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0558
성명
한자 崔壽鳳
이명 崔敬鶴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년도 1963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2016년 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20년 11월 밀양경찰서(密陽警察署)를 폭파한 후 피체 대구감옥(大邱監獄)에서 사형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355,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215)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8권(1990년 발간)

경남 밀양(密陽) 사람이다.

기독교 신자였던 그는 향리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27세가 되는 해 사립동화학교(私立東和學校)에 입학하여 전홍균(全鴻均) 밑에서 2년간 수학한 후 다시 1912년 동래(東萊) 범어사(梵魚寺)의 불교학교인 명정학교(明正學校)를 졸업하였다. 또한 1913년 평양 숭실학교(平壤崇實學校)에 입학하여 3년간 수학 중 학교가 폐교당하자 중퇴하고 말았다.

그후 독립쟁취의 신념을 갖고 남만주 지방으로 망명한 그는 봉천(奉天)·안동(安東) 등지를 왕래하며 동지를 규합하기도 하였으며 한때 평안도 정주(定州)에서 광산노동 또는 우편 집배원 노릇도 하며 때를 기다렸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날 당시 의열단(義烈團)과 연락이 닿아 있던 고인덕(高仁德)이 폭약과 폭탄제조기를 갖고 모종의 거사를 준비중에 있었는데 이때 그는 동지 고인덕에게 즉각 자신의 독립투쟁의 결의를 전하고 고인덕으로부터 폭탄과 제조기를 전해받아 산속으로 들어가서 폭탄을 제조하여 송혜덕(宋惠德)에게 일단 보관을 요청하였다.

1920년 12월 27일 밀양경찰서 서장이 전 서원을 모아놓고 훈시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즉시 폭탄을 찾아 경찰서를 폭파하기로 결정한 그는 준비된 2개의 폭탄을 경찰서를 겨냥하여 던지고 밀양 서문(西門)으로 도피하였다.

그러나 일경의 추격을 받다 자결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붙잡히고 말았다.

1921년 4월 16일 사형을 선고받은 그는 동년 7월 8일 오후 3시, 대구감옥 교수대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15·36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319·32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4권 507·508면
  • 동아일보(1921. 4. 19, 5. 17, 5. 24, 7. 12)
  • 기려수필 282·295·301·303·304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488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88·29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1권 205∼207·656∼658면
  • 고등경찰요사 98·234·238·239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181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486·48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수봉 최경학(崔敬鶴) 경남 밀양 밀양경찰서 투탄 의거
본문
1894년 3월 3일 경상남도 밀양군(密陽郡) 상남면(上南面) 마산리(馬山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이명은 최경학(崔敬鶴)이다. 어려서부터 기독교 신앙생활을 하였고, 한문을 배웠다. 밀양공립보통학교에 다니던 중, 단군 관련 발언 등으로 퇴학당하였다. 1910년 사립 동화학교에 입학한 후, 교장 전홍표·교사 김대지 등으로부터 항일의식을 키웠다. 1912년 동래 범어사의 불교학교인 명정학교(明正學校)를 졸업하였다. 1913년 평양 숭실학교에 입학하여 중퇴하였다. 남만주로 가서, 동지를 규합하였다. 또 평안북도 창성(昌城)의 사금광에서 광부로 근무하였고, 정주(定州)에서 우편집배원으로 일하다가 귀향하였다. 1919년에는 평소 알고 지내던 고인덕(高仁德)이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구입한 폭약과 폭탄제조기를 가지고 돌아와 의열투쟁을 준비하고 있었다. 1920년 김상윤(金相潤)·이종암(李鐘岩) 등과 밀양경찰서 폭탄 투척을 계획하고, 고인덕으로부터 폭탄과 제조기 등을 받아 산속에서 폭탄을 제조한 다음, 송혜덕(宋惠德)에게 보관을 요청하였다. 1920년 12월 27일 오전 9시 30분 밀양경찰서 서장 와타나베(渡邊)가 경찰들에게 훈시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9시 40분경 밀양경찰서에 도착하였다. 폭탄 1개를 현관 오른쪽 창문 밖에서 경찰서 남쪽 유리창 안쪽으로 던졌고, 나머지 1개는 정면 현관 앞에서 복도를 향해 투척하였다. 하지만 1개는 불발되고, 나머지 1개는 위력이 약해 실내 물품 정도만 파손되었다. 탈출하다가 붙잡히기 직전 단도로 목을 찔러 자결을 시도하였지만, 일제 순사가 읍내 병원으로 이송해 약 2주 후에 회생하였다.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폭발물 취체 규칙’ 위반으로 무기징역을 받았고, 대구복심법원에서 1921년 4월 16일 사형을 받았다. 상고하였지만,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었다. 대구감옥에서 옥고를 겪다가, 같은 해 7월 8일 오후 3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폭발물취체벌칙, 건조물손괴, 구내침입 사형(원판결 취소) 대구복심법원 1921-04-16 국가기록원
2 판결문 폭발물취체벌칙위반, 건조물손괴, 구내침입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21-05-23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기념관 의열기념관 경상남도 밀양시
2 비석 독립유공자 추모비 서울특별시 동작구
3 비석 최수봉의사 추모 기적비 경상남도 밀양시
4 장소 최수봉 의거지(옛 밀양경찰서 터) 경상남도 밀양시
5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수봉(관리번호:1055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