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271
성명
한자 王泰日
이명 王泰鎰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42.1~1945.8까지 광복군(光復軍)에서 투쟁

중앙육군 황포군관학교(中央陸軍黃浦軍官學校) 제7분교 제19기 치중대대(輜重大隊) 기병과(騎兵科)를 수료 소위(少尉)임관(任官)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강원도 회양(淮陽) 사람이다.

서안(西安)에서 광복군 제2지대에 입대하였다.

1944년 중국 중앙육군 황포(黃埔)군관학교 기병과에 입교하였다.

1945년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少尉)로 임관되어 황포군관학교 치중대대 기병대에서 근무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95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385·408·614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왕태일 왕태일(王泰鎰) 경기 시흥(始興) -
본문
1918년 6월 17일 경기도 시흥군(始興郡) 북면(北面) 노량진리(鷺梁津里, 현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동)에서 태어났다. 강원도 회양군(淮陽) 출신이라는 기록도 있다. 이명으로 한자를 달리하는 왕태(王泰)을 사용하였다. 광산중학(鑛山中學校를 졸업한 후, 광업소에서 근무하였다.1942년 5월경 중국 산시성(山西省)과 허난성(河南省) 일대를 무대로 초모활동을 하던 한국광복군 제2지대 대원 김천성(金天成) 등에 의해 최철(崔鐵)·이원범(李元範)·최전(崔銓)·김도제(金道濟)·강창복(康昌福)·배아민(裵亞敏)·강일성(江一成)·전일묵(田一默)·박영섭(朴永燮)·김명택(金明澤)·강정선(康貞善)·정인숙(鄭仁淑)·최동인(崔東仁)·김경인(金敬寅)·박훈(朴勳) 등과 함께 모집되었다. 이후 산시성 루안(潞安)과 윈청(運城)을 거쳐 시안(西安)으로 가서 광복군에 합류하였다. 장시성(江西省) 광펑(廣豊)에 소재한 중국군관학교 제7분교 19기 기병과(騎兵科)를 수료한 다음, 광복군 2지대 3구대[구대장: 노복선(盧福善)]에 편제되었다.이후 장시성(江西省) 졘양(建陽)·난핑(南平)·쳰산(鉛山) 등지를 무대로 광복군 모집활동 등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1945년 3~4월 무렵에는 3구대 2분대 소속으로 시안에서 활동하였다.광복 직후 작성된 미군측 자료에는 금·은 분석기술을 가졌고, 중국어와 일본어 회화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기술되어 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왕태일(관리번호:827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