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122
성명
한자 柳東煥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안동 편항(安東鞭巷) 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하여 편항(鞭巷) 주재소, 임동(臨東), 임북면(臨北面)사무소를 습격하여 동건물 및 기물 파괴 등 활약하고 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경상북도 안동(安東) 사람이다.

1919년 3월 21일 임동면 중평동 편항(臨東面中平洞鞭巷) 장날을 이용하여 전개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3월 15일 유연성(柳淵成)·유동수(柳東洙)·이강욱(李康郁)·홍명성(洪明聖)·박재식(朴載植)·유교희(柳敎熙)·박진선(朴晋先)·유곡란(柳谷蘭) 등이 편항 장터 동편에 있는 공동 타작장에 모여 거사에 대하여 의논함으로써 계획이 시작되었다.

그들은 편항 장날인 3월 21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군중의 동원을 분담하는 등 사전준비를 진행하였다. 그는 이 계획을 듣고 이에 적극 찬성하여 3월 21일 오후 2시, 편항 장터에 모인 1천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때 이곳 주재소에서 2명의 경찰이 출동하여 주동자인 유연성과 배태근(裵太根)을 체포하려 하자, 그는 시위군중과 함께 일경들에게 달려들어 주재소로 쫓아버렸다.

이어 시위군중이 편항주재소로 달려가 시위를 전개할 때, 사태의 위급함을 느낀 일본 경찰 내전(內田)이 공포를 발사하자, 그는 노한 군중과 함께 주재소의 유리창·책상·의자를 파괴하고 서류를 파기하였다. 또 일본 경찰로부터 빼앗은 대검과 소내에 비치되어 있던 장총·칼·탄환·제복 등을 거두어 그곳 우물안에 버렸다.

이때 2명의 일본경찰이 신덕리(新德里) 방향으로 도망하자, 이를 추격하여 1명을 도중에서 붙잡아 구타하였다. 신덕리로 도망한 일본 경찰은 그곳 주재소에 이르러 위급한 상황을 전하고 안동경찰서에 응원 요청을 하였다. 그후 그는 시위군중과 함께 경찰관의 사택도 습격하여 완전히 파괴하였는데, 경찰 가족들은 모두 피신하고 없었다.

오후 5시, 그는 면사무소를 습격하여 건물을 파괴하고 문서류를 파기하였다. 자정부터는 파괴해 버린 주재소의 판자로 모닥불을 피워가며 이튿날 새벽 3시까지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자진 해산하였다. 한편 급보를 받은 안동경찰서에서는 오전 5시, 순사부장 1명과 일본군 하사 이하 8명을 파견하여 대대적인 검거 작업을 펼쳤다.

결국 그도 이때에 체포되었으며, 이해 8월 18일 대구(大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건조물 손괴·가택 침입·상해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판결문(1919. 5. 31 대구지방법원)
  • 판결문(1919. 8. 18 대구복심법원)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408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346·1348·1349·1351·1352·1354·135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유동환 - 경북 안동 1919년 안동군 임동면 만세운동
본문
1885년 1월 20일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임동면(臨東面) 수곡동(水谷洞)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919년 당시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3월 21일 안동군 임동면 중평동(中坪洞) 편항시장(鞭巷市場)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안동군 편향시장 만세운동은 월곡면(月谷面) 계곡동(桂谷洞)에 사는 유연성(柳淵成)의 주도 하에 유동수(柳東洙)·이강욱(李康郁)·박재식(朴載植) 등이 뜻을 모아 일으켰다. 이들은 3월 15일 편항시장 동편 공동 타작장[인낙장(籾落場)]에서 만나 만세운동을 결의하고 임동면을 여러 곳으로 나누어 분담 지역을 정하고 담당 지역의 주민들을 동원하기로 하였다. 수곡동은 유교희(柳敎熙)가 맡았는데, 유교희는 주민들에게 3월 21일 편항시장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날 예정임을 알리고 동참을 호소하였다. 유교희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만세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거사 당일, 편항시장으로 향하였다. 오후 2시 유연성이 군중들 앞으로 나와서 왜 만세운동을 해야 하는지 연설을 하고 이어서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유연성의 선창에 다른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호응하였다. 장터 곳곳에서 만세 소리가 연이어 일어났고 많은 주민들이 동참하면서 만세운동의 열기는 점점 더 고조되었다.만세운동이 장터 전체로 퍼지고 있을 때 일제 경찰이 시위 현장에 급파되었다. 출동한 일제 경찰은 무력으로 시위대를 위협하며 해산을 명령하고 주도인물 체포에 나섰다. 유연성과 참여자 배태근(裵太根)을 체포하려던 일제 경찰에게 배태근이 항의하자 일제 경찰 한 명이 배태근의 뺨을 때렸다. 이를 보고 다른 군중들과 함께 분노하여 “저놈 죽여라”하며 일제 경찰에게 달려들었고, 일제 경찰은 군중들의 기세에 놀라 주재소로 도망하였다.이어서 500여 명의 시위대와 함께 주재소로 향하였다. 조학이(趙學伊)·박진선(朴晋先) 등이 선두가 되어 시위대를 이끌고 주재소로 행진하였다. 주재소에 이르러 다른 시위대와 함께 일제 경찰의 권총 위협에도 안으로 들어가 주재소 벽과 창문 등을 돌과 몽둥이로 모두 부셔버렸다. 또 사무실 안의 유리창과 책상, 의자 등의 기물 등을 모두 파괴하고 서류와 문부도 모두 찢어 창문 밖으로 던져 파기하였다. 일제 경찰에게서 빼앗은 권총과 대검은 주재소 안에 비치된 탄환, 총검과 함께 주재소 뜰에 있는 우물 안에 버렸다.그리고 배혁모(裵赫模)·권중희(權重熙)·유기영(柳璣永) 등과 함께 경찰 숙소로 향하였다. 돌을 던져 경찰 숙소의 벽과 창문을 모두 부수고 숙소 안의 물품과 서류, 의복 등도 모두 파괴해 버렸다. 주재소와 경찰 숙소는 시위대의 격렬한 저항에 뼈대만 겨우 남은 채 초토화 되었다. 경찰 숙소 시위를 마치고 일부 군중들과 해산하였다. 1,000명이 넘는 군중들은 남아서 면사무소에서 만세시위를 이어갔다. 시위대는 면사무소마저 초토화시킨 후 새벽 3시 무렵 자진 해산하였다.일제 경찰은 다음날부터 만세운동 관련자 체포에 나섰고, 이때 붙잡혔다. 1919년 4월 17일 대구지검으로 이감되었으며, 같은 해 5월 3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소요죄, 건조물 손괴죄, 가택침입죄, 상해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을 받았다. 재판 결과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지만, 그 해 8월 18일 대구복심법원에서 항소가 기각되어 옥고를 겪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소요, 건조물손괴, 가택침입, 상해, 보안법위반 징역 1년 대구지방법원 1919-05-31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소요, 건조물손괴, 가택침입, 상해, 보안법위반 징역 2년(원판결 취소) 대구복심법원 1919-08-18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상북도 안동시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2 비석 안동 3·1운동 기념비 경상북도 안동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유동환(관리번호:112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