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600
성명
한자 李根裁
이명 李根載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 3. 3일 함흥(咸興) 중하리(中荷里) 3.1운동사건 주동자(運動事件主動者)로 1919. 7. 3일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함경남도 함흥(咸興) 사람이다.

1919년 3월 3일의 함흥읍 장날을 이용하여, 한영호(韓泳鎬)·이순기(李舜基)·이영화(李榮華)·조영신(趙永信)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2월 26일 평양 숭실중학교(平壤崇實中學校) 교사 강봉우(姜鳳羽)가 함경도와 간도(間島)지방을 순회하고, 신창리(新昌里) 교회에 들려, 제1차 세계대전이후의 국제 정세와 한국의 정세를 알리면서부터 계획되었다.

또한 원산(元山) 광석동(廣石洞) 교회의 장로 이순영(李順榮)이 중하리(中荷里) 교회에 와서, 원산에서는 3월 1일 거사한다는 소식을 알려 주었다.

이에 영신학교(永信學校) 교사인 그는 교회 간부들과 숙의를 거듭한 끝에 한영호·이순기·이영화 등과 집행위원이 되어, 만세시위 일자를 장날인 3월 3일로 결정하였으며, 태극기와 독립선언문을 제작·등사하기로 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투옥자의 생활비·변호인 선정 등의 문제를 담당하였다.

한편, 함흥고등보통학교(咸興高等普通學校)·함흥농업학교(咸興農業學校)·영생중학교(永生中學校)의 3·4학년생으로 구성된 함산학우회(咸山學友會)에서도, 서울의 학생대표인 강기덕(康基德)과 연락을 취하면서 만세시위 준비를 하였다.

그들은 3월 1일 간부회의를 열어 12인의 결사대를 조직하고, 이튿날에는 권영주(權永周)의 집에 모여 3일 새벽 4시 30분 서함흥(西咸興) 역전에 집결하여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는 이같은 만세운동계획이 구체화됨에 따라 주동자를 중심으로 만세운동에 필요한 경비를 5원 내지 1백원씩 갹출하고, 3월 1일 읍내에 가서 도상록(都相祿)·곽선죽(郭善竹)·김치선(金致善)·박희성(朴希聖) 등을 만나 독립만세시위계획을 이야기하고, 인근 주민들에게도 연락하도록 권유하였다.

이튿날에는 동지들과 자기 집에서 만나 조영신이 원산에서 가지고 온 독립선언서 3천여매를 등사하고, 태극기 18매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계획과는 달리 3월 2일 주민들의 자발적인 만세시위가 일어났다.

이에 놀란 일본 경찰이 3월 3일 새벽에 예비 검속을 실시하여 많은 주동자들이 체포되었다.

그는 이때 체포되어, 이해 7월 3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옥고를 치르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692·965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권 1009·1011∼101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247·24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4권 97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근재 이근재(李根栽, 李根載) 함남 함흥(咸興) 함흥군 함흥면 만세운동
본문
1893년 7월 17일 함경남도 함흥군(咸興郡) 함흥면(咸興面) 상리(上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한자가 다른 이근재(李根栽·李根載)를 사용하였다. 기독교인으로, 1919년 당시 영신학교(永信學校) 교사였다.1919년 3월 3일 함흥군 함흥면 중하리(中荷里)에서 함흥 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함흥 만세시위는 평양(平壤)의 숭실중학교(崇實中學校) 교사인 강봉우(姜鳳羽)가 1919년 2월 26일 함경도와 간도지방을 순회하는 도중 함흥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 강봉우는 함흥면 신창리(新昌里)교회에서 함흥지역의 목사와 장로들을 대상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 정세와 한국의 처지를 설명하면서 향후 독립에 대한 준비를 역설하였다. 이어 원산(元山)의 광석동(廣石洞)교회 장로인 이순영(李順榮)이 함흥면 중하리 교회로 와서, 3월 1일 원산에서 만세시위가 거행될 것임을 알리고 함께 궐기할 것을 권유하면서 본격화 되었다.2월 28일 중하리 교회에 모인 함흥지역 기독교 지도자들은 강봉우의 호소와 권유를 받아들여 만세시위 준비를 위해 준비 조직을 만들고, 자금을 조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때 함흥기독교청년회(咸興基督敎靑年會) 서기 이순기(李舜基), 전도사(傳道師) 조영신(趙永信), 목재상 한영호(韓泳鎬), 신탄상(薪炭商) 홍기진(洪基鎭)과 함께 준비위원으로 선임되었다. 준비위원들은 먼저 함흥에 거주하고 있는 이들에게 적극적인 참여를 권유하기로 하였다. 또 만세시위의 구체적인 계획으로 거사일은 3월 3일로 정하고, 최명학(崔明鶴)이 낙민루(樂民樓)에 올라가서 나팔을 부는 것을 신호로 일제히 거사하기로 결정하였다.이에 따라 3월 1일 읍내에서 영생중학교(永生中學校) 학생인 곽선죽(郭善竹)·김치선(金致善)·도상록(都相祿)·박희성(朴希聖) 등에게 만세시위에 적극 참여할 것을 권유하였다. 독립선언서를 가지러 원산에 갔던 조영신이 3월 2일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함흥으로 돌아왔다. 그가 영생중학교에 있던 등사판으로 독립선언서를 등사하려고 할 때, 자신의 집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그 곳에서 김면오(金冕五)·김치선·도상록·박희성·한명환(韓明桓) 등 영생학교 학생들의 도움을 받아, 독립선언서 3,000장을 등사하였다. 또한 만세시위에 사용할 목적으로 태극기 수십 장과 깃발 2개도 제작하였다.한편 함흥고등보통학교(咸興高等普通學校), 함흥농업학교(咸興農業學校), 영생중학교의 3·4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함산학우회(咸山學友會)에서도 만세시위를 준비하고 있었다. 2월 28일 함산학우회의 한림(韓林)·한태연(韓泰然) 등은 보성법률상업학교(普成法律商業學校, 이후 보성전문학교)의 학생 대표인 강기덕(康基德)이 곽선죽을 통해 보낸 독립선언서를 받았다. 3월 1일 함산학우회는 간부회의를 통해 결사대를 조직하기로 결의하였다. 다음날인 2일 함흥면 중리(中里)에 있는 권영주(權永周)의 집에 모여, 3일 새벽 4시 30분 서함흥역(西咸興驛) 앞에서 만세시위를 거행할 것을 결정하였다.3월 2일 사전 계획된 두 만세시위와는 무관한 다른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미리 계획된 시위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군중들이 호응하면서 만세시위의 규모가 커졌다. 이에 경찰은 헌병·의용소방대 및 재향군인들과 함께 300여 명의 시위대를 체포하였다. 3월 2일 만세시위에 놀란 경찰은 3일 새벽부터 함흥 전 시내에서 대대적인 예비검속을 실시하였다. 이로 인해 만세시위를 준비하던 기독교 지도자들과 함산학우회 간부들이 모두 붙잡혔다. 이 과정에서 함께 붙잡혀서 함흥경찰서에 유치되었다. 경찰서에 유치된 상황에서도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만세시위를 전개하고자 할 의지를 드러냈다.1919년 4월 21일 함흥지방법원에서 유죄판결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지만, 같은 해 7월 3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2년을 받았다. 다시 상고하였지만, 1919년 9월 1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겪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원판결취소, 징역 2년 경성복심법원 1919-07-03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19-09-01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근재(관리번호:160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