리 일대를 돌면서 여러 차례 ‘조선독립만세’를 부른 후 해산하였다. 이때 인근에 위치한 남산리(南山里)·옥전리(玉田里)에서도 각각 만세시위가 벌어졌다. 다음날인 3월 17일 밤 10시경에도 마을 중앙에 위치한 큰 나무를 중심으로 모여든 마을주민 수백 명과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부르고, 마을 안을 도는 만세시위를 거행하였다. 이날 부근 마을인 석두리(石頭里)에서는 동네 주민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만세시위가 시작되었고, 약 30분 동안 ‘조선독립만세’를 외친 후 해산하였다. 3월 19일에는 이틀 전과 같은 방식으로 마을 사람들과 함께 큰 나무 주위에서 ‘조선독립만세’를 외친 후, 다시 마을을 한 바퀴 돌고 만세시위를 마쳤다. 하지만 이 일로 일제 경찰에 붙잡혀 조사를 받고 재판에 넘겨졌다. 1919년 4월 16일 광주지방법원 전주지청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을 받아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1년 광주지방법원전주지청 1919-04-1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3·1운동 기념비(임실군) 전라북도 임실군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종수(관리번호:151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