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716
성명
한자 金龍伊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1 훈격 애국장
1919.4.12 경남(慶南) 김해군(金海郡) 장유면(長有面) 무계(茂溪)장날을 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거사하기로 하고 대소(大小) 태극기를 만들어 당일「장터」에 모인 수천명의 시위군중이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무계 헌병 주재소(茂溪憲兵駐在所)로 돌진할 때 적헌병(敵憲兵)의 무차별 발포로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창(高唱) : 노래, 구호, 만세따위를 큰 소리로 부르거나 외침
  • 사살(射殺) : 활이나 총 따위로 쏘아 죽임.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경상남도 김해(金海) 사람이다.

1919년 4월 12일의 장유면 무계리(長有面茂溪里)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광무황제(光武皇帝)의 국장(國葬)에 참여하기 위하여 상경하였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선언식과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고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귀향한 김종훤(金鍾 )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김종훤은 4월 11일 김승태(金升泰)·조순규(趙順奎)·이강석(李康奭)·최현호(崔鉉浩) 등과 만나, 이튿날 무계리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각자 자기 동리민들의 동원과 태극기의 제작을 책임, 분담하였다.

4월 12일 동민 50여명을 동원한 김승태가 태극기를 들고 선두에 서서 무계리 장터로 들어오는 것을 시발로 다른 동리에서도 주동인물들의 인솔아래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며 장터에 모여들어 시위군중은 3천여명이나 되었다.

이날 그도 장터에서 대대적인 시위대열의 일원으로서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며 시위행진을 시작하였다. 이때 일본 군경이 출동하여 무력을 행사하자, 그는 시위군중과 함께 헌병주재소를 습격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에 당황한 일본 헌병이 발사한 흉탄에 맞아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24면
  • 사실확인서(장유면장)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219·22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용이 - 경상남도 김해(金海) 김해군 장유면 무계리(4.12) 만세시위
본문
1891년 1월 1일 경상남도 김해(金海) 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12일 김해군 장유면 무계리 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장유면(長有面)의 만세운동은 1919년 2월 하순경 상경하였다가 파고다공원의 독립선언식과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고 「독립선언서」 를 가지고 귀향한 김종훤(金鍾烜)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1919년 4월 11일 김종훤은 김승태(金升泰)·조순규(趙順奎)·이강석(李康奭)·최현호(崔鉉浩) 등과 장유면 신문리(新文里) 외딴 집에서 만나, 이튿날 무계리(茂溪里)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각자 자기 동민들의 동원과 태극기의 제작을 책임, 분담하였다.주도 인물들이 각기 동리로 돌아가 크고 작은 태극기를 제작하고 의거계획을 알리자, 주민들이 거사를 지지하고 나섰다.1919년 4월 12일 주민 50여 명을 동원한 김승태가 태극기를 들고 선두에 서서 무계리 장터로 들어오는 것을 시작으로 다른 동리에서도 주도 인물들의 인솔아래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며 장터에 모여들어 시위 군중은 3,000여 명이나 되었다.정오 무렵 김종훤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신호로 무계리 장터에 모인 3,000여 명의 시위대는 독립만세를 외치며 북을 치고 농악용 나팔을 불면서 거리 행진에 나섰다.이에 호응하여 장터에서 시위 대열에 참여하여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며 시위행진을 함께하였다. 이때 일본 군경이 출동하여 무력을 행사하자, 시위 군중과 함께 헌병주재소를 습격하였다. 그러나 당황한 일본 헌병의 무차별 사격으로 손명조(孫明祚)·김선오(金善午)와 함께 현장에서 사망하였다.슬픔과 분노를 참지 못한 시위 군중은 재차 일본 헌병주재소를 포위한 후 투석과 몽둥이로 그 건물을 파괴하고, 헌병 상등병과 보조원을 때려눕혀 중경상을 입혔다. 그러나 김해읍에서 응원 출동한 일본 군경의 발포로 10여 명이 붙잡히고 시위 대열은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기미독립의거 기적비 경상남도 김해시
2 김해 3·1운동 기념탑 경상남도 김해시
3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용이(관리번호:771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