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96
성명
한자 朴容羲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3.1만세운동 당시 중앙에서 기독교(基督敎) 대표의 한사람으로 활약하였으며 상해(上海)로 망명 임정(臨政)에도 가담, 그 후 만주(滿洲)에서 체류하다 귀국(歸國) 교직자로 봉직하면서 일본 천신 부인(日本天神否認), 신사참배 반대(神社參拜反對)등 일생을 조국광복을 위하여 투쟁하다 옥고(3년)을 치르는 등의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6권(1988년 발간)

1919년 2월에 3·1운동의 기독교측대표 이승훈(李昇薰) 및 함태영(咸台永) 등과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여 경기도 및 충청도지구 연락책임자로 지명되어 3·1운동의 사전 조직에 참가하여 활약하였다. 3·1운동 후에는 체포된 33인 중 기독교측 유족의 보호에 노력하다가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에 참가하고, 1919년 11월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조사원(調査員)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상해에서 북간도 용정(龍井)으로 가서 교사·전도사·기자 등을 역임하면서 동포들의 민족의식과 독립사상 고취를 위하여 진력하였다.

1921년에 귀국하여 이상재(李商在)·유성준(兪星濬)·윤치호(尹致昊) 등과 함께 창문사(彰文社)라는 출판사를 설립하여 출판물에 의한 민족의식 고취에 진력하다가 안성교회(安城敎會) 전도사로 취임하였다. 1927년 2월 자치론을 비판하고 절대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주의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독립운동의 민족협동전선으로서 신간회(新幹會)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안성지회(安城支會)를 설립하고 그 지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서울 승동교회(勝洞敎會)·목포 중앙교회(木浦中央敎會)·순천 중앙교회(順天中央敎會)의 교역자로 봉직하면서 일본의 천조대신(天照大神) 부인, 궁성요배(宮城遙拜) 반대, 신사참배(神社參拜) 반대 등의 운동을 전개하다가 1940년 10월에 일제 경찰에 붙잡혀 잔혹한 고문을 당하였으며, 1942년 9월 30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인정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판결문(1942. 9. 30 광주지방법원)
  • 조선민족운동년감 6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300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0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용희 호 : 동송(東松), 창씨명 : 신본용희(新本容羲) 서울 한성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신간회, 조선예수교장로회, 적극신앙단
본문
1884년 12월 11일 서울 연동(蓮洞)에서 박홍근(朴弘根)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호는 동송(東松)이다. 일제 말기에는 일본식 성명 강요로 개명된 신본용희(新本容羲)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였다.아버지가 별세한 9세 이후 한학을 공부하며 집안을 돌보았고, 1902년 서용신(徐容信)과 결혼하였다. 1907년 가족 모두 기독교에 입교해 연동교회(蓮洞敎會)에 출석하였고, 1908년 게일(James Scarth Gale)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았다. 1910년 교회의 추천을 받아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1학년을 마치고, 1912년 일본에 건너가 나카다 주지(中田重治)가 이끌던 홀리네스계의 도쿄성서학원에 들어갔다.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아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귀국하였다.건강이 회복되자 묘동교회 전도사로 시무하였고, 용산교회·왕십리교회·뚝섬교회와 고양·죽산·용인·광주 등지의 교회도 섬겼다. 묘동교회가 일본 교회로 넘어가는 것을 반대하다가 포교권을 박탈당하고 경기도 이천에 은거하였다. 1917년 12월 경기충청노회 속회에서 7년간 쉬던 신학을 계속할 것을 허락받았다. 1918년 12월 승동교회에서 열린 경기충청노회에서도 장붕(張鵬)과 함께 1919년부터 신학교 3년생으로 신학을 계속할 것을 승인받았다. 이때 경기충청노회 전도국 전도인으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노회의 순회 부흥전도인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919년 만세운동 참여로 신학공부를 계속하지 못하였고, 1919년 6월에 열린 경기충청노회 순회전도인에서 해임되었다.1919년 2월 25·26일경 함태영(咸台永)의 집에서 이승훈(李昇熏)의 부탁을 받아 박희도(朴熙道)가 체포된 뒤 박희도의 임무였던 운동자금 회계를 맡기로 했다. 1919년 3월 22일 성태영(成泰永)·이병린(李炳麟) 등과 함께 경기도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 군하리(郡下里) 장날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1919년 4월 2일 인천 만국공원에서 모였던 이른바 ‘한성정부’ 수립을 위한 준비 모임에 장붕과 함께 예수교 대표자로 참석하였다. 이후 서울에 다시 잠입하였으나, 정세가 불안해 국외로 망명하여 간도와 상하이를 전전하며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11월경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내 조사원으로 백준(白浚)과 함께 경기도 고양군을 맡아 활동하였다.다시 서울에 돌아와 1921년 6월 용산교회에서 장로로 시무하다가 안성읍교회로 옮겼다. 안성읍교회에서는 1925년 6월 개최된 제2회 경기노회에 ‘박용희 장로를 목사로 장립 시무케 하여 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그리고 신학교를 졸업하지는 못하였지만 경력을 인정받아 표결을 통과하였고, 그 해 12월 31일 승동교회에서 열린 제3회 경기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1927년 초에는 민족유일당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된 신간회 안성지부 지부장으로 활약하였으며, 경기노회 노회장으로 피선되었다. 1928년 7월에는 서울 승동교회 담임목사가 되었다. 1929년 5월에는 기독신우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 회장에도 선임되었다.1932년 감리교의 신흥우(申興雨)가 조직한 적극신앙단(積極信仰團)에 함태영·전필순(全弼淳)·최석주(崔錫柱) 목사 등과 함께 참여해 활동하였다. 이 단체는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띤 초교파의 기독교정신·신앙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급진적·비밀적으로 활동하였기 때문에 교계의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그래서 1935년 장로회 총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고 경기노회와 장로회 총회에서까지 문제가 되었다. 1935년 4월 승동교회를 사임하고 목포 중앙교회를 담임하였고, 1938년 전남 순천중앙교회로 전임하였으며 순천노회장에도 선임되었다. 순천중앙교회 재직 당시 설교를 통하여 일제의 강요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일제의 패망을 예언하였다.이 일로 1940년 11월 순천노회원 15명 전원이 말세신앙을 설교하여 일본의 ‘국체변혁’을 선동하였다는 이유로 순천경찰서에 붙잡혔다. 결국 재판에 넘겨져 1942년 9월 30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을 받았고, 4년간 옥고를 치르고 1944년 풀려났다.광복이 되자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기 위하여 1945년 기독신민회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47년 2월 15일에는 관선 남조선과도정부 입법의원에 임명되었다. 이후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영등포교회를 담임하다가 1953년 6월 기독교장로회가 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립되자, 기독교장로회에 속하게 되었다. 그 후 2년간 다시 목포중앙교회를 담임하고 대한기독교장로회 총회장과 한국신학대학 이사장을 지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불경죄 징역 3년 미결구류일수중330일을본형에산입 광주지방법원형사부 1942-09-30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용희(관리번호:99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