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418
성명
한자 金弘權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 1909년 조직(組織)대동청년당원(大東靑年黨員)으로 활약.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91;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71)

2. 1919년 4월 13일 상해임정(上海臨政) 재무위원(財務委員)피임(被任).

3. 1919년 4월 23일 제2회 의정원(議政院) 회의(會議)에 참석.

4. 1919년 5월 6일 구급의연금모집(救急義捐金募集) 경상도위원(慶尙道委員) (제4회 의정원(議政院) 회의(會議)에서)

(조선민족운동연감(朝鮮民族運動年鑑) p.7, 8, 14;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175)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상남도 하동 출신이다.

1909년에 안희제(安熙濟), 이원식(李元植), 남형우(南亨祐), 김사용(金思容), 김기수(金基洙), 윤병호(尹炳浩), 서상일(徐相日), 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이라는 비밀결사 조직 단체를 만들어 국내외에서 지하 공작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4월 13일에는 상해 임시정부 재무위원으로 피임되었으며, 4월 23일, 24일에 개최된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제2차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차장제의 폐지와 위원제 사용의 결의, 각 부 위원의 선정, 임시의정원 성립 반포(頒布) 등이 결의되었다.

또한, 같은 해 5월 6일에는 제4차 임시의정원의 의결에 따라 윤현진(尹顯振), 조동진(趙東珍) 등과 함께 경상도 지방의 구급의연금(救急義捐金)모집 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제4차 의정원 회의에서는 구급의연금의 모집, 인두세의 징수, 내외에 공채모집 등의 안건이 결의되었던 것이다. 의연금의 모집 방법은 각 의원이 먼저 내고 다음에 국내에 모집위원을 파견하고, 그리고 상해에 오는 동포에게 받아서 임시정부의 자금 확보의 재원으로 삼아 항일 독립 활동을 전개하자는 것이었다.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민족운동연감 7·8·9·14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91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15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9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6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27·36·40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2·43·44·4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162·199·42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4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홍권 자 : 도경(道卿), 호 : 하우(何尤), 하우재(何尤齋) 경상남도 하동(河東) -
본문
1892년 1월 25일 경상남도 하동군(河東郡) 양보면(良甫面) 운암리(雲岩里)에서 아버지 김제응(金濟應)과 어머니 김내동(金內東) 사이에서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용궁(龍宮)이며, 자는 도경(道卿), 호는 하우(何尤) 또는 하우재(何尤齋)이다.1908년 하동보통학교(河東普通學校)에 입학하여 졸업한 뒤, 1910년 이후 진주에서 발행된 『경남일보(慶南日報)』를 구독하며 항일의식을 키웠다. 1913년 진주농업학교(晉州農業學校)를 졸업하고, 1917년 일본에 유학하였다. 이후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등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1909년 비밀결사 대동청년단이 결성되자, 여기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대동청년단은 남형우(南亨祐)·안희제(安熙濟)를 비롯하여 이원식(李元植)·신백우(申伯雨)·김동삼(金東三)·박중화(朴重華)·배천택(裵天澤) 등 80여 명이 국권 회복을 목적으로 조직한 단체였다.이후 1917년 일본으로 가서 공부하였다. 1919년 국내에서 만세운동을 목격하고 돌아온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재학생 유경환(柳璟煥)을 만나 중국 망명을 논의한 끝에 상하이(上海)로 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그 해 4월 23일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제2회 회의에서 차장제(次長制)를 폐지하고 위원제(委員制)를 실시하자,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유경환 등과 함께 출석하여 재무부(財務部) 위원에 선출되었다. 4월 25일과 30일 의정원 제3회와 제4회 회의에 의원으로 출석하였다. 제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는 구급의연금(救急義捐金) 모집, 인두세(人頭稅) 징수, 내외에 공채모집(公債募集) 등의 안건이 결의되었다. 이 의결에 따라 5월 6일 구급의연금모집위원(救急義捐金募集委員) 선거에서 윤현진(尹顯振)·조동진(趙東珍) 등과 함께 경상도 모집위원(慶尙道募集委員)으로 선출되어 경상남도 지역의 책임위원(責任委員)을 맡았다.이어 1920년 만주에서 군자금 모집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그 후 부산에서 산해관을 경영하며 안희제와 연계하여 활동하면서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하동청년동맹(河東靑年同盟)에 참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하동청년회관(河東靑年會館)을 설립하고 민중계몽과 독립정신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양강좌를 실시하였다. 1937년 1월 8일 진주도립병원에서 향년 46세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애국지사 하우 김홍권선생 공훈비 경상남도 하동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홍권(관리번호:141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