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004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孫一峯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가족관계창설일 2022-07-27 도움말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1993 훈격 애국장

관련정보


2021년 07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38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中央陸軍軍官學校) 광동분교(廣東分校)를 졸업한 후 중국군 포병장교로 배속되어 하남(河南) 호북성(湖北省) 일대에서 수 십차례의 대소전투에 참전하였으며, 1940년에는 조선의용대에 입대, 화북(華北)으로 파견되어 적후(敵後)선전활동과 유격전을 전개하던 중 1941. 12. 12 하북성(河北省) 원씨현(元氏縣) 호가장(胡家莊) 부근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1권(1994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1931년 중국 청도(靑島)로 건너가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朝鮮民族解放鬪爭同盟)의 일원으로 반일활동에 참가하였으며, 상해(上海)에서 한국인 밀정을 제거하는 활동을 하였다. 또한 그는 윤봉길 의사의 홍구공원 투탄의거의 공모자 중 한사람이었다.

1934년 중앙육군군관학교 군관훈련반에 입교, 1935년 동교를 졸업하고, 10월에는 중앙육군군관학교 광동 제4분교에 재입학하여 1938년 졸업하였다.

그 후 포병 53단에서 활동하였고, 이어 포병 56단에 파견되어 간부훈련단 교관 및 탄약대장을 역임하였다.

그 뒤 다시 포병 54단에 파견되어 전차방어포 연장(連長)을 역임하면서 하남성(河南省)과 호북성 일대의 대소 전투에 수십 차례 참전하였다.

1940년에는 민족혁명당원(民族革命黨員)으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에 입대하여 제1지대 제1전구 사령부에 소속되어 있다가, 1941년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분대장으로서 화북적후공작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 해 12월 12일 호가장(胡家莊)에 주둔하고 있던 중 일군에게 기습당하여 주력부대를 호위하기 위해 맞서 싸우다가 전사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718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제12권 723면
  • 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제2집 334면
  • 신천지(서울신문사, 1946. 5월호) 102면
  •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국가보훈처) 제6집 435∼438·444∼452면
  •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국가보훈처) 제8집 526·552∼556·561·563∼58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손일봉 박녕경(朴寧敬), 사포라(沙布羅) 평북 의주(義州) 후쟈장 호가장전투
본문
평안북도 의주)義州) 출신으로 자료에 따르면 1912년생으로 추정된다. 이명으로 박녕경(朴寧敬), 사포라(沙布羅)를 사용하였다.. 중농 가정 출신이었으나 아버지가 만세운동에 가담하여 부상을 입고 불구가 되었고, 이로 인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 유년기를 보냈다고 전해진다. 의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으며, 이후 2년간 목재공장에서 노동자로 생활하다가 1931년 봄 중국 칭다오(靑島)로 건너갔다.1933년 상하이(上海)로 이동한 후에 홍커우(虹口)의 삼림기차양행(森林汽車洋行)에서 사무원으로 재직하였다. 이때 자신의 이름을 사포라라고 바꾸고 본격적으로 항일 운동에 뛰어들었다. 1934년 3월 장중광(張重光)과 함께 상하이 일본 신사(神社)에서 거행된 ‘상하이 사변 전몰일본군 추도회장’에 폭탄을 던졌고, 같은 해 4월 중국 중앙군관학교 뤄양분교(洛陽分校)에 입학하여 1935년 4월 졸업하였다.1935년 10월에 광저우(廣州)로 가서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제4분교에 입학하였다. 1938년에 학교를 졸업하고 포병 훈련반에서 단기 교육을 이수한 후에 중국 국민군 포병 53단에서 장교로 근무하였다. 그리고 포병 56단에 파견되어 간부 훈련단 교관과 탄약대장을 역임하였고, 다시 포병 54단에 파견되어 전차 방어포 중대장을 역임하였다. 중일전쟁이 발발한 후인 1939년 9월 창사대회전(長沙大會戰), 1940년 6월 신양대회전(信陽大會戰)에 참전하였다.1940년 8월 초 뤄양으로 이동하여 민족혁명당 소속으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에 입대하였다. 1940년 말에는 한빈(韓斌)·이정호(李貞浩) 등과 함께 조선청년전위동맹(朝鮮靑年前衛同盟)에 합류하여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을 조직하였다. 이어 조선의용대 제1지대 제1전구 사령부에 소속되어 활동했으며, 1941년 조선의용대의 주력과 화베이(華北) 팔로군(八路軍) 근거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후 조선의용대 화베이지대 제2대 제2분대장으로서 화베이 적후 공작과 유격전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12월 12일 허베이성 위안스현(原元氏縣) 후쟈장(胡家莊) 부근에서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과 교전 중에 전사하였다. 현재 허베이성 짠황현(赞皇縣) 황북평촌(黄北坪村)에 묘와 기념비가 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중국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손일봉(관리번호:900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