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540
성명
한자 閔忠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만주(滿洲) 등지에서 이상설(李相卨) 이동녕(李東寧) 등의 지시를 받아 동포들의 독립사상을 고무(鼓舞)하고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 의정원(議政院) 의원(議員)으로 활동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서울 종로구 안국동(安國洞) 사람이다.

1912년 일본 동경(東京) 유학시 엄영달(嚴永達) 조소앙(趙素昻) 등 동지들과 같이 이승만(李承晩)을 미국으로 환송하고 독립운동지사들과 교류하면서 항일독립운동의 결심을 굳혔다고 한다.

1913년 노령(露領) 연해주(沿海州)로 건너가 이상설(李相卨) 이동녕(李東寧) 등 영수들 밑에서 한국 동포들의 독립사상을 고취하는데 협력하였다고 한다.

1916년에는 상해로 건너가 한국교민의 단결을 위한 체화동락회( 華同樂會)를 조직하여 신규식(申圭植)을 회장으로 추대하고 조성환 박은식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19년 국내에서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가담하였으며, 그는 3권분립형태에 따른 임시의정원이 입법활동을 하게 되자 의정원 의원이 되어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19년 말에는 임시정부의 충북 영동군(永同郡) 조사원에 임명되기도 하였으며, 1922년까지 의정원 의원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21년에는 독립운동 단체로 협성회(協誠會)를 조직하여 주재하는 한편 함영구락부(含英俱樂部)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또한 국민대표회의가 열려 독립운동 단체간의 불협화음이 고조되자 임시정부에서는 그를 김용식 이기용과 함께 국민대표회의를 개최하는 이유를 묻는 위원에 임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국민회의 참가 단체간에 분규가 계속되자 그는 1922년 7월 안창호 최창식 신익희 차이석 등과 함께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를 조직하여 독립운동 단체의 통일을 논의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09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43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7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472 480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3권 517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3 4 36·216 320 353 358 379 420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2 44 128 129 131 132 133 135 138 139 147 152 157 158 15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162 30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24면
  • 조선민족운동연감 8 60 16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민충식 - 서울 -
본문
1890년 2월 25일 서울 종로(鍾路) 안국동(安國洞)에서 태어났다. 1902년 서병호(徐丙浩) 등 6명과 연지동(蓮池洞)의 1905년 경신학교(儆新學校) 첫 입학생이 되었다. 수료 후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생활을 하다가, 1913년 봄 미국으로 건너갈 목적으로 중국 상하이(上海)로 갔다. 상하이에서 신규식(申圭植)·박은식(朴殷植) 등이 조직한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였고, 이후 박달학원(博達學院)에 기숙하였다.1913년 겨울, 이동녕(李東寧)으로부터 독립운동 동참을 요청받고, 1914년 초 블라디보스토크(Владивосток) 신한촌(新韓村)에서 후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충청도의원으로 활동한 김원식(金遠植)과 접촉하였다.이후 니콜리스크 우수리스크(Никольск-Уссурийск)에 거주하는 이민복(李敏馥), 하바롭스크(Хабаровск)에 있던 이상설(李相卨)과도 교류하게 되었다. 1914년 1월 15일 하바롭스크에 도착하여 이상설·이동녕(李東寧) 그리고 대종교(大倧敎) 지교(知敎) 백순(白純)과 만나서 대종교 소속의 비밀결사 단원이 되었다.당시 이상설이 시베리아 동북지역에 ‘한국군관학교’ 설립 계획을 추진 중이었는데, 이때 연락 관련 일을 맡았다. 1914년 10월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 등으로 이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자 모스크바로 이동하였다가 1916년 여름 니콜스크 우수리스크로 돌아왔다. 이후 상하이로 돌아가 동제사 인사들과 다시 교류하면서 1916년 말 체화동락회(棣華同樂會)의 일원으로 거류 한인의 단결 및 재외 한인단체와 연락 활동을 전개하였다.1919년 4월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이 되어 1922년 2월경까지 충청도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말에는 임시정부의 충북 영동군(永同郡) 조사원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1921년 4월 임시정부가 와해 위기에 처하자, 이동녕·윤기섭(尹琦燮)과 의정원 의원 김태연(金泰淵) 등이 조직한 협성회(協誠會)에 참여하여 임시정부를 지원하고자 노력하였다.협성회에 참여하기 직전인 1921년 2월 함영구락부(含英俱樂部)를 결성하였으며, 그 해 10월 재상해유일학생회(在上海留日學生會)에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 7월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을 논의할 목적으로 결성된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에 참여하였다. 1925년 12월 톈진(天津) 조선인교민단(朝鮮人僑民團)의 이사를 맡는 등 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민충식(관리번호:854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